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불안과 공포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코로나바이러스 불안과 공포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0 개 2,570 김임수

코로나바이러스로 전 세계 인류가 죽음의 공포에 휩싸여 있다. 바이러스의 위험은 가상의 것이 아닌 엄연히 존재하는 실재의 위협이다. 

 

뉴스를 통해서 흰색 방호복을 입고 방역을 하며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의 지친 모습, 시민들이 공포의 사재기를 하는 모습, 그리고 텅빈 거리의 모습을 보면서 불안한 마음이 생기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그렇지만, 우리가 지난 수세기 동안 몇차례 전염병의 대유행 (pandemic)을 겪으면서 터득한 사실이 있다. 과학적인 증거에 기반한 사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또 개인과 공동체가 지켜야 할 대응수칙을 충실히 따른다면 이를 능히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내게 발생할 수도 있고 혹은  발생하지도 않을 (이 경우가 훨씬 가능성이 높다) 전염병에 대한 불안과 공포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뉴질랜드의 임상 심리학자 (Clinical Psychologist) Karen Nimmo가 7가지 조언을 제시한다. 

 

1. 반응은 전염된다. 

 

불안감은 전염성이 높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당신에게 침투할 가능성은 낮지만 당신의 반응에서 이미 침투한 바와 다름이 없다. 자녀들을 생각해 보라. 당신의 자녀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좌지우지되는 사람으로 키우고 싶은가. 당신의 감정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그러나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대화하도록 힘써야 한다. 일부러라도 그렇게 해야 한다. 

 

2. 패닉하지는 말되 관심있게 지켜보자

 

대유행병 (Pandemic)이 휩쓸고 있을 때 우리는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더욱 절실히 실감하게 된다. 대유행병의 실체가 그렇다. 그러나, 대비는 우리의 몫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꾸준히 업데이트하되, 코로나바이러스의 모든 것에 대해서 알 필요는 없다. 공포를 일으키는 뉴스와 SNS는 멀리해야 한다. 

 

3. 공포의 사재기를 하지 말자.


지금과 같은 위기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사는 것을 나도 사고 싶은 것은 본능적인 반응이다. 그것이 특별히 부족물품이라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화장지를 싹쓸이 해서 사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인 행동이다. 다른 사람들도 방광과 대장이 있기 때문이다!!! 설령 수퍼에서 마지막 남은 물건을 살 수 있었다고 해도 이를 자랑하지 마라. 올림픽에서 금메달 딴 것이 아니다. 

 

4. 제 시간에 제대로 된 방법으로

 

심리학에서 합리적인 생각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자동화된 부정적인 생각’ 이다. 이는 무슨 일이든지 가장 최악의 상황을 머리속에 그리고, 그것이 일어나기도 전에 근심과 걱정을 하는 것이다.  

 

당신이 그런 경향이 강하다면, 잠시 휴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모든 사람이 그렇다. 만약 이런 극단적인 걱정에 계속 휩싸이게 방치한다면 불안증과 우울증으로 빠지기 쉽다. 지금과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시점에는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을 돌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근심과 걱정의 쓰나미가 몰려 오면 다른 대안적 활동을 바로 하는 것이 좋다. 명상과 가벼운 운동을 권한다. 어느 공간에 있든지 자신을 돌보는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사람들과 연결하라.


이런 재난적 상황에서는 사랑하는 사람과 가족들, 그리고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더 끌리고 의존하게 된다.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고 힘이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화상통화, 메세지 등 IT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하자. 


6. 하루를 잘 설계하자.

 

당신이 쉽게 초조해지는 성격이라면 일상의 계획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잠자리에 들기전에 다음날 해야 할 일 5가지를 적어본다면, 하루를 움직이게 하는 중요한 프레임을 가지고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일과를 마치고 성취감을 맛볼 수도 있다. 


7. 연민의 정을 가져라

 

물론, 전 세계에 동정심을 가질수는 없다.  그러나, 주변의 친지들에게는 가능하다. 만약 주변에 도움을 줄 사람이 한명도 없다면 찾아나서라. 코로나바이러스 소식을 전달하지 말고 긍정적인 말을 전하자. 분명 사랑의 힘이 전염병을 이겨낼 것이기에. 

 

김 임수  심리상담사 / T. 09 951 3789 / imsoo.kim@asianfamilyservices.nz       

2021년 새해 정신건강을 위한 한 걸음

댓글 0 | 조회 1,777 | 2021.02.09
새해를 맞이하면서 늘 그렇듯이 건강을… 더보기

자기 연민에 빠지는 부모

댓글 0 | 조회 2,691 | 2020.12.23
과거나 지금이나 부모노릇이 힘든 건 …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의 깊은 슬픔 그리고 극단적 선택

댓글 0 | 조회 1,945 | 2020.12.08
죽음에 대해 말하지 않는 문화를 가진… 더보기

소리 지르는 부모, 소리 지르는 자녀

댓글 0 | 조회 2,463 | 2020.11.24
과거에도 짜증내고 소리지르는 자녀들이… 더보기

중독과 치료

댓글 0 | 조회 1,653 | 2020.11.11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등 4… 더보기

정신 건강과 아시안 헬프라인

댓글 0 | 조회 1,543 | 2020.10.29
여러가지 정신 건강과 동양인들의 대응… 더보기

부정적인 감정을 생각으로 바꾼다?

댓글 0 | 조회 1,331 | 2020.09.23
우울감, 슬픔, 화, 실망감, 좌절감… 더보기

분노의 대물림-가정 폭력의 가해자

댓글 0 | 조회 1,816 | 2020.09.09
2007년 Journal of Fam… 더보기

다른 인종에 비해 9.5배 높은 동양인들의 문제 도박

댓글 0 | 조회 2,558 | 2020.08.25
도박의 해를 알리는 주간은 일년에 한… 더보기

투표와 이민자로써의 혜택

댓글 0 | 조회 1,802 | 2020.08.11
처음 뉴질랜드에 정착하고 나면 선거에…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피해자가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1,460 | 2020.07.29
지난 번 칼럼에서는 피해자가 스스로가… 더보기

뉴질랜드 거주 동양인들의 66%가 도박자

댓글 0 | 조회 3,920 | 2020.07.15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는 보건 복지부의… 더보기

가정 폭력 시리즈 - 분노의 피해자 1

댓글 0 | 조회 1,386 | 2020.06.24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며 알 듯이 코… 더보기

우울감과 수면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956 | 2020.06.10
지난 칼럼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증상… 더보기

공황장애

댓글 0 | 조회 2,056 | 2020.05.27
첫번 째 - 공황장애전쟁이나 국가 재… 더보기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불안과 공포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댓글 0 | 조회 2,571 | 2020.03.24
코로나바이러스로 전 세계 인류가 죽음… 더보기

'Tall Poppy Syndrome’ 과 ‘튀지말고 중간만 가라’

댓글 0 | 조회 1,161 | 2020.02.26
2019년 올해의 뉴질랜드 체육인 (… 더보기

2020년 행복을 위한 10가지 행동지침들

댓글 0 | 조회 1,783 | 2020.01.29
올해만큼 연말 연초를 심란하게 보냈던… 더보기

싸가지없는 젊은이들 vs 경우없는 어른들

댓글 0 | 조회 2,092 | 2019.11.27
제목부터 속어를 사용해서 송구하다. … 더보기

자살문제, 이제는 함께 나서야 합니다

댓글 0 | 조회 1,519 | 2019.10.22
지난 10일 오클랜드대학교에서는 ‘한… 더보기

조장관의 딸, 나대표의 아들

댓글 0 | 조회 1,452 | 2019.09.24
한국 정치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분들… 더보기

바야흐로 유투브 (YouTube) 전성시대이다

댓글 0 | 조회 1,551 | 2019.08.27
이민생활을 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의 … 더보기

이민자 시선으로 본 영화 ‘기생충’, 냄새와 선을 넘는 것

댓글 0 | 조회 2,192 | 2019.06.25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보았… 더보기

장애가정, 싱글맘가정, 빈곤가정을 생각합니다

댓글 0 | 조회 1,651 | 2019.05.29
5월 가정의 달, 독자여러분 가족들과… 더보기

뉴질랜드 인종차별, 그 불편한 진실

댓글 0 | 조회 3,725 | 2019.04.24
“뉴질랜드는 염 병할 인종차별 국가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