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0 개 1,865 피터 황


감미로운 향기와 감성적인 자태를 지닌 장미의 종류가 이 세상에 25,000종이 넘는다고 한다. 같은 친척끼리만 묶어도 수백 개의 족보가 된다. 빨간 장미는 ‘욕망과 열정, 기쁨’, 하얀 장미는 ‘존경과 순결’을 노란 장미는 ‘질투와 사랑의 성취’를 의미한다고 한다. 또 핑크 빛 장미는 수줍어하는 여인의 발개진 볼을 닮았는데 ‘행복한 사랑’을 뜻한다.


아무튼 여름이 다 가기 전에 우린 ‘사랑하는 연인들을 위한 와인’이라는 부제가 붙은 장미향의 로제(Rose) 와인을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할 것 같다. 열기가 식어버린 사랑이 비릿하듯, 아직까진 뜨거운 여름의 끝자락을 붙들고 더 늦기 전에 목긴 와인 잔에 따라놓은 핑크 빛 로제와 마지막 사랑을 나누어야 한다.


한 여름 밤의 로맨스를 연상케 하는 로제와인은 핑크 빛 컬러와 장미향의 부드러운 맛으로 여름와인의 대명사가 되었다. 대부분의 와인은 얼음을 넣어 먹지 않지만 로제와인은 얼음을 넣어 마시거나 탄산수나 시럽을 넣어 와인 칵테일을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로제(Rose)의 맛은 가볍고 신선하여 화이트와인에 가깝고 색은 화이트와인과 레드와인의 중간이다. 로제와인은 보존기간이 짧아 오래 숙성시키지 않으며 화이트와인처럼 차갑게 마시는 것이 좋다. 제조방법은 레드와인과 같이 붉은 포도의 과육과 껍질을 같이 넣고 발효시키다가 색이 우러나오면 압착해서 껍질을 제거한 후 과즙만을 가지고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이 전통적인 방법이다. 한편 미국에는 가볍고 달콤한 로제와인이 있는데 1970년대 초반 가장 열광하던 음료, 콜라의 달면서도 톡 쏘는 맛에 과일 맛을 가미해 가벼운 와인을 생산했던 것이 전 세계적으로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것이 화이트 진판델(Zinfandel)이다.


하지만 뉴질랜드의 무더운 여름 해변가에서 가장 많이 마시는 로제는 갈증을 없애 줄 수 있는 단 맛이 없는 드라이(Dry)한 와인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음식물이 쉽게 상해서 배탈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 와인을 곁들여 먹게 되면 식중독증후군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와인이 소화액의 산도를 높여줘 시겔라나 살모넬라 같은 균들이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매력적인 와인, 로제는 생선요리나 어패류 그리고 샐러드와 같은 과일야채와 잘 어울리고 로제 샴페인이나 로제 스파클링도 입안에서 간질간질 터지는 거품과 함께 청량감이 더해져 여름을 행복하게 해준다. 


와인 농장에 가보면 포도밭의 초입에 장미를 심어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포도농장에 침범한 병충해를 경고해 주는 파수군이다. 병충해에 매우 약한 병든 장미를 보고 포도농장에 병충해가 왔음을 아는 것이다. 하지만 장미도 해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독을 품은 가시를 달고 있다. 그리스 신화는 장미의 가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한다, 어느 날 큐피드가 장미꽃의 아름다움에 반해서 키스를 하려는 순간 장미를 사랑하던 벌이 날아와 큐피드의 입술을 쏘아 버렸다. 화가 머리끝까지 난 큐피드의 어머니 비너스는 많은 벌들의 엉덩이에서 침을 뽑아서 장미줄기에 붙여 버렸다. 이것이 장미가시가 되었고 벌은 장미를 사랑하지만 함부로 다가갈 수 없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의아한 일이지만 엑스레이(X-Ray)로 장미를 찍으면 가시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어쩌면 장미의 가시는 존재하지 않는데도 벌들의 마음속에 있는 아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더욱 날카롭게 보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만약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을 망설이고 있다면, 장미향기를 가득 담은 로제와인과 진실한 마음이 담긴 키스를 전하라. 그로부터 그대에게 장밋빛 사랑이 시작된다. 장미의 가시가 독을 품은 이유는 당신의 용기를 시험하기 위해서 일 수도 있다.

슬기로운 와인생활

댓글 0 | 조회 1,964 | 2020.06.10
슈퍼마켓 완전정복 (2)이태리 베네치… 더보기

개천용(龍)들의 소울푸드, 라면의 정석

댓글 0 | 조회 1,962 | 2020.11.11
영화 ‘넘버 3’의 삼류킬러 송강호는… 더보기

돈으로 고상함을 사지말라

댓글 0 | 조회 1,957 | 2012.01.31
‘비쌀수록 잘팔린다’는 귀족배짱마케팅… 더보기

말(馬)이야 막걸리야

댓글 0 | 조회 1,918 | 2020.08.11
구불구불한 골목의 끝에 다다라서야 간… 더보기

거품(Bubbles)에 취하다

댓글 0 | 조회 1,909 | 2014.12.09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을 두고 거품일… 더보기

불경기 와인, 쉬라즈의 매운 유혹

댓글 0 | 조회 1,876 | 2012.04.11
차가워진 바람에 젖은 낙엽이 뒹구는 … 더보기
Now

현재 한여름 밤의 사랑고백, 로제(Rose)

댓글 0 | 조회 1,866 | 2013.03.12
감미로운 향기와 감성적인 자태를 지닌… 더보기

창업노트(Ⅰ)- 발 품이 금품이다

댓글 0 | 조회 1,834 | 2014.03.12
가을 같은 날씨에 늦장을 부리던 매미… 더보기

바람이 빚은 소비뇽 블랑, 그 보라빛 향기

댓글 0 | 조회 1,834 | 2013.02.13
‘싱그러운 아침 햇살이 풀잎에 맺힌 … 더보기

우주의 리듬을 마신다, 유기농 와인

댓글 0 | 조회 1,831 | 2012.03.13
매미와 귀뚜라미가 언제 울어야 할지 … 더보기

막걸리 사발과 와인 잔에 담긴 비밀

댓글 0 | 조회 1,818 | 2012.07.11
세상만물엔 다 존재의 이유가 있다. … 더보기

음식은 이제 패션이다

댓글 0 | 조회 1,812 | 2020.02.11
솔직하게 말해서 예쁜 건 마다하기 힘… 더보기

부케(Bouquet), 당신의 코앞에 행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807 | 2012.05.08
집 한켠에 텃밭을 가꿔 유기농 채소를… 더보기

상식을 깨는 돌연변이

댓글 0 | 조회 1,798 | 2019.04.10
피노(Pinot)라는 말은 솔방울을 … 더보기

봄은 샤도네이처럼 담백하라

댓글 0 | 조회 1,793 | 2012.09.12
냉이는 아직 이른 봄이다. 하지만 서… 더보기

험한 세상에도 도인(道人)은 있다

댓글 0 | 조회 1,788 | 2012.01.18
일순간에 백만장자가 되고 유명인사가 … 더보기

맛과 향의 연금술, 발효의 비밀

댓글 0 | 조회 1,786 | 2019.12.10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볶거나 갈 때 … 더보기

복권대신 리슬링(Riesling)과 꽃을 사라

댓글 0 | 조회 1,732 | 2012.10.10
봄은 원래 더할나위없이 변덕스럽다. … 더보기

소주, 이슬같이 투명한 그대

댓글 0 | 조회 1,726 | 2019.09.11
1991년 프랑스 보르도에서 제 1회… 더보기

와인은 슈퍼마켓이 싸다

댓글 0 | 조회 1,720 | 2012.08.15
그렇다. 호객을 위해서 Loss Le… 더보기

전장(戰場)에서 목이 날아간 샴페인

댓글 0 | 조회 1,714 | 2019.07.10
1813년 나폴레옹 전쟁 당시, 러시… 더보기

맥주의 품격

댓글 0 | 조회 1,703 | 2020.07.15
슈퍼마켓 완전정복 (3)겨울철에도 맥… 더보기

바다로 간 산타클로스

댓글 0 | 조회 1,702 | 2020.12.08
숨죽여 가만히 정지해 있거나 심지어 … 더보기

와인은 문화(Culture)다

댓글 0 | 조회 1,693 | 2013.04.10
짚신장수와 우산장수 아들을 둔 어미의… 더보기

나의 혈액형은 카베르네

댓글 0 | 조회 1,685 | 2019.06.11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이 있듯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