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것과 되는 것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아는 것과 되는 것

0 개 1,716 코리아타임스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쇠약하여 하루하루 생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자 건강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한 사람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먼저 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영양학에 관한 권위있는 책을 두루 섭렵하고 유명한 학자라는 학자는 모두 찾아 다니며 강의를 들었다.

이렇게 하는 데 2년이 걸렸다. 먹는 데 대해 어느 누구보다 잘 알게 되자 이번에는 먹는 것 외에 중요한 건강의 요소가 무엇일까를 곰곰이 생각한 끝에 운동과 휴식이 중요함을 알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운동과 휴식에 관한 책을 구하여 읽고 훌륭한 교수들의 강의를 모두 들었다. 운동과 휴식에 관하여 연구하는 데 다시 2년이 걸렸다. 모두 4년이 걸려 연구한 결과 이 사람은 건강에 관해서는 이 세상 어떤 사람보다도 많이 알고 잘 아는 사람이 되었다.

그런데 또 한 사람은 건강해져야겠다고 마음을 먹자마자 바로 운동 용품점에 가서 아령을 샀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부터 운동을 시작하였다. 평소보다 한 시간 일찍 일어나 조깅을 하고 나서 아령을 하였다. 하루하루 지남에 따라 밥맛도 좋아지고 잠도 잘 왔다. 이와 같이 하여 6개월이 지나자 어느새 탄탄한 근육이 생기고 힘도 세졌다. 건강에 대해서 아는 것이 아무 것도 없었지만 건강해졌다. 그러나 전자(前者)의 경우는 건강에 대해 다 알았지만 전혀 건강해지지 않았다. 오히려 4년 동안 연구하느라 몸이 더 쇠약해 졌을 지도 모른다.

우리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사는 삶은 순간순간이 실천의 연속이다. 삶 자체가 행(行)이다. 누구나 어릴 때부터 잘 살아가기 위한 것들을 배워 잘 알고 있다. 지혜로운 삶, 바른 삶을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어릴 때는 가정에서 부모님으로부터 배우고 학교 다니면서부터는 선생님께 배우고, 커서는 스스로 책을 보거나 신앙 또는 정신수양을 통해 어떻게 사는 것이 좋은지를 지득(知得)하여 너무나 잘 알고 있다.

너무 잘 알아서 지나칠 정도다. 그러나 알고 있는 만큼, 또 알고 있는 대로 살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부분 그렇지 못할 것이다. 알기만 알고 그와 같이 삶을 살지 못한다면 아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지혜로운 삶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인지를 잘 알면서도 삶이 그렇게 살아지지 않는 근원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성현들이 온갖 지혜로운 말을 남긴 것은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것이지 그냥 알고만 있으라고 한 말은 아닐 것이다. 죽을 때까지 그렇게 되기 위해 노력하라는 말이 아니라 그렇게 되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다시 말하면 살아서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려 준 것이다. 오랜 세월을 나름대로 노력해 보았지만 성현들이 알려 준 대로 되지 못하고 그렇게 살지 못하는 것은 왜 일까? 왜 성현들은 다시 온다는 말을 남겼을까?

[296] 기술인력이민 보완, 변경된다

댓글 0 | 조회 2,247 | 2005.09.28
********************… 더보기

[295] 웍비자(Work Visa)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15 | 2005.09.28
====================… 더보기

[294] 재입국(Returning Resident's Visa)비자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724 | 2005.09.28
====================… 더보기

[293] 이민동향 (2004년 9월 현재)

댓글 0 | 조회 2,321 | 2005.09.28
■ 기술인력이민 : Skilled M… 더보기

[292] Do we need more immigrants?(Ⅲ)

댓글 0 | 조회 2,054 | 2005.09.28
비즈니스 카테고리를 열라 2000년 … 더보기

[291] Do we need more immigrants?(Ⅱ)

댓글 0 | 조회 2,187 | 2005.09.28
영어시험 너무 높다? 지난 7월 헬렌… 더보기

[290] Do we need more immigrants?

댓글 0 | 조회 1,983 | 2005.09.28
몇 주 전에 TV 1에서 이민을 주제… 더보기

두 성현(聖賢) 이야기 - Ⅰ

댓글 0 | 조회 2,651 | 2011.03.23
지금으로부터 이천 오백여 년을 전후하…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486 | 2011.03.09
성현들이 보여준 삶은 무소유의 삶이다…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Ⅰ

댓글 0 | 조회 2,430 | 2011.02.23
사람은 물질인 몸과 정신작용을 하는 … 더보기

소유(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607 | 2011.02.08
과거지사 사연과 인연도 마찬가지다. … 더보기

소유(所有) - I

댓글 0 | 조회 2,679 | 2011.01.25
소유하느냐 소유하지 않느냐의 기준은 … 더보기

여백(餘白) - II

댓글 0 | 조회 2,396 | 2011.01.14
해는 저물어 가는데 천길 만길 낭떠러…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Ⅲ)

댓글 0 | 조회 2,723 | 2010.12.22
가지미와 바라미의 어머니는 행여나 가…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Ⅱ)

댓글 0 | 조회 2,835 | 2010.12.08
세월이 흘러 가지미는 어깨가 떡 벌어…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93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908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57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45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97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108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36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10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610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87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