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공부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대학 공부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

0 개 1,595 안젤라 김

 

지난 주에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습관화하고 몸에 배도록 해야 할 시간관리, 규칙적인 학습, 책읽기, 쓰는 훈련 등에 대해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오늘은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학습 방면에서는 어떻게 훈련해야 할 지에 대해 말씀드리기를 원합니다. 12학년들이 마지막 학기를 대학에 가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준비 기간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성공적인 학습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소들이 있겠지만 그 요소들 중에 하나가 강의 노트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의 강의 노트 필기는 그저 수업에 들어가서 교수가 가르치는 동안 노트에 몇 자 쓰는 것 훨씬 그 이상입니다. 

 

ba534dbdec6796b8d3758d77719cff63_1487736738_2624.jpg
 

 

첫째, 교실에 들어가기 전에 배울 내용을 미리 읽어 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익숙한 내용을 수업 시간에 배우게 되면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조리 있게 노트 필기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수업 시간에 배울 내용을 아주 깊이 공부하지 않더라도 한 번 훑어 보는 것만도 노트 필기에는 커다란 도움이 됩니다. 

 

교수가 막 강의 하고 있는데 중간에 뭐가 뭔지 모르기 시작 하면 노트 필기는 불가능해지게 됩니다. 그렇게 쓴 강의 노트는 결국 시험 때가 되어도 있으나 마나 한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예습은 노트 필기의 첫 스텝입니다. 다음 수업 내용을 미리 읽으며 개요를 적어보고 중요한 내용을 필기합니다.

 

 

ba534dbdec6796b8d3758d77719cff63_1487736653_4663.png

 

두 번째로 다음 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전 수업에 쓴 필기 노트를 꼭 복습합니다.  이 일은 수업하기 전 날 밤에 도서실에서 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게 하면 더 효과적이겠지만, 적어도 수업 시작 전에 쉬는 시간에라도 잠시 훑어 볼 수는 있을 것입니다. 전에 배운 강의 노트를 보는 것은 강의를 듣기 전에 지적으로 자극되어있는 상태가 되도록 돕고 그만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만반의 준비가 되는 것입니다. 

 

강의 노트를 쓰는데 크게 도움이 될 또 다른 조언은 강의실에서 맨 앞줄에 앉으라는 것입니다. 다른 학생들 때문에 산만해질 필요도 없고 강의에 훨씬 더 집중을 잘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노트 필기도 잘 할 수 있습니다. 노트 필기 시 중요한 점은 교수가 강조하는 주요점을 잘 파악해서 노트의 여백에 써 놓던지 특별히 표시해 놓아야 하는 것입니다. 

 

노트를 너무 짧게 적어서 정작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적지 않는 것보다 차라리 너무 많이 적는다시피 할 정도로 쓰는 것이 더 낫습니다. 나중에 복습하며 편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a534dbdec6796b8d3758d77719cff63_1487736563_4773.jpg
 

셋째로 강의 후에는 반드시 쓴 노트를 자기의 것으로 소화하며 편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강의 내용이 아직 학생의 머리에 생생히 남아 있도록 수업 후에 될 수 있는 한 빨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 중에 미쳐 적어 놓지 못한 것을 복습하며 잘 정리 해 놓고, 진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잘 가려서 강조할 것은 강조해 두고, 간결하고 정확하고 일목요연하게 다시 노트 정리를 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이 머리에 확실하게 자리잡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생길 수 있는 질문내용도 써보고, 스터디 그룹에서나 동료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고, 또는 다음 수업이나 그 전에 교수에게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가 끝날 때마다 정리해 놓은 노트를 한 번씩 복습해 보면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시험 직전에“묵은”노트를 한꺼번에 읽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시험에 나올 중요한 포인트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공부한다면 결국 한 내용을 강의 전에 두 번, 강의 후에 두 번, 결국 강의 시간 까지 합치면 다섯 번을 공부한다는 뜻입니다. 

 

시간을 너무 많이 들이는 것 같지만 나중에 몰아서 벼락 치기 공부하는 것에 비해서 효과면에서는 확실히 우월한 방법일 것이라 믿습니다. 꼭 실천해 보아서 대학에서의 공부에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Now

현재 대학 공부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

댓글 0 | 조회 1,596 | 2017.02.22
지난 주에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 더보기

“왕따”를 당한다고 느낄 때

댓글 0 | 조회 1,588 | 2012.09.05
그 동안 써 온 칼럼을 통해서는 대다… 더보기

보딩 스쿨에 대한 사회적 통념

댓글 0 | 조회 1,582 | 2012.08.28
보딩 스쿨이라고 하면 우리 모두가 가… 더보기

전공 선택의 방법

댓글 0 | 조회 1,576 | 2015.01.27
대학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전공을 … 더보기

보딩 스쿨 지원시 인터뷰

댓글 0 | 조회 1,572 | 2013.01.29
보딩스쿨 지원 필수 조건 중의 하나가… 더보기

미국의 보딩스쿨

댓글 0 | 조회 1,569 | 2019.03.26
보딩스쿨은 아마도 미국 현지에 있는 … 더보기

부지런함

댓글 0 | 조회 1,564 | 2012.10.17
- 부지런함이란 가치 있는 목표에 대… 더보기

성품 둘 - 순종

댓글 0 | 조회 1,559 | 2018.03.15
순종은 옳은 권위와 질서에 즉시, 기… 더보기

공동 지원서 에세이 문제 (1)

댓글 0 | 조회 1,553 | 2018.12.24
지난 1월에는 2019년도에 대학입학… 더보기

대학생활을 준비하는 마음가짐

댓글 0 | 조회 1,550 | 2018.12.13
이제 두세 달 정도 있으면 대학이라고… 더보기

성품 넷- 존중

댓글 0 | 조회 1,540 | 2018.04.27
시대가 변하면서 유행하고 많이 쓰이는… 더보기

왜 이학교에 지원합니까?

댓글 0 | 조회 1,534 | 2016.09.27
공동 지원서를 작성하는 학교의 보충 … 더보기

중학교 생활(1)

댓글 0 | 조회 1,533 | 2012.11.01
중학교에 들어가면 초등학교와의 가장 … 더보기

지원서 접수와 후속조치

댓글 0 | 조회 1,532 | 2018.02.02
지난 번 칼럼에서 조기 지원 결과에 … 더보기

성품 셋 - 인내

댓글 0 | 조회 1,531 | 2018.03.30
교육 및 유학 상담을 하면서 보면 상… 더보기

공부 외에 꼭 필요한 기술(2)-대화술

댓글 0 | 조회 1,530 | 2018.11.16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가 이루어져… 더보기

졸업 후 프로그램(Post Graduate Program)

댓글 0 | 조회 1,523 | 2017.11.22
우리 나라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에게 잘… 더보기

대학에서 문제 해결 기술을 연마하라

댓글 0 | 조회 1,515 | 2017.05.24
이제 곧 Back to College… 더보기

대학생의 학습 의욕 높이기

댓글 0 | 조회 1,506 | 2014.01.29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서 의욕은 일의… 더보기

자신의 학습 습관을 점검하십시오

댓글 0 | 조회 1,491 | 2016.10.26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 더보기

내가 시간의 주인이 되자

댓글 0 | 조회 1,477 | 2015.05.26
지난 주에는 성공적인 12학년 2학기… 더보기

공부 외에 꼭 필요한 기술(3)-글쓰기

댓글 0 | 조회 1,475 | 2018.11.27
지난 호 칼럼을 통하여서 대학에서 정… 더보기

대학공부: 교과서 읽기

댓글 0 | 조회 1,464 | 2017.04.27
대학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그냥 소… 더보기

대입 지원 마무리

댓글 0 | 조회 1,457 | 2017.08.23
지난 번 칼럼에서 조기 지원 결과 발… 더보기

대학에서의 인간관계

댓글 0 | 조회 1,448 | 2013.08.27
이번 주에는 오늘날의 대학생활에 있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