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의 GST 등록 (연매출 $60,000미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사업체의 GST 등록 (연매출 $60,000미만)

0 개 2,009 박종배

알려져있듯이 과거 12개월 동안의 매출이 $60,000이 넘었거나, 앞으로 12개월동안 매출이 $60,00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될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GST등록을 해야 한다.  그렇지만, 연 매출이 $60,000 미만인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GST등록을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번호에는 이렇게 연 매출이 $60,000 미만인 경우의 GST등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연매출이 $60,000 미만이면 GST등록을 할 필요가 없다’, ‘GST 등록하면 GST신고/납부를 해야 하니, 가능하다면 GST등록을 하지 않는 것이 세적으로 유리하다’ 자주 듣는 이야기중의 하나이다.  일리는 있지만, 항상 맞다고는 볼 수 없다. 

 

가장 쉬운 예로, 주 고객층이 사업체인 서비스업인 경우에는 연 매출액이 $60,000 미만이다 하더라도, GST를 등록하는 것이 세적으로나 사업체 운영에도 유리할 수 있겠다.  사업체 고객의 경우에는 지출에 대한 매입부가세를 클래임할수 있기 때문에 GST 납부에 대해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그리고, 서비스업자는 이런 매출부가세에서 사업관련 지출에 대한 매입 부가세를 클래임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세적으로 유리하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은 서비스업자가 GST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는 얘기는, 역으로 연 매출이 $60,000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서비스 자체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고객이 받는 선입견은 다를 수 있겠다. 

 

프랜차이즈인 경우에는 본사가 GST등록 요구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설사 예상 연 매출액이 6만불 미만이다 하더라도 GST등록을 해야 하겠다.  커머셜 혹은 학교 청소 프랜차이즈 등 각종 프랜차이즈가 이에 해당되는데, 사업체 성장을 기대하는 프랜차이즈 본사 입장에서 본다면, 스스로 턴오버 $60,000에 제한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하청인)을 향하는 시선이 곱지는 않을 것이다. 

 

사업초기에 투자금액이 큰 경우에는 당장 연 턴오버 $60,000 이상이 예상되지 않더라도, GST 등록하는 것이 세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성업중인 비지니스 가격은 항상 $000 + gst (if any) 이렇게 결정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매수인과 매도인이 GST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Going Concern으로 매수인은 $000만을 납부한다.  그렇지만, 매수인이 GST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면, GST 또한 납부해야 한다.  예를들어 보겠다. 사업체 가격이 $30,000 + gst (if any)라 하자, 이 경우 매수인이 GST등록이 되어있다면 $30,000 (going concern), GST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GST를 포함해서 $34,500를 납부해야 한다.  그리고, 사업초기에 고정자산을 구입한다면, GST신고시에 이에 대한 매입GST를 클래임할 수 있어서 GST를 등록하는 것이 세적으로 유리할 수 있겠다. 

 

사업자의 선택에 의해 성공하겠다는 Business mindset에 맞추어 매출에 상관없이 GST등록을 하기도 한다.  충분한 성장 가능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처음에 GST등록을 하지 않았고, 매출이 $60,000이 도달하기 직전에, GST신고 및 납부에 부담을 느껴 성장을 의도적으로 멈추는 경우도 존재한다.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기대하는 사업주는 GST등록을 피하기 보다는 어떻게하면 사업체를 성장시킬 것인가 (매출을 높일 것인가) 에 대해 고민하고 운영 과정에 다가올 어려움을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a820fa8aeb9ca6706a4b3ee85eddd0f1_1524635945_6623.jpg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 (AEOI)

댓글 0 | 조회 3,112 | 2018.05.23
첫 국가간 자동 정보교환은 일정대로라… 더보기

전자화폐 (Cryptocurrency)

댓글 0 | 조회 1,661 | 2018.05.10
이번호에는 IRD의 자료를 근거로 전… 더보기
Now

현재 사업체의 GST 등록 (연매출 $60,000미만)

댓글 0 | 조회 2,010 | 2018.04.25
알려져있듯이 과거 12개월 동안의 매… 더보기

세법 및 고용관련 변경 내용

댓글 0 | 조회 2,357 | 2018.04.13
이번호에는 IRD 및 세금과 관련하여… 더보기

가족수당 변경내용 -2

댓글 0 | 조회 2,878 | 2018.03.28
이번호에는 2018년 7월 1일자로 … 더보기

가족수당 변경내용 -1

댓글 0 | 조회 3,500 | 2018.03.15
이번호와 다음호에 걸쳐 오는 2018… 더보기

개인소유물 (Personal Property) - 2

댓글 0 | 조회 1,188 | 2018.02.28
<이전호 이어서 계속>이번… 더보기

개인소유물 (Personal Property) - 1

댓글 0 | 조회 1,290 | 2018.02.15
이번호에는 개인소유물 (Persona… 더보기

ACC-7. ACC Levy 고지서의 이해

댓글 0 | 조회 1,469 | 2018.01.31
(이전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AC… 더보기

ACC-6. 고용주 업무

댓글 0 | 조회 1,544 | 2018.01.17
(이전호 이어서 계속)이번 호에는 고… 더보기

ACC-5. 사망시의 혜택과 신청절차

댓글 0 | 조회 1,739 | 2017.12.20
(이전호 이어서 계속)이번호에는 사고… 더보기

ACC-4. 치료, 소득보상 이외의 혜택

댓글 0 | 조회 1,509 | 2017.12.07
(이전호 이어서 계속)ACC에서는 상… 더보기

ACC-3. 해외 이주자의 소득보상

댓글 0 | 조회 1,468 | 2017.11.22
뉴질랜드 방문자 및 해외여행자와 관련… 더보기

ACC-2. 소득보상

댓글 0 | 조회 2,043 | 2017.11.08
(지난호 이어서 계속)사고로 인해 의… 더보기

ACC-1. 소개

댓글 0 | 조회 1,507 | 2017.10.26
누구나 한번쯤 의료기관 방문시 ACC… 더보기

보너스 및 휴가보상비에 대한 PAYE계산

댓글 0 | 조회 2,045 | 2017.10.11
연말연시에 고용주로부터 자주 받는 질… 더보기

키위세이버 정부지원 (Members Tax Credit)

댓글 0 | 조회 2,181 | 2017.09.27
이번호에는 키위세이버 정부지원인 Me… 더보기

장부 및 매출·매입 증빙

댓글 0 | 조회 1,864 | 2017.09.13
이번호에는 IRD자료를 바탕으로 사업… 더보기

노동당의 공약 - 세제 및 가족수당 외

댓글 0 | 조회 2,519 | 2017.08.23
지난 7월 노동당은 총선을 대비한 세… 더보기

IRD감사: 자산증가 Case(Ⅱ)

댓글 0 | 조회 2,169 | 2017.08.09
<이전호 이어서 계속>■ … 더보기

IRD감사: 자산증가 Case(Ⅰ)

댓글 0 | 조회 1,939 | 2017.07.26
<이전호 이어서 계속>이번… 더보기

IRD감사 - 자산증가 (Asset Accretion)

댓글 0 | 조회 2,034 | 2017.07.12
대략 1999년으로 기억한다. 당시 … 더보기

가족수당 변경내용 (2018년4월1일자)

댓글 0 | 조회 6,214 | 2017.06.28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2017년도… 더보기

국민당정부의 세금감세정책

댓글 0 | 조회 1,841 | 2017.06.13
알려져 있듯이 국민당정부의 2017년… 더보기

고용주의 키위세이버 업무

댓글 0 | 조회 2,953 | 2017.05.24
고용주로부터 받는 가장 많은 질의중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