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리(順理)의 삶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순리(順理)의 삶

0 개 1,592 KoreaTimes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들이 있어 들새가 있다. 물이 있어 물고기가 났고 땅이 있어 짐승이 났다. 일체가 조화로 났고 조화를 이루고 산다. 조화롭게 사니 상생(相生)의 삶이다.

  순리의 삶은 일체의 매임이 없는 삶이다. 과거지사(過去之事)에도, 장래의 일에도 매이지 않는다. 사람에게도, 세상사(世上事)에도, 재물에도, 명예에도, … 일체 매임이 없다.

  순리의 삶은 그냥 사는 삶이다. 이래서 살고 저래서 사는 삶이 아니다. 이리저리 재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냥 산다. 걱정하지도 번뇌 짓지도 않고 그냥 산다. 망설이지도 거칠 것도 없이 산다. 바람처럼 물처럼 사는 삶이다.

  순리의 삶은 최적(最適)의 삶이다. 최적(最適)의 삶은 또 최선(最善)의 삶이다.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메마르고 척박한 여건에 맞게 최적(最適)의 삶을 산다. 부족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뿌리를 깊게 벋어 한 방울의 물을 얻고, 몸체를 작게 하여 한 알갱이의 거름이라도 아끼고 산다. 비옥한 땅에 떨어진 씨앗 또한 그 환경조건에 맞는 최적(最適)의 삶을 산다. 순리의 삶은 하늘을 나는 새처럼, 들에 핀 들꽃처럼 그냥 사는 삶이지만 내 맡긴 삶이 아니다. 되는 대로 사는 삶이 아니다. 순리를 따라 그때그때의 조건에 맞는 최적(最適)의 삶을 사는 것이다. 최적(最適)의 삶을 살기에 최선(最善)의 삶이다. 최선(最善)의 삶을 살고자 하지 않고 그냥 사는 삶이지만 최선(最善)의 삶 그 자체이다.

  순리의 삶은 가짐이 없는 삶이다. 욕심으로 살지 않고 집착으로 살지 않는다. 가짐이 없으니 부족함이 없는 삶이고, 부러워하지도 시기하지도 않고 욕심부리지도 않는다. 가짐이 없으니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삶이다. 가짐이 없으니 이기적인 삶 살지 않는다.

  순리의 삶은 대 자유(大 自由)의 삶이다. 일체에 매임이 없어 자유롭고 일체 가짐이 없어 자유롭다. 일체의 걸림도 없고 일체의 막힘이 없어 자유롭다.

  순리의 삶은 대 지혜(大 智慧)의 삶이다. 아는 것이 있어 알고 사는 삶이 아니고 그 자체(眞理)이어서 다 알고 사는 삶이다. 그 자체이어서 그 자체로 그냥 산다.

  순리의 삶은 사람이 가지는 가짐의 마음 없이 사는 삶이다. 나 없이 사는 삶이다. 나를 벗어난 삶이다. 일체를 넘어선 삶이다. 완전한 삶이다.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9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91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55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105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8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2,004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102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14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58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6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8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15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46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30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85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Ⅱ)

댓글 0 | 조회 1,934 | 2008.09.24
사람이 마음이 닫혀 있는 근본 원인은…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댓글 0 | 조회 1,726 | 2008.09.12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더보기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940 | 2008.08.27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3] 김유신의 말

댓글 0 | 조회 2,045 | 2008.06.25
김유신이 젊었을 때 천관(天官)이란 … 더보기

[382]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745 | 2008.06.10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1] 고해(苦海)

댓글 0 | 조회 1,624 | 2008.05.28
사람의 삶에는 참 행복이 없다. 그것… 더보기

[380] 고집(固執) - II

댓글 0 | 조회 1,688 | 2008.05.13
대원군은 자기의 고집 때문에 외부세계… 더보기

[379] 고집(固執) - I

댓글 0 | 조회 1,730 | 2008.04.23
'고집이 세다'는 말은 자기 생각이나… 더보기

[378] 계산하고 산다, 저울질하고 산다

댓글 0 | 조회 1,828 | 2008.04.08
어린 시절 어머니가 먹을 것을 주면 … 더보기

[377] 떠남

댓글 0 | 조회 1,664 | 2008.03.26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어린 시절 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