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리(順理)의 삶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순리(順理)의 삶

0 개 2,329 코리아포스트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들이 있어 들새가 있다. 물이 있어 물고기가 났고 땅이 있어 짐승이 났다. 일체가 조화로 났고 조화를 이루고 산다. 조화롭게 사니 상생(相生)의 삶이다.

순리의 삶은 일체의 매임이 없는 삶이다. 과거지사(過去之事)에도, 장래의 일에도 매이지 않는다. 사람에게도, 세상사(世上事)에도, 재물에도, 명예에도, … 일체 매임이 없다.

순리의 삶은 그냥 사는 삶이다. 이래서 살고 저래서 사는 삶이 아니다. 이리저리 재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냥 산다. 걱정하지도 번뇌 짓지도 않고 그냥 산다. 망설이지도 거칠 것도 없이 산다. 바람처럼 물처럼 사는 삶이다. 순리의 삶은 최적(最適)의 삶이다. 최적(最適)의 삶은 또 최선(最善)의 삶이다.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메마르고 척박한 여건에 맞게 최적(最適)의 삶을 산다.

부족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뿌리를 깊게 벋어 한 방울의 물을 얻고, 몸체를 작게 하여 한 알갱이의 거름이라도 아끼고 산다. 비옥한 땅에 떨어진 씨앗 또한 그 환경조건에 맞는 최적(最適)의 삶을 산다. 순리의 삶은 하늘을 나는 새처럼, 들에 핀 들꽃처럼 그냥 사는 삶이지만 내 맡긴 삶이 아니다. 되는 대로 사는 삶이 아니다. 순리를 따라 그때그때의 조건에 맞는 최적(最適)의 삶을 사는 것이다. 최적(最適)의 삶을 살기에 최선(最善)의 삶이다. 최선(最善)의 삶을 살고자 하지 않고 그냥 사는 삶이지만 최선(最善)의 삶 그 자체이다.

순리의 삶은 가짐이 없는 삶이다. 욕심으로 살지 않고 집착으로 살지 않는다. 가짐이 없으니 부족함이 없는 삶이고, 부러워하지도 시기하지도 않고 욕심부리지도 않는다. 가짐이 없으니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삶이다. 가짐이 없으니 이기적인 삶 살지 않는다.

순리의 삶은 대 자유(大 自由)의 삶이다. 일체에 매임이 없어 자유롭고 일체 가짐이 없어 자유롭다. 일체의 걸림도 없고 일체의 막힘이 없어 자유롭다.

순리의 삶은 대 지혜(大 智慧)의 삶이다. 아는 것이 있어 알고 사는 삶이 아니고 그 자체(眞理)이어서 다 알고 사는 삶이다. 그 자체이어서 그 자체로 그냥 산다.

순리의 삶은 사람이 가지는 가짐의 마음 없이 사는 삶이다. 나 없이 사는 삶이다. 나를 벗어난 삶이다. 일체를 넘어선 삶이다. 완전한 삶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96] 기술인력이민 보완, 변경된다

댓글 0 | 조회 2,247 | 2005.09.28
********************… 더보기

[295] 웍비자(Work Visa)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14 | 2005.09.28
====================… 더보기

[294] 재입국(Returning Resident's Visa)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24 | 2005.09.28
====================… 더보기

[293] 이민동향 (2004년 9월 현재)

댓글 0 | 조회 2,321 | 2005.09.28
■ 기술인력이민 : Skilled M… 더보기

[292] Do we need more immigrants?(Ⅲ)

댓글 0 | 조회 2,053 | 2005.09.28
비즈니스 카테고리를 열라 2000년 … 더보기

[291] Do we need more immigrants?(Ⅱ)

댓글 0 | 조회 2,187 | 2005.09.28
영어시험 너무 높다? 지난 7월 헬렌… 더보기

[290] Do we need more immigrants?

댓글 0 | 조회 1,983 | 2005.09.28
몇 주 전에 TV 1에서 이민을 주제… 더보기

두 성현(聖賢) 이야기 - Ⅰ

댓글 0 | 조회 2,650 | 2011.03.23
지금으로부터 이천 오백여 년을 전후하…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486 | 2011.03.09
성현들이 보여준 삶은 무소유의 삶이다…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Ⅰ

댓글 0 | 조회 2,429 | 2011.02.23
사람은 물질인 몸과 정신작용을 하는 … 더보기

소유(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606 | 2011.02.08
과거지사 사연과 인연도 마찬가지다. … 더보기

소유(所有) - I

댓글 0 | 조회 2,679 | 2011.01.25
소유하느냐 소유하지 않느냐의 기준은 … 더보기

여백(餘白) - II

댓글 0 | 조회 2,396 | 2011.01.14
해는 저물어 가는데 천길 만길 낭떠러…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Ⅲ)

댓글 0 | 조회 2,723 | 2010.12.22
가지미와 바라미의 어머니는 행여나 가…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Ⅱ)

댓글 0 | 조회 2,835 | 2010.12.08
세월이 흘러 가지미는 어깨가 떡 벌어…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92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907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57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45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97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108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36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9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609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87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