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에서 받은 축복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뉴질랜드에서 받은 축복

0 개 6,059 NZ코리아포스트
외국에 나와 산다는 것이 생각했던 것 보다 쉽지 않다는 것은 모국을 떠나 외국 생활을 몇 년 이상 해본 사람들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요즈음은 한국 경제만 어려운 것이 아니라 뉴질랜드의 경제도 어려워서 많은 교민 분들이 힘든 시기를 함께 겪고 있기에, ‘내가 뉴질랜드에 살면서 어떤 복을 받고 살아가는가?’를 생각해 본다는 것은 조금은 사치스러운 이야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힘들고 어려울 때 그 동안 내가 받아 누려온 복들을 세어볼 수 있다면, 이 어려운 시기를 시기와 질투, 원망과 불평 없이 잘 넘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한국에서 처음 뉴질랜드로 이민 올 때, 뉴질랜드에서는 영어를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런 나의 생각은 이웃집에 살던 한국 학생이 영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았을 때 여지 없이 무너져 버렸다. 그러면서 시작한 ‘뉴질랜드에서 영어 가르치기’는 영어 때문에 고통을 겪는 학생들에게 희망의 빛을 찾도록 도와주는 타인을 위한 일이기도 했지만, 현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과정 중에 스스로 많은 것을 배우게 해주기도 한, 나를 위한 일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영어에 대한 지식은 충분히 얻을 수 있었지만 그 영어가 담겨져 사용되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았었다. 그러나 뉴질랜드에 살면서, 또 뉴질랜드 출신의 작가가 쓴 문학 작품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면서 언어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 속에서 완전해 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예를 들면, 학생시절 한국에서 한국말로 읽었던 뉴질랜드 출신의 작가 Katherine Mansfield의 ‘Garden Party(원유회)’라는 작품을 뉴질랜드에서 영어로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 그 소설 속에서 묘사하고 있는 ‘가든 파티를 하기에 완벽하고 아름다운 날씨와 아름다운 꽃들’에 대한 이야기는 그저 상상 속에서나 느낄 수 있는 이국적 풍경이 아니라, 내가 직접 느끼고 체험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아름다운 날씨와 꽃들과 바람들이 되었다. 전에 살았던 Stanmore Bay의 Vipond Road에는, 바다 풍경이 보이는 왼쪽으로는 어마어마하게 크고 아름다운 집들이지만 바다 풍경이 보이지 않고 골짜기 밑으로 연결되는 오른 쪽으로는 낡고 초라한 집들이 늘어 서 있었다. 그래서 가든 파티의 어린 여자 주인공인 Laura가 커다란 정원을 갖고 있는 자기 집을 떠나, 골목길을 내려가 후미진 곳에 있는, 죽은 마부의 집으로 문상 가는 장면을 읽을 때는, 그 집으로 내려가는 길이 마치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한 모퉁이를 보고 있는 듯 선명하게 그려졌다. 그래서 한국에서 이 작품을 읽었을 때 보다 더 깊이 있게 작품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필자가 뉴질랜드에서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면서 얻게 된 축복 중에 하나다.

뉴질랜드에서 받은 또 다른 축복은 흙과 친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손에만 들어오면 식물들이 다 죽어버린다고 아예 화초 조차도 사지 않았었지만, 여기서는 텃밭이나 정원에 올라오는 잡초들을 맨 손으로 뽑다가 손톱 밑이 새까맣게 물들어 버리기도 하고, 과일 나무들이 건강하게 자라 과실을 많이 맺으라고 유기농 비료인 양의 배설물 말린 것을 밭에 묻어 주기도 한다. 또한 정원에 심어놓은 작은 수선화 알뿌리들에서 봄이면 꽃대가 쑥쑥 올라와 그 끝에 봉우리가 맺히고, 매일 조금씩 꽃으로 피어나는 것을 보는 것도 뉴질랜드에서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다.

그 외에도 뉴질랜드에서의 생활은 나에게 새로운 음식에 대한 눈이 열리는 축복을 가져다 주었다. 한국에서는 케익을 얼마나 예쁘고 정성스럽게 만들어지는지, 만드는 과정 중 작은 실수를 하나라도 하면 그 케익을 망쳐버리게 되고는 했었다. 그러나 5분내지 10분 안에 뚝딱 만들어 오븐에 넣으면 끝나는 너무 간편한 뉴질랜드식 케익 굽는 방법들은 필자에게 새로운 미각의 세계를 탐험해 볼 용기를 주었다. 또한 여러 나라들에서 온 뉴질랜드 사람들과 섞여 살면서 여러 가지 다른 나라 음식들을 접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그들에 대한 이해도 그만큼 다양해지고 넓어졌을 것이다.

빠르게 발전하는 한국사회에서 영원히 뒤쳐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한국에서만 살았다면 깨달을 수도 없고 누릴 수도 없었던 많은 것들이 축복으로 주어졌으니, 어려운 시기가 지나가도록 감사하면서 잠잠히 세월을 보내는 것도 그 다음에 다가올 또 다른 세계를 맞이할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7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91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53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103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6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2,000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101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12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51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3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5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14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42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7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81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Ⅱ)

댓글 0 | 조회 1,934 | 2008.09.24
사람이 마음이 닫혀 있는 근본 원인은…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댓글 0 | 조회 1,725 | 2008.09.12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더보기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939 | 2008.08.27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3] 김유신의 말

댓글 0 | 조회 2,045 | 2008.06.25
김유신이 젊었을 때 천관(天官)이란 … 더보기

[382]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743 | 2008.06.10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더보기

[381] 고해(苦海)

댓글 0 | 조회 1,623 | 2008.05.28
사람의 삶에는 참 행복이 없다. 그것… 더보기

[380] 고집(固執) - II

댓글 0 | 조회 1,687 | 2008.05.13
대원군은 자기의 고집 때문에 외부세계… 더보기

[379] 고집(固執) - I

댓글 0 | 조회 1,729 | 2008.04.23
'고집이 세다'는 말은 자기 생각이나… 더보기

[378] 계산하고 산다, 저울질하고 산다

댓글 0 | 조회 1,827 | 2008.04.08
어린 시절 어머니가 먹을 것을 주면 … 더보기

[377] 떠남

댓글 0 | 조회 1,663 | 2008.03.26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어린 시절 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