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9] 감사하는 마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49] 감사하는 마음

0 개 1,711 KoreaTimes
‘나' 라는 존재의 근원은 창조주이다. 창조주의 섭리로 났고 창조주의 섭리로 살고 있다. 내가 살면서 이루어진 일체(내가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도 창조주의 섭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만상만물 일체는 창조주의 섭리로 났다. 먼저 존재의 기반이 되는 환경적인 것이 나오고 그 환경에 맞는 것들이 나왔다. 무한대 우주허공이 있어 수많은 별이 나오고 태양계에 해와 지구가 있으며 물과 공기가 있어 생명체가 나왔다. 땅이 있어 온갖 식물들이 나왔고 그 식물들을 먹고 사는 짐승, 곤충이 나오고, 그 짐승과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동물들이 나왔다. 물이 있어 플랑크톤이 나오고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물고기가 나오고 또 물고기를 잡아먹고 사는 상어도 나왔다. 산이 있어 산새가 나오고 들이 있어 들새가 나왔다. 일체가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또 나온 일체는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존재하고 살고 있는데 존재하고 사는 것도 이것이 있어 저것이 존재하고 사는 것이고 저것이 있어 이것도 존재하고 산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고 저것이 없으면 이것도 없으며 존재하고 살지도 못한다.

  사람이 나고 존재하고 사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사람이 난 것은 ‘만상만물이 있는’조건에서 나왔다. 그 만상만물 중에 어느 하나라도 없었더라면 나 아닌 다른 존재가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내가 난 것은 만상만물이 있어 난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가 나서 있는 것도 만상만물이 있어 있는 것이고 사는 것도 만상만물이 있어 사는 것이다.

  내가 난 것은 찰나적인 순간이다. 이 세상 이 우주에 있는 어떠한 것도 머무는 것은 없다. 일체는 흐르고 움직이고 변한다. 내가 나게 될 그 때에 찰나적인 지체(遲滯)나 빠름이 있었다면 내가 날 조건은 달라졌을 터이고 따라서 나는 나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존재하는 것도 마찬가지이고 내가 삶을 사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삶을 살면서 얻고 이루고 가지는 것 모두가 그러하다. 삶을 사는 순간 순간이 감사하다.

  그러므로 범사(凡事)에 감사하고 범물(凡物)에 감사하고 범시(凡時)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창조주가 있어 감사하고 우주가 있어 감사하고 만상만물이 있어 감사하고 모든 사람(가족, 이웃)이 있어 감사하다. 물과 공기가 있어 감사하고 꽃과 새가 있어 감사하고 박테리아가 있어 감사하다. 좋은 일이 있어 감사하고 궂은 일이 있어 감사하고 시련이 있어 감사하다. 하는 일 이루는 것 얻어 가지는 일체가 감사하다. 내가 나고, 나서 있고, 나서 사는 그 어느 한 순간도 감사하지 않은 때가 없다. 잠잘 때도 감사하고 일할 때도 감사하고 쉴 때도 감사하고 숨쉬는 것도 감사하다.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58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31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 더보기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91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93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57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107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9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2,006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105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17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62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7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9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16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48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31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87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Ⅱ)

댓글 0 | 조회 1,936 | 2008.09.24
사람이 마음이 닫혀 있는 근본 원인은…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댓글 0 | 조회 1,729 | 2008.09.12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더보기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943 | 2008.08.27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3] 김유신의 말

댓글 0 | 조회 2,046 | 2008.06.25
김유신이 젊었을 때 천관(天官)이란 … 더보기

[382]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746 | 2008.06.10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1] 고해(苦海)

댓글 0 | 조회 1,625 | 2008.05.28
사람의 삶에는 참 행복이 없다. 그것… 더보기

[380] 고집(固執) - II

댓글 0 | 조회 1,690 | 2008.05.13
대원군은 자기의 고집 때문에 외부세계… 더보기

[379] 고집(固執) - I

댓글 0 | 조회 1,731 | 2008.04.23
'고집이 세다'는 말은 자기 생각이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