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Ⅱ)

0 개 9,775 NZ코리아포스트
지난 호에 이어서 지붕에서 물이 새는 여러 경우들을 살펴 보겠다.

6. 지붕의 구조적 문제점

지붕은 크게 평지붕(flat roof)와 경사가 있는 보통의 지붕(pitched roof)으로 나눌 수 있다. 평지붕으로 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방수자재(주로 butynol rubber, torch-on membrane 등의 고무종류나 액체로 된 방수자재)를 이용하고 각도가 있는 경우에는 기와, shingle, 양철지붕 등으로 지붕을 덮는다.

그 중에서 평지붕으로 된 경우가 가장 누수의 위험이 많은 편이다. 빗물이 흘러 내려갈 수 있는 경사가 충분하지 않아서 어느 한 곳에 빗물이 고여 있게 될 확률이 높은 편이고 방수자재에 흠집이 생기거나 시간이 오래 지나서 방수자재가 낡게 되었을 때에 누수가 생길 위험이 높게 된다.

7. Internal gutter & external gutter

지붕에서 흘러 내리는 빗물을 받아서 down pipe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하는 gutter는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는 경우(external)와 밖에서 볼 수 없는 형태(internal)로 크게 나눌 수 있다. Internal이 오래된 주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인데 누수의 위험성이 큰 이유로 최근 지어지는 주택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형태이다. Internal gutter의 경우에는 빗물이 제대로 흘러 내려가지 않고 고이게 될 경우에 집안 내부로 흘러 넘칠 수가 있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성이 있다.

External gutter의 경우에도 처음 설치될 때에는 경사를 잘 유지하고 있던 gutter도 시간이 지나면서 gutter내에 먼지나 낙엽 등이 쌓이고 그에 따라 빗물이 잘 흘러 내려가지 못하여서 어느 특정 부분이 무거워지는 경우라든지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빗물 흐르는 경사가 망가지기가 쉽다. 이렇게 gutter의 경사가 변화된 경우에는 빗물이 잘 흘러 내려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확인이 필수적이다.

8. Balcony or verandah

발코니 혹은 베란다로 불려지는 돌출된 구조물이 지붕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주로 아파트 생활을 많이 했던 우리에게 익숙한 베란다는 그 아래에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으나 2층 이상의 복층 건물에서 위층 베란다의 아래에 실내 공간이 되어 있는 경우는 이 베란다가 지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베란다가 벽과 만나는 곳이 있게 되고 이 곳이 누수의 위험성이 아주 큰 취약한 곳이 된다.

9. 지붕에 장착된 여러 가지 구조물

지붕에 올라가 보면 텔레비전 안테나, 지붕창문, 환풍기 (주로 상업용 건물), 에어컨 장치 (주로 상업용 건물) 등 여러 가지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설치할 때에는 주로 나사못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작은 틈이 생길 수가 있다. 주로 실리콘을 사용하여 이 틈을 막게 되는데 이곳에 누수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실리콘은 외장용과 내장용으로 구분(겸용제품도 있다)되어 있으니 용도에 맞게 잘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외부에 사용할 때에는 UV 차단 제품을 사용해야 강한 햇볕에도 오래 견딜 수가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해마다 한번씩은 그 상태를 점검하여 예방하는 것이 좋겠다. 그 틈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실리콘이 아닌 방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에도 내장용과 외장용을 잘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지붕을 통한 누수의 가능성을 점검하고 그 예방 혹은 수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 보았다. 무엇보다도 자기 집에 대한 많은 관심이 필요하겠고 정기적인 점검과 수리가 요구된다 하겠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모 초청 이민

댓글 0 | 조회 4,805 | 2009.11.23
영주권 취득이라는 정상을 오르기 위해… 더보기

범죄기록과 비자취득

댓글 0 | 조회 3,201 | 2009.11.09
비자와 퍼밋의 차이점을 간략히 설명드… 더보기

취업비자 (3)

댓글 0 | 조회 3,060 | 2009.10.26
지난 2회에 걸쳐 어떤 특정한 신청인… 더보기

취업비자(2)

댓글 0 | 조회 3,050 | 2009.10.12
지난 호에선 신기술이민으로 영주권을 … 더보기

취업비자 (1)

댓글 0 | 조회 3,838 | 2009.09.21
지난 호까지 뉴질랜드 시민권에 대한 … 더보기

출생자녀의 시민권

댓글 0 | 조회 3,283 | 2009.09.07
이 번호에선 뉴질랜드에서 출생한 자녀… 더보기

시민권 승인 (Ⅱ)

댓글 0 | 조회 3,811 | 2009.08.24
구법의 적용을 받아 뉴질랜드 시민권을… 더보기

시민권 승인

댓글 0 | 조회 4,318 | 2009.08.10
본 칼럼은 전화상담을 바탕으로 일반적… 더보기

평생 영주권(Indefinite RRV)

댓글 0 | 조회 5,032 | 2009.07.27
영주권을 취득하였으나 사업상 또는 개… 더보기

이민신청서 작성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4,111 | 2009.07.15
다양한 사유로 인해 퍼밋의 기간이 끝… 더보기

비자(Visa) vs 퍼밋(Permit)

댓글 0 | 조회 3,763 | 2009.06.24
이번 호에서는 뉴질랜드 입국을 위해 … 더보기

불법체류자의 인권과 권리

댓글 0 | 조회 2,801 | 2009.06.10
2007년 2월 11일 새벽 전남 여… 더보기

옴부즈맨 제도를 활용하자

댓글 0 | 조회 3,348 | 2009.05.26
옴부즈맨제도(Ombudsman)를 이… 더보기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댓글 0 | 조회 3,085 | 2009.05.14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필자… 더보기

단기 체류허가의 연장

댓글 0 | 조회 3,121 | 2009.04.29
이번호에선 단기 체류허가(취업/학생/… 더보기

이민수속의 투명성

댓글 0 | 조회 3,181 | 2009.06.30
서류신청을 본인이 직접 하지 않고 대… 더보기

Bucket List

댓글 0 | 조회 1,718 | 2013.09.11
‘버켓리스트’라… 더보기

옥션 Q & A(Ⅴ)

댓글 0 | 조회 1,957 | 2013.08.27
옥션 Q & A의 마지막 호로… 더보기

옥션 Q & A(Ⅳ)

댓글 0 | 조회 1,677 | 2013.08.13
지난 호에 이어서 Pre-auctio… 더보기

옥션 Q & A(Ⅲ)

댓글 0 | 조회 1,527 | 2013.07.24
Pre-auction offer 중 … 더보기

옥션 Q & A(Ⅱ)

댓글 0 | 조회 1,694 | 2013.07.10
Pre-auction offer 옥션… 더보기

옥션 Q & A(Ⅰ)

댓글 0 | 조회 1,647 | 2013.06.26
통계에 의하면 최근 주택매물의 약 3… 더보기

자가진단(Ⅲ)

댓글 0 | 조회 1,853 | 2013.06.12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 더보기

자가진단(Ⅱ)

댓글 0 | 조회 2,263 | 2013.05.28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 더보기

자가진단(Ⅰ)

댓글 0 | 조회 1,818 | 2013.05.14
춥고 습한 긴 겨울이 시작되었다. 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