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5]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55]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0 개 1,516 KoreaTimes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려 하다가 강물에 빠져 죽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달에 있는 계수나 무 아래서 옥토끼가 절구에 떡을 찧고…’
  반면 서양사람은 달을 부정적으로 본다. 달은 밝은 태양이 있는 낮에는 숨어 있다가 해가 져 어두움이 깔리면 슬며시 나타나는 비겁하기도 하고 음흉한 존재이다.

  동양인은 동양인의 관념으로 달을 보고, 서양인은 서양인의 관념으로 달을 본다. 달의 원래 모습은 하나인데도 각각의 다른 관념으로 보니 달이 다르게 보인다. 어느 쪽도 달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고 있다. 개인 간에도 마찬가지이다. 각자는 서로 다른 관념을 가지고 있어 지구에 살고 있는 60억 인구는 다 다르게 보고 자기가 본 것이 옳은 줄 안다.

  사람의 관념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하면서 형성되고 그것을 자기 안에 가지고 있다. 사람이 삶을 살면서 보고 아는 일체는 그 관념으로 보고 아는 것이기 때문에 ‘참’을 보지 못한다. 흰색 벽을 볼 때 관념의 색깔이 푸르다면 하얀 벽이 푸르게 보이고, 관념의 색깔이 붉으면 하얀 벽이 붉게 보일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보고, 또 안다고 하는 것은 허상이다.  ‘참’을 보지 못하고 허상을 본다는 것은 그것을 보고 안다고 하는 관념이 참이 아닌 거짓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자기의 관념을 가지게 되므로 본 것, 아는 것 일체가 허상이다.

  이와 같이 사람이 가진 관념이 ‘참’ 이 아니어서 ‘참’ 을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아는 것은 자기가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한국에서 나서 한국에서만 산 사람은 미국의 생활방식이나 제도를 모른다. 법학을 전공한 사람은 의학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다. 또 무한한 우주와 그 안에 있는 만상만물과 존재하는 원리하며, 일어나는 현상을 얼마나 아는가?

  ‘참’ 을 알려면 내 안에 있는 거짓 관념을 다 버려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거짓(관념)이 아닌 ‘참’ 을 가진 ‘참’ 의 존재가 되어야 한다. ‘참’ 이 되면 ‘참’ 을 가져서 일체를 거짓으로 보지 않고 ‘참’ 으로 보고 알게 된다. 일체가 ‘참’ 임을 알게 된다. 내가 거짓 관념을 가진 거짓 존재이어서 ‘참’ 의 세상을 허상으로 보고 허의 삶을 살았음을 안다.

  성현의 ‘참’ 말씀을 사람이 아무리 해도 그 뜻을 제대로 알 수 없는 것도 사람이 거짓을 가진 거짓된 존재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가진 거짓된 것을 다 버리고 거짓된 존재마저도 다 버리면 ‘참’ 을 가진 ‘참’ 의 존재가 되어 ‘참’ 을 알게 된다.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Ⅱ)

댓글 0 | 조회 2,831 | 2010.12.08
세월이 흘러 가지미는 어깨가 떡 벌어…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88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902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51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40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90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103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32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6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603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82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19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81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68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104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41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38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5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33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201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15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70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402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 더보기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51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4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