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강 만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도강 만세

0 개 1,076 명사칼럼

1960년대인 대학시절에 필자는 경영학과로 진학했었다. 법학과나 상학과는 주위에 전공자가 너무 많았다. 인문계통이면서도 조금은 새롭고 특성이 있는 방향으로의 진학 방향을 놓고 주위의 선배 여러분들에게 의견을 물었다. 결국 경영학 전공으로 정하고 그 학과로 진학했다. 당시로서는 경영학은 비교적 새로운 인문 분야로 미국에서 전공한 젊은 교수님들이 가르치기 시작한지 그리 오래지 않았다. “Computer”와 “CAD/CAM”(컴퓨터에 의하여 설계하고 생산/제조하는 시스템) 등의 낯선 용어들이 첨단적 경영기법으로 나돌기 시작할 때였다. 모든 강의와 교과서는 능률과 효율을 중요시하고 생산성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었다. 경영학은 결국 경영요소를 합리적으로 활용하고 경제 분석기법과 경영관리기법 등을 활용하여 계획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영관리 기법으로는 예를 들면, 3S 경영관리 방법인 미국의 자동차 왕 Henry Ford가 일찍이 적용한 “표준화, 단순화, 전문화”와 또 경영 Cycle인 Plan-do-see(계획-집행-분석) 등이 강의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치는 사실 현장에서 조금만 생각하면 떠오를 수 있는 내용으로 보였다. 물론 선행계획법(LP:linear programming)이나 경제분석기법 활용(OR:Operation Research) 등 낯선 기법과 용어들이 앞으로 발전할 Cybernate 세계를 암시하는듯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새로운 맛은 있었으나 인문학적 깊이보다는 현장 중심의 실무적 해결을 모색하는 기법이 중심이었다.  결국 “속세학(俗世學 Secular Science)” 이라고 경영학 Note표지에 쓰고는 젊은 가슴에 넓은 인문적 교양을 먹일 수 있는 길을 생각했다. 생각 끝에 다른 인문학과 강의에 들어가 끼어 앉아 듣는 도강(盜講)을 하기로하고 인문학과를 노렸다. 그 학과에 수강신청도 하지 않았으니 그저 자유롭게 강의만 들으면 되었다. 도(盜)자가 결국 훔치거나 턴다는 글자이라 마음에 걸렸지만 어쩌는 수 없이 감행하기로 했다.



그 때에는 전 학과의 한 학기 강의시간표를 한번에 볼 수 있어서 노리는 학과의 강의 시간과 교실을 알 수 있었다. 천행이었다. 지식은 힘이요 지혜의 근본이라고 했다. 우선 영문학과를 털기로 하고 시간표에 따라 교실에 들어갔다. 영문학과 강의에서 영시(英詩) 강의를 들었다. 목마름에 샘물 같은 인문학 강의, 그 강의실 분위기부터가 상경계와는 달랐고 교수님의 장발을 뒤로 넘긴 Hair style 또한 멋이 넘쳤다. 물론 한 학기를 들었다. 문제가 생겼다. 강의를 듣는 학생 수가 고작 20여명으로 필자는 신분이 곧 들통나 “도토리” 신세였지만… 영어 시어(詩語)가 갖는 토속적 의미와 그 깊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 강의로 필자는 개인적으로 영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나중에 품위(?)를 지키는 영국 사람들과의 식탁 대화에도 잘 활용할 수 있었다. 아직도 마음 속에서 숨을 쉬고 있는 영시로는 영국 시인 Alexander Pope의 “Solitude”와 미국 시인인 Henry W. Longfellow가 쓴 “The Village Blacksmith”가 있다. Latin어 시간도 털었다. Europe의 언어에서 갖는 Latin어의 위치도 알 수 있었고 Europe 언어와 학문적 전문용어의 뿌리가 Latin어임을 이해했다. 또 형용사가 명사 뒤에서 수식하는 것도 배웠고 Latin어를 “lingua mortua”<죽은 언어> 라고 함도 알게 되었다. Latin어처럼 일상 생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이기 때문에 부쳐진 이름이다. Latin어에 관한 이런 짤막한 지식이 Europe 사람들과의 업무접촉과 그 곳을 여행하는 동안 첨단 경영기법 못지 않게 넉넉한 도움이 되었다. 어느 학기에는 논리학도 털 수 있었다. 그러나 털려 다가 미수에 그친 과목이 더 많았다. 특히 서양 문화사, 중국 근대사 그리고 신학 등이다. 특히 문예부흥시대를 전후한 Europe의 기독교와 예술과 사회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풀 수 있었던 기회를 못 살려 아직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 하고 있다. 이렇게 도강에서 얻은 여러가지 지식은 새로운 경영기법과 함께 잘 어울려 지식에 균형감각을 지키게 하였으며 특히 서양 인사들과 여러가지 활동하는데 많은 덕을 베풀어 주었다. 


지금 우리는 모든 정보와 지식이 Online 덕택으로 우리 손가락 끝에까지 와 있는 믿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전문적 지식으로부터 폭 넓은 교양 분야까지도 깊이 만날 수 있는 정보의 푸르른 바다가 눈 앞에 활짝 열려 있다. 다른 사람들의 교실에 들어가 도토리가 될 필요가 없어졌다. Coronavirus로 출입과 생활환경이 울퉁불퉁하여 출입도 불편한 지금, “재택 도강(?)”을 통해 평소 부족함을 느꼈던 분야를 채워 봄도 좋을 듯하다. 어느새 여름도 기울어지고 가을이 문턱에 와 있다. 사색(思索)의 계절인 가을… 자신을 위해 온전한 지적균형을 시도할 수 있는 고마운 계절이 오고 있다.


■ 유 승재 (한민족한글학교 BOT의장)   


75d90cdab88991a851d94d22ef9218d5_1618352996_9584.jpg
 

러시아: 침략과 후진성

댓글 0 | 조회 910 | 2022.04.13
‘침략’의 의도들은 시대마다, 나라마… 더보기

누가 감히 우크라이나를 조롱하는가

댓글 0 | 조회 1,617 | 2022.03.23
“여기저기서 기관총을 조준사격하고 있… 더보기

나를 만든 한 권의 책 <<문학과 미술 사이>>

댓글 0 | 조회 893 | 2022.03.09
대학과 학문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품… 더보기

한글학교 - 미래의 자산

댓글 0 | 조회 1,263 | 2022.02.23
5천여 년이란 길고 긴 역사의 물결과… 더보기

SNS 시대, 개인 내면의 소멸?

댓글 0 | 조회 1,087 | 2022.02.10
저는 아무래도 사화관이나 정치관은 (… 더보기

이대남의 생각

댓글 0 | 조회 939 | 2022.01.26
■ 오 길영오늘자 토요판 종이신문에서… 더보기

백석, 우리 시대 시인들의 시인

댓글 0 | 조회 1,062 | 2022.01.11
■ 백 승종백석은 자신이 태어난 마을… 더보기

멋 있게 사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1,164 | 2021.12.21
요즘 팬데믹으로 불편하고 때로는 위축… 더보기

<오징어게임>의 함의

댓글 0 | 조회 931 | 2021.12.07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은… 더보기

아빠, 내 이름은 무슨 뜻이야?

댓글 0 | 조회 1,497 | 2021.11.23
최근에 한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중 … 더보기

내가 그 때에 왜 행복했는가?

댓글 0 | 조회 921 | 2021.11.10
그제 10살이 된 딸내미와 같이 텔레… 더보기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력은 ‘공감력’에서 출발

댓글 0 | 조회 1,068 | 2021.10.28
늦은 시간 술에 취한 남자가 택시를 … 더보기

내 손가락 끝에 모든 것이

댓글 0 | 조회 1,256 | 2021.10.13
언젠가 한 Rotary Club 모임… 더보기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댓글 0 | 조회 1,962 | 2021.08.25
■ 김 무인1차 백신 주사를 며칠 전… 더보기

일본문학과 일본 친구를 좋아하는 한 비평가의 생각...

댓글 0 | 조회 1,016 | 2021.08.10
아마도 나는 누구보다도 일본의 친구들…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4)

댓글 0 | 조회 1,216 | 2021.07.27
다양성은 어디에?이번 역사교육 커리큘…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3)

댓글 0 | 조회 1,642 | 2021.07.14
이번의 역사적인 결정이 있기까지202…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2)

댓글 0 | 조회 1,205 | 2021.06.23
■ 김 무인자국 역사교육의 긍정적 효…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1)

댓글 0 | 조회 1,541 | 2021.06.10
머리말최근 지인으로부터 초중고교 뉴질… 더보기

어휘력의 한계가 내가 아는 세상의 한계

댓글 0 | 조회 1,121 | 2021.05.26
2007년 10월 3일 평양 외곽 백… 더보기

노만남매를 파키스탄으로 돌려보내야만 했을까?

댓글 0 | 조회 3,081 | 2021.05.11
■ 김 무인머리말이 블로그의 주 탐사… 더보기

무위당 장일순, 물질 만능의 세태를 질타하다

댓글 0 | 조회 1,015 | 2021.04.29
장일순(1928~1994)은 평생 단… 더보기
Now

현재 도강 만세

댓글 0 | 조회 1,077 | 2021.04.14
1960년대인 대학시절에 필자는 경영… 더보기

기대하던 영화 ‘미나리’를 봤다

댓글 0 | 조회 1,693 | 2021.03.23
■ 오 길영 충남대학교 교수, 문학평… 더보기

상처받은 시인의 아름다움

댓글 0 | 조회 1,043 | 2021.03.09
지금으로부터 34년 전인 1987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