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 Static Image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46] Static Image

0 개 3,205 KoreaTimes
Form 7 학생들은 이제 마지막 시험 성적을 끝으로 대학에 진학해야 하지만 Form 5, 6 학생들은 내년, 또 후년에 보게 될 NCEA 시험에 대비하기 위해서 미흡한 부분을 정리해 두어야 할 때다. Form 4 학생들도 내년 NCEA에 대비해서 앞으로 일년 동안 어떻게 공부를 해나갈 것인지 이 번 방학 때 방향을 잡아 두자. 그러므로 이 번에는 Form 4 학생들이 Form 5에 올라가서 바로 다루게 될 Static Images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Static Images는 Form 5의 첫 번째 학기에 점수를 받게 되는 내부 시험뿐만 아니라 Form 5, 6의
External English Test의 Unfamiliar Text 부분에서 출제되므로 static images에 쓰이는 language
techniques 나 visual features를 자세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static images가 무엇인지에대해 알아보자. Static images는 일종의 움직이지 않는 그림들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는 잡지, 만화, 카드, 포스터, 길거리의 표지판, 제품 설명서 그리고 신문 등에서 자주
static images를 만나게 된다.  Static images의 종류는 모든 움직이지 않는 그림들을 포함하므로 굉장히 다양한 데 주로 가족사진들(family photographs), 책의 삽화들(book illustrations), 만화(comics), 신문 잡지(newspapers, magazines) 등의 광고, 광고 게시판들(billboards), 배너 광고들(banners), 포스터들(posters), 차트들(charts), 표지판들(signs) 등이 모두 static images에 속한다고 보면 된다.

Form 5의 term 1에서 학생들은 short story(단편 소설)나 novel(소설)을 한 개씩 읽게 된다. 이 책을 읽은 후에 학생들은 한 개의 static image를 그리게 된다. 그 그림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1) 한 눈에 그 책의 주제나 중심 사상을 알아 보게 해주는 그림이 들어가 있어야 한다.
2) 주제 또는 중심 사상을 강하게 나타내주는 광고 문구가 간결하게 들어가 있어야 한다.
3) 그림은 주제파악에 도움이 되는 시각적 기법들(visual features/techniques)을 사용해서 그려야 좋은 점수를 받게 된다.
4) 광고 문구에는 language techniques(verbal features)를 사용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Static image를 그릴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이 그림을 가지고 한 개의 essay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위의 3), 4)번에 언급한 기법들이 들어가야
좋은 에세이를 쓸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static images를 접했을 때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할 수 있는 static image
그려 놓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1) 그 static image에 사용된 visual features(시각적 특징들)는 무엇인가 설명하기.  
2) 그 static image에 쓰인 visual features에 대해 설명하기.  
3) 사용된 언어기법과 시각적 기법(language technique & verbal features)의 목적이 무엇인지,  
4) 그 static image에 나타난 광고의 효과를 설명하기.

이러한 능력은 학년 말에 보는 NCEA English의 Unfamiliar Text 부분에서 static image를 보고 푸는 문제에서도 적용된다.

뉴질랜드 각급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static images를 가르치는 목적은 학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자신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것을 정확히 선택하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학기 초의
static image 그리기와 NCEA 외부고사에서 출제되는 문제 유형이므로 이 번 방학 때 미리 숙달해두는 것이 좋겠다. 다음은 학년말 학생들이 접하게 될 static images 문제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유형들이다.

1) How do the visual images support the main idea of the poster?
   (시각적 이미지들이 포스터의 중심 사상을 어떻게 지지해 주고 있는가?)
2) Identify two important features of the visual image in this advertisement.
   (이 광고에서 중요한 두 개의 시각적 효과들을 찾아서 써라.)
3) Identify the visual stereotyping in the image.
   (틀에 박힌 진부한 시각적 표현을 찾아서 써라.)
4) What kind of language technique is used in the headline (or in the written text)?
   (어떤 종류의 언어 기법이 표제에 사용되었는가?)
5) Why is this language technique effective in this advertisement?
   (이 광고에 쓰인 언어 기법이 왜 효과적인가?)
6)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image and the written words.
   (시각 이미지와 문자로 된 글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라.)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40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5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80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Ⅱ)

댓글 0 | 조회 1,933 | 2008.09.24
사람이 마음이 닫혀 있는 근본 원인은…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댓글 0 | 조회 1,724 | 2008.09.12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더보기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937 | 2008.08.27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3] 김유신의 말

댓글 0 | 조회 2,043 | 2008.06.25
김유신이 젊었을 때 천관(天官)이란 … 더보기

[382]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740 | 2008.06.10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1] 고해(苦海)

댓글 0 | 조회 1,619 | 2008.05.28
사람의 삶에는 참 행복이 없다. 그것… 더보기

[380] 고집(固執) - II

댓글 0 | 조회 1,686 | 2008.05.13
대원군은 자기의 고집 때문에 외부세계… 더보기

[379] 고집(固執) - I

댓글 0 | 조회 1,726 | 2008.04.23
'고집이 세다'는 말은 자기 생각이나… 더보기

[378] 계산하고 산다, 저울질하고 산다

댓글 0 | 조회 1,826 | 2008.04.08
어린 시절 어머니가 먹을 것을 주면 … 더보기

[377] 떠남

댓글 0 | 조회 1,661 | 2008.03.26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어린 시절 고… 더보기

[376] 두 그루 참나무 이야기

댓글 0 | 조회 1,970 | 2008.03.11
어느 집 뒤 야트막한 야산에 참나무 … 더보기

[374]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552 | 2008.02.12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 더보기

[373]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637 | 2008.01.30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 더보기

[372]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620 | 2008.01.15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 더보기

[371] 불나방(Ⅱ)

댓글 0 | 조회 1,542 | 2007.12.20
불나방이 동심원을 그리면서 불꽃으로 … 더보기

[370] 불나방(Ⅰ)

댓글 0 | 조회 1,560 | 2007.12.11
불나방은 불을 보면 날아가서 동심원을… 더보기

[369] 뜻밖의 결과(Ⅱ) - 영감(靈感)

댓글 0 | 조회 1,535 | 2007.11.28
만유인력. 뉴턴은 사과가 떨어지는 것… 더보기

[368] 뜻밖의 결과(Ⅰ) - 실수(失手)

댓글 0 | 조회 1,560 | 2007.11.13
비아그라. 최근 발기부전(勃起不全) … 더보기

[367] 모두가 내 탓(Ⅱ)

댓글 0 | 조회 1,521 | 2007.10.24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 더보기

[366] 모두가 내 탓(Ⅰ)

댓글 0 | 조회 1,502 | 2007.10.09
일체는 내가 있어서 내 탓이다. 내가… 더보기

[365] 남 탓하며 산다(Ⅱ)

댓글 0 | 조회 1,597 | 2007.09.26
시련을 겪으면 하늘을 원망하기도 합니… 더보기

[364] 남 탓하며 산다(Ⅰ)

댓글 0 | 조회 1,406 | 2007.09.11
여우가 길을 가다가 어느 집 담장 밖…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