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1 2,870 오소영
얼마 전 점심초대를 받아 어느 식당에 갔었다. 한식에 맞는 깔끔한 기본반찬 서너가지와 작은 뚝배기에 걸죽한 강된장이 함께 식탁에 올라왔다. 웬 강된장? 그것을 보는 순간 입맛 잃고 사는 요즈음. 불현듯 호박잎 쌈이 생각나고 입안에 군침이 고이기 시작했다. 어불성설(語不成說). 그런걸 줄리야 없고 상추쌈이라도 나오려나 기대했는데 그것은 그냥 반찬의 일부였다. 허다못해 찐 양배추라도 나왔으면 몇쌈 쌈장을 얹어 아쉬움을 달랬을텐데.... 실망스러워 하마터면 투정이 나올뻔 했다.

엇그제 외출했다가 비닐봉지에 두둑하게 담아놓고 파는 호박잎을 발견하고 거침없이 사 들고 들어왔다. 그것을 만나서 반가움 중에 손녀 순이의 얼굴이 큼지막히 떠올랐다. 나 만큼이나 호박잎 쌈을 좋아하는 그 애. 세살박이 어린애로 이민 와 살면서 어디서 그런걸 먹어봐 그렇게나 좋아하는지? 우유 빵 보다는 김치 깍뚜기 겯드린 밥이 좋은 순수 한국통 그 애. 요즘 오빠와 둘이서 밥 해먹고 학교 다니느라 스스로 살림 익히며 일찌감치 현실 깨우치는 일이 고달프기도 할텐데 한마디 불평도 없이 잘 꾸려가는게 여간 대견하고 신통한게 아니다. 지금쯤 엄마 손맛이 많이도 그리울텐데.... 이 할머니가 도울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나마 김치 깍뚜기 담고 더러 밑반찬 챙겨주는 정도라도 되니 다행이긴 하지만. 거친 세상을 살아가는 그 애들에게 부모 대신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간절한 기도(祈禱) 밖에 달리 방법이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생각치도 못했던 애가 특별히 좋아하는 호박잎으로 대박을 치게 생겼으니 내가 더 신이난다. 고기는 먹기가 쉬운데 야채가 그립다고 하던 말도 생각났기에....

그러나 호박잎을 손질하려고 쏟아 놓는 순간. 이 실망스러움을 어쩔까. 그것은 너무도 크고 뻣뻣해서 영 먹을거리가 못 되는 것 같았다. 파는 것이기에 더러는 버릴 것도 섞였을 줄 짐작은 했지만 부드러운 속잎파리는 거의 없었다. 이렇게 거친 잎으로는 비늘 없는 민물생선의 미끈거림을 닦는데 쓰느 것은 보았지만 그래도 쌈으로 먹을 수 있을는지 안타까웠다. 급한 사람이 샘 판다고 하던가. 그냥 버리기엔 미련이 너무 많아 해 보기로 한다.

어떻게든 먹을 수 있도록 해 보려고 공을 드려 껍질을 벗기는데 질긴 껍질이라 잘도 벗겨진다. 깨끗이 씻어 찜솥에 넣고 시간을 넉넉히 주어 푹 쪄 보았다. 아삭아삭하고 껄끄럽지만 정성드려 끓여 본 강된장이 아까워 몇쌈 먹어보았는데 이미 쌈으로 먹을 수 있는 단계를 벗어나서 입 안에 질긴 섬유질이 뭉쳐 넘어가려 하질 않는다. 모처럼 뱃속이 파랗게 물이 들도록 맛있게 먹어보려 했었는데... 이건 아니야.

나도 나지만 손녀에게 점수 좀 따려던 내 생각은 그냥 접어야하나? 워낙 좋아하니까 웬만큼 아니어도 참아주었으면 좋으련만. 나도 몇  쌈 먹었으니 치아 좋고 위장 튼튼한 애들은 먹을 수 있는거라고 시치미를 떼볼까. 요즘 애들은 개성이 강해서 아니면 그것으로 끝일 뿐 타협의 여지가 없기에 공연히 늙은이만 안타깝다. 그리도 좋아하는 것을 줘야하나 말아야 하나 걱정을 만들어가면서 마음이 몹시 불편했다. 그래도 그냥 치워버리기엔 안쓰러움이 남아 아이에게 먼저 귀띔을 해 보기로 한다. “순아 호박잎이 생겼는데 너 어때?” “어머머머 할머니 너무너무 해피....” “그런데 많이 자라서 크고 질기던데 괜찮겠어?” “제 위장이 워낙 튼튼하잖아요 저 정말 그거 좋아하는데요” 오케이! 스트레스가 한방에 날아간다 진작에 그랬을 것을. 미련한 머리를 몇대 쥐어박으며 혼자 싱겁게 웃어본다.

그렇게 좋아하는 그 애에게 옛날 할머니가 내게 해 주시던 그런 맛이 진짜인데 이건 너무 엉터리가 아닌가. 아무리 애를 써도 그 때의 맛을 낼 수 없는 것은 오늘 날 영악스럽게 편리해진 전자제품의 덕이다. 불 때서 밥짓는 두툼한 가마솥에서 뜸드리는 밥위에 얹어 쪄내던 밥냄새가 베이고 더러 밥풀도 붙어있던 쫀득한 그 맛을 지금은 따라 할 형편도 재주도 없으니 말이다. 찜솥에 깔끔하게 찌긴 했어도 맛의 차이는 비교가 될 수 없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렇지만 보리밥에 삭힌 특별한 된장으로 정성껏 끓인 강된장을 위로삼아 아쉬운대로 맛있게 먹어주기를 바라는 마음뿐이다. 큼직한 호박잎에 쌈을싸서 볼이 터지게 잘 먹는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며 더없이 행복한 이 시간. 할머니의 마음도 함께 싸주면 얼마나 좋을까,
참새한마리
어디서 호박잎을 용하게도 구하셨네요. 손주분이 결국은 잘 드셨나요?? 저희는 호박잎은 못먹어도, 쌈장을 집에서 만들어서 상추를 비롯한 각종 푸성귀에 가끔 먹는답니다. 그맛은 정말로 맛있지요. 쌈으로 밥을 먹게되면 항상 정량보다 더 먹게되어서 배가 터질것처럼 되버리는게 흠이지만요. 정감있는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요~

주부(主婦) 실종시대

댓글 0 | 조회 2,911 | 2014.04.24
정신없이 흐려지는 시각을 거역이라도 … 더보기

[333] 핑크빛 골프장갑

댓글 0 | 조회 2,911 | 2006.05.22
오래전부터 내 옷장서랍 한 견에는 작… 더보기

지붕위의 여자

댓글 0 | 조회 2,902 | 2016.10.26
뒷집에 새로 이사와 살고 있는 여자가… 더보기

[373] 그 나무님!

댓글 0 | 조회 2,888 | 2008.01.30
티티랑이 언덕길 위에 우뚝 서 있는 … 더보기

[306] 다알리아 아줌마

댓글 0 | 조회 2,888 | 2005.09.28
소담스럽게 핀 다알리아꽃이 방긋방긋 … 더보기

[365] 오빠와 취나물

댓글 0 | 조회 2,885 | 2007.09.26
이 나이에도 친정 식구들을 떠올리면 … 더보기

[337] 비 속의 요정들! 겨울꽃

댓글 0 | 조회 2,883 | 2006.07.24
춥고 축축하고 구질구질한 매일 매일의… 더보기

[307] 진이의 유학일기

댓글 0 | 조회 2,882 | 2005.09.28
아주 가끔씩 나는 진이와 현이 남매가… 더보기

[381] 멋쟁이 멋쟁이! (황혼에 피는 아름다운 꽃이어라)

댓글 0 | 조회 2,881 | 2008.05.28
요즈음같이 살벌하고 각박한 세상에 한… 더보기

[324] Oh, my God! 雪花 秀

댓글 0 | 조회 2,880 | 2006.01.16
雪花! 그 글씨만 보아도 백옥같은 눈… 더보기

현재 호박잎에 싸 보내는 할머니 마음

댓글 1 | 조회 2,871 | 2011.11.23
얼마 전 점심초대를 받아 어느 식당에… 더보기

[341] 모든 것의 고마움을

댓글 0 | 조회 2,861 | 2006.09.25
아침 잠에서 깨어나 커튼을 제치니 예… 더보기

굴뚝이 있는 집

댓글 0 | 조회 2,860 | 2016.08.25
요즘 새로 짓는 집들은 아예 굴뚝이 … 더보기

차 사랑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2,855 | 2011.07.26
‘허버트’ 노인이 또 차를 바꿨다. … 더보기

[316] 목련이 피었네, 뚝뚝 떨어지네

댓글 0 | 조회 2,854 | 2005.09.28
자두빛 물먹은 목련이 피었네, 분홍색… 더보기

‘포우투카와’ 꽃잎 날리던 교정

댓글 0 | 조회 2,851 | 2011.08.24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난 일들 가운데… 더보기

소통하는 영원한 벗, 한송이 빨간 장미

댓글 0 | 조회 2,851 | 2016.02.24
혼자 밥 먹는게 지루하고 따분할 때.… 더보기

[312] 민들레 김치

댓글 0 | 조회 2,839 | 2005.09.28
비가 자주 내리더니 말라 붙었던 잔디… 더보기

그 벗꽃 길, 그리움이 있다

댓글 0 | 조회 2,839 | 2011.10.27
엊그제만 해도 죽은듯이 다소곳하던 헐… 더보기

[311] 엄마 마음=딸의 마음

댓글 0 | 조회 2,837 | 2005.09.28
한국에서 딸을 보러 오셨다는 내 또래… 더보기

양귀비꽃 하루

댓글 0 | 조회 2,827 | 2008.11.26
찌프린 하늘이 회색으로 어둡다. 그 … 더보기

[363] 제니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2,827 | 2007.08.28
"처음에는 네 발로 기어 살다가 두 … 더보기

[351] 순아! 잘 다녀 와

댓글 0 | 조회 2,827 | 2007.02.26
아이의 나이는 그 때 세살이었다. 그… 더보기

[301] 쨈돌이 파이팅!

댓글 0 | 조회 2,819 | 2005.09.28
“주님 오늘도 그 아이에게 힘을 주시… 더보기

[367] 무지개를 따라서

댓글 0 | 조회 2,805 | 2007.10.24
무슨 사연인지 묻지는 못했지만 내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