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불나방(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1] 불나방(Ⅱ)

0 개 1,548 KoreaTimes
  불나방이 동심원을 그리면서 불꽃으로 다가 가는 것을 보던 매미가 '그러다가 불에 타 죽는다' 고 경고해 주어도 불나방에게는 그 말이 들리지 않는다. 불나방은 좋아하는 불을 향해 다가 가다가 종국에는 불에 타 죽고 만다.

  이태리의 아름다운 항구도시(세계 三大 美港의 하나) 나폴리에서 남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폼페이 유적지(遺跡地)가 나온다. 폼페이는 로마의 환락도시(歡樂都市)였는데 79년 8월 도시 인근의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면서 분출된 용암과 화산재에 파묻혀 있다가 1784년에 발견되어 발굴하게 되었다. 당시의 시가지(市街地)와 많은 건물들이 고스란히 발굴되었는데 돌로 포장된 길에 수없이 오간 마차바퀴 자국이 선명하게 나 있어 인상적이다. 그리고 화산폭발을 미처 피하지 못한 사람들이 뜨거운 열기와 가스로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생생한 모습이 화산재에 뒤덮여 석고상처럼 굳은 채로 발굴되어 당시의 참상(慘狀)을 실감나게 한다. 그런데 최근의 조사에서 현재 발굴된 도시 아래 또 다른 도시가 통째로 묻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현재 발굴된 도시보다 더 오래 된 도시가 묻혀 있다는 것은 화산폭발이 여러 차례 있었음을 말해준다. 또 사람들은 화산폭발로 도시 전체가 매몰(埋沒)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치는 참상을 겪고 나서 어느 정도 세월이 흐르고 나면 옛날의 대재앙(大災殃)을 다 잊어버리고 다시 모여들어 도시를 이루어 살다가 화산이 폭발하여 도시 전체가 화산재에 파묻히는 참상을 겪기를 되풀이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산이 검붉은 불과 연기를 내뿜고 있지만 그 화산 밑에서 몇 대를 탈없이 살아온 사람들에게 불을 뿜는 화산은 늘 있는 일상적인 것으로 아무런 위험을 느끼지 못하였다. 불을 뿜는 화산은 큰 폭포나 거대한 산과 마찬가지로 경이로움을 느끼게 해 주는 색다른 경관(景觀)에 불과하였다. 사람들은 타성적인 삶의 안일함과 쾌락에 빠져 화산이 폭발하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하고 지냈다. 어느 선지자가 화산활동이 심상하지 않음을 알고는 '머지않아 화산이 폭발할 것 같으니 미리 피하여야 한다' 고 알려 주어도 사람들은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는다. 곧 닥쳐올 재앙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겪을 고통을 생각하고 안타까운 나머지 '제발 좀 대피하자' 고 애걸하다시피 하면 '별 이상한 사람 다 보겠네' 하면서 오히려 '선조 때부터 대대로 별일 없이 살아왔는데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 고 코웃음 친다.

  현재의 안락함에 빠져 있는 사람에게는 곧 닥쳐올 재난이 보이지 않는다. 사랑에 빠진 사람에게는 사랑하는 이의 결점이 보이지 않는다. 마음이 콩밭에 가 있으면 선생님의 강의가 들리지 않는다. 탐욕에 빠지면 수단방법을 다하여 욕심을 채우느라 옳고 그름을 가리지 못한다. 자식에 대한 집착에 눈이 멀어 일을 저지르고 후회한다. 모두 자기중심적인 생각에 빠져서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알지 못한다.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611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89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24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86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77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119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50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50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80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39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206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22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74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407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 더보기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60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9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 더보기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9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더보기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62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54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69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11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64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25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6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209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