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ch Color?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Which Color?

0 개 3,364 한상영

뉴질랜드에 여름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긴 겨울이 지나고 수선화, 튜울립이 피고 지고, 진분홍 카페트처럼 정원 한 편을 뒤 덮은 핑크 아이스라는 이름의 선인장 꽃들이 시들어 갈 때쯤 장미들이 여기저기서 피어나기 시작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수채화처럼 정원을 물들이는 꽃들과 과일들의 색깔을 보면서 변화하는 계절을 눈으로뿐만 아니라 가슴으로, 또 향기로도 느끼게 하는 것이 뉴질랜드의 자연이다. 특히 솜털 구름이 풍선처럼 두둥실 떠 다니는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반짝이는 잎사귀들과 꽃들이 산들바람에 흔들릴 때는, 하나님이 손으로 지으신 만물의 아름다움에 감동되어 잠시 호흡을 멈추게 되기도 한다.

영어를 공부하면서 아주 재미있었던 것 중 하나는, 이렇게 우리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다채로운 색들이 한국에서와 뉴질랜드에서는 서로 다른 느낌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생명을 상징하는 초록색이 뉴질랜드에서는 질투의 감정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You have a Ferrari? I’m __________ with envy!”(너 페라리를 가졌구나! 나는 질투심으로 ___ 색이다.” 앞 문장 빈 칸에 들어갈 단어는 물론 ‘green(초록)’이다. 뉴질랜드 사람들에게도 초록색은 생명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질투심을 나타내는 색이 되기도 한다. 또한 성 패트릭의 날(Saint Patrick’s Day)에는 초록색을 몸에 지녀야 된다고 해서 머리핀 이라도 녹색 머리핀을 하는 사람들도 본적이 있다.

서양에서는 파란색은 슬픔을 나타내는 색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4,50대가 넘어선 분들은 ‘Blue, blue, my love is blue…’로 시작되는 ‘Love is Blue’라는 팝송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때 ‘blue’는 청명한 파란하늘이 주는 즐거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슬픔’을 나타낸다. 그래서 남자친구와 헤어지고 슬퍼하는 여성을 보면 ‘She is feeling blue.(그녀는 슬프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는 다쳐서 멍이 들었을 때 ‘black and blu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파란색은 결혼 할 때 신부가 지녀야 할 것들에도 포함 되는데, 서양에서는 ‘When they get married, the bride should wear something old, something new, something borrowed, and something blue.(결혼할 때, 신부는 오래된 것, 새로운 것, 빌려온 것, 그리고 파란 것을 몸에 지녀야 한다.)’라는 관습이 있어서 어떤 TV 연속극에서 갑자기 감정에 휩싸여서 급하게 결혼하려고 하는 연인들이 파란색 티셔츠를 상점에서 훔쳐다가 입고 결혼식을 올리고는 몰래 다시 가져다 놓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When there is no power(electricity) at night, people say, “There is a black out.”(밤에 전기공급이 끊길 때 사람들은 ‘black out(정전)’이라고 말한다. 또한 ‘The solution is not quite as black and white as you might think.(해결책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아주 쉽지는 않다.)’이라고 말하면 ‘검은 색과 하얀 색을 구별하듯이’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가 된다. 그래서 ‘The solution is not quite as easy as you might think.’의 의미가 된다.
 

‘A lot of red tapes make it difficult to get things done quickly.(많은 규칙과 규정들이 빠르게 일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에서 ‘red tapes’는 규칙과 규정(rules and regulations)들을 의미한다. 또한 빨간 색은 한국에서와 비슷하게 분노, 당황(부끄러운 일을 당했을 때), 응급 상황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뉴질랜드의 중, 고등학교에서는 소설 또는 단편 소설 등을 읽고 그 책의 주제나 중요 사건들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그림(static image)을 그리고 그 그림에 사용된 색들과 형태들을 책의 주제과 관련시켜 설명하는 에세이를 쓰는 것이 교과 과정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색들이 뉴질랜드에서는 어떤 의미를 전달해 주는지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다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뉴질랜더’들의 기본적인 자세다.

2008년 맞기

댓글 0 | 조회 2,725 | 2008.01.01
1월1일과 2일이 공휴일인지라 혹시 … 더보기

접촉사고

댓글 0 | 조회 2,885 | 2007.12.08
오랜만에 버스를 타 봤다 뉴질에서는 … 더보기

General Knowledge about NZ

댓글 0 | 조회 2,761 | 2007.11.03
1. 새로 선출된 Auckland 시… 더보기

실망스러운 ABs

댓글 0 | 조회 2,776 | 2007.10.13
예상외로 뉴질랜드는 프랑스에게 졌다 … 더보기

럭비 월드컵

댓글 0 | 조회 2,915 | 2007.09.17
요즘 뉴질랜드는 럭비월드컵땜에 난리인… 더보기

바쁜 엄마

댓글 0 | 조회 2,904 | 2007.07.28
언젠가 한국에서 있었던 어느 연구조사… 더보기

수영은 언제까지?

댓글 0 | 조회 2,856 | 2007.06.16
매주 금요일이면 학교끝나자마자 아들을… 더보기

science activity challenge

댓글 0 | 조회 2,448 | 2007.06.08
Term 2가 되면서 어느날인가 아들… 더보기

IELTS

댓글 0 | 조회 2,556 | 2007.06.03
뉴질랜드에 와서 이런 영어테스트가 있… 더보기

School Assembly

댓글 0 | 조회 2,619 | 2007.05.10
학교다녀 온 아들이 웬 종이쪽지를 쑥… 더보기

Back to school 2

댓글 0 | 조회 2,004 | 2007.04.28
지금껏 미국에서는 워낙 학교내 총기사… 더보기

Back to school

댓글 0 | 조회 1,939 | 2007.04.27
Term 2가 시작됐다 부활절 연휴까… 더보기

방학 잘 보내기

댓글 0 | 조회 2,028 | 2007.04.14
요즘 Term 1이 끝나고 방학중이다… 더보기

키위 되기

댓글 0 | 조회 2,233 | 2007.04.09
뉴질랜드 교육부에서 펴낸 "Schoo… 더보기

축구 교실

댓글 0 | 조회 2,630 | 2007.03.29
아들녀석은 매주 월요일마다 방과후에 … 더보기

Music School

댓글 0 | 조회 1,784 | 2007.03.25
악기는 뭐든 하나 가르쳐야겠고 개인레… 더보기

학생비자신청시 변동사항

댓글 0 | 조회 1,890 | 2007.03.19
요즘 학생비자 신청하면 상당히 오래 … 더보기

이젠 내 자식 때리지도 못한다

댓글 0 | 조회 1,757 | 2007.03.19
3월내내 저녁 6시 뉴스시간에 거의 … 더보기

Korean New Zealanders

댓글 0 | 조회 2,088 | 2007.03.06
요즘 뉴질랜드에는 한국인이 관련된 사… 더보기

학교 숙제

댓글 0 | 조회 2,003 | 2007.02.19
Year 4가 되더니 학교숙제가 확 … 더보기

유치원 첫 날

댓글 0 | 조회 1,818 | 2007.02.08
유치원 개원날이 다 똑같은 줄 알았다… 더보기

유치원 보내기

댓글 0 | 조회 1,829 | 2007.02.02
이제 다음주(2월 7일)면 방학도 끝… 더보기

여행 후

댓글 0 | 조회 2,110 | 2007.01.10
여행을 하다보면 몸이 피곤하고 여기저… 더보기

여행

댓글 0 | 조회 1,794 | 2007.01.10
베이 오브 아일랜드에 다녀왔다 배타고… 더보기

최우수상

댓글 0 | 조회 2,250 | 2006.12.10
"Certificate of Mer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