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사피엔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마스크 사피엔스

0 개 1,142 조기조

융합(融合)이라는 말과 수렴(收斂)이라는 말을 생각해 본다. 영어로는 컨버전스(convergence)로 통하지만 물질이나 정신 등이 합하여 새로운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흡수하거나 용융하거나 재생하거나 하는 일이 일어난다. 적절한 예의 하나가 스마트폰이다. 반도체 칩이나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배터리 등의 크기가 작아지자 많은 하드웨어(디바이스)와 앱을 담아 하나만 달랑 들고 다니게 되었다. 쉽게 아는 예로 전화기, 녹음기, 사진기와 컴퓨터는 말 할 것도 없고 플래시, 고도계, 온도계, 노래방 기기 등 이루 말 할 수 없는 많은 기기를 폰에 담았다. 또, 소위 웨어러블 기기라는 것들을 스마트폰이 카버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 폰에 담긴 인공지능은 알라딘의 요술램프이고 인공지능 주식투자로 화수분(貨水盆)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융합의 산물인 스마트폰으로 먹고 사는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의 모습이다.


‘희소자원의 최적배분’, ‘지속 가능한 개발’이 언제까지 지속 가능할까를 생각해 본다. 개발 대신에 발전이라는 말을 써도 된다. 놀라운 기술의 발전을 보면서 이러한 발전의 끝이 어딜까를 생각해 본다. 사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하던 말에 시큰둥했었지만 끝 모를 발전이 불편함을 해소하고 보다 더 편리하고자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 의심하지 않는다. 그냥 해 본, 맹물로 가는 자동차가 나와야 하고 달나라에서처럼 한걸음에 열 발은 가고 싶은 욕망이다. 물에 빠지면 한 동안 아가미처럼 숨을 쉬게 하는 기술은 없을까? 우산을 들고 30층 아파트에서 가볍게 내리는 것은, 큰 불이 나도 일순간에 산소를 없애 꺼지게 하는 기술은..... 결국에는 가능할 것이리라.


정보기술의 핵, 반도체(메모리 또는 컴퓨터)의 성능이 2년마다 두 배로 늘어나고 가격은 절반으로 줄어드는 발전을 한다는 것이 오래도록 맞아왔다. 소위 ‘무어의 법칙’이다. 황(창규)의 법칙도 비슷했다. 이제까지는 그랬다. 꼭 2년이나 두 배, 절반은 아닐지라도 그런 발전은 가능할 것이고 그래야 한다. 설명을 들어도 이해하기 어려운 양자 컴퓨터가 ‘성능이 두 배로 늘 것’이라는 맥을 이을 것이다.



이제 5G 스마트폰이 궤도에 진입했는가 싶은데 우리나라가 6G 통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특허를 준비하고 가용주파수를 제안했다고 들었다. 이동통신기술의 한 세대가 10년 정도를 간다면 5G 기술이 상용화되었으니 6G 개발에 착수하는 것도 빠르지는 않다. 6G는 5G보다 50배 빠를 것으로 준비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최대 속도는 초당 1테라비트(1,000 기가비트)다. 이용자와 인터넷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걸리는 무선 지연시간은 5G보다 10분의 1로 줄어든다. 우리나라는 가용 주파수 대역으로 밀리미터파인 275~450㎓를 제안하였다. 


5G 이동통신은 초광대역 서비스, 고신뢰·초저지연 통신, 대량연결이라는 3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6G 이동통신은 초성능, 초대역, 초정밀, 초공간, 초지능, 초신뢰를 구비해야 한다. 모두 초(超)로 강조하는 것은 이제까지 보지 못한 상상을 넘는 기준을 요구하는 것이다. ‘초성능’은 1테라비트(Tbps)급 전송속도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대역’은 1Tbps 전송속도를 실현할 100㎓ 이상의 고대역 주파수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런 고주파대역에서는 고출력(기지국 17dBm, 단말10dBm), 저잡음(잡음지수 10dB) 전력증폭기 등 기지국·단말기용 무선 주파수 기술(부품)이 필요하다. ‘초정밀’이란 인체의 반응속도 수준으로 지연속도를 단축하는 것으로 유·무선 지연시간을 각각 5msec, 0.1msec로 단축하고자 한다. ‘초공간’이란 지상 10km까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확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엄청나게 많은 지상과 공중의 기지국이 필요하다. 공중에선 무인 비행체가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다. ‘초지능’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전 구간에 AI 기술을 적용해 자동화 및 지능형 시스템을 갖추고, ‘초신뢰’를 이루기 위해서는 6G 설계 단계부터 보안기술을 내재화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69514a681359f07704ed5fb8e4007415_1600726026_2261.png
 

앞으로 제안하는 신기술(R4C; Request for Comment)은 미답의 땅에 사실상의 표준(de facto)이 되기 때문에 개발에 ‘너 죽고 나 살기’가 될 것이다. 그것이 미래의 먹거리이기 때문이다. 시 한 수, 생각난다.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불수호난행(不須胡亂行) 금일아행적(今日我行跡) 수작후인정(遂作後人程)’. 눈길을 걸을 때 제대로 길을 열지 못하면 따라오는 사람들이 힘들고 고생하니 사려 깊게, 경거망동을 말라는 말이다. 우리 기술이 진정 앞서되 난행(亂行)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아니 간절하게 비나이다. 지혜로운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가 스마트폰으로 모든 걸 해결하는 인간, 포노 사피엔스로 가나보다 했는데 뜻밖에도 ‘마스크 사피엔스(mask sapiens)’가 되고 말았다. 누가 생각이나 했겠는가? 마스크가 그렇게 중요할 것을!

누구를 위한 인터넷인가?

댓글 0 | 조회 1,321 | 2019.12.23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를 추진하고… 더보기

반도체가 뭣이 길래?

댓글 0 | 조회 1,312 | 2019.08.27
인간은 5감에 하나를 더하여 6감(s… 더보기

MLCC(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댓글 0 | 조회 1,303 | 2020.08.25
삼십 촉 백열등이 그네를 타는 목로주… 더보기

OTT, 꼭대기 위에?

댓글 0 | 조회 1,300 | 2019.09.10
미국 여행 중 호텔에서 노트북으로 넷… 더보기

NAVER, 나베르 아닝겨?

댓글 0 | 조회 1,293 | 2020.06.23
G2, 미국과 중국이 겨루고 있다. … 더보기

더불어!

댓글 0 | 조회 1,280 | 2021.01.12
세 가지 거짓말이라고 있었다. 세상이… 더보기

NIC와 DNS

댓글 0 | 조회 1,272 | 2019.10.08
도메인(domain)은 영토, 영역,…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269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 더보기

2020 도쿄 올림픽을 보고....

댓글 0 | 조회 1,229 | 2021.09.02
제 32회 도쿄 올림픽(2020)은 … 더보기

클라우드는 무슨 구름?

댓글 0 | 조회 1,227 | 2019.08.14
이세돌 9단을 이긴 인공지능 프로그램… 더보기

Dark Web, Dark Fate

댓글 0 | 조회 1,198 | 2019.11.27
어둠(dark)은 암흑, 지하, 비밀… 더보기

피 돌기 빅뱅

댓글 0 | 조회 1,151 | 2019.07.23
중국이 막아놓아도 24억이 넘게 사용… 더보기
Now

현재 마스크 사피엔스

댓글 0 | 조회 1,143 | 2020.09.22
융합(融合)이라는 말과 수렴(收斂)이… 더보기

빅 데이터, 커서? 많아서?

댓글 0 | 조회 1,142 | 2019.11.12
숲속, 바다 속, 땅속에 무엇이 있을… 더보기

전자증권 이야기

댓글 0 | 조회 1,111 | 2019.09.24
증권(securities)은 유가증권… 더보기

오징어 놀이와 오징어 게임

댓글 0 | 조회 1,111 | 2021.10.12
놀이와 게임은 같은 건가, 다른 건가… 더보기

펜트하우스 유감

댓글 0 | 조회 1,096 | 2021.04.28
“100층 펜트하우스의 범접불가 ‘퀸… 더보기

변종 바이러스

댓글 0 | 조회 1,078 | 2021.03.24
그땐 컴퓨터 바이러스가 호흡기로 옮고… 더보기

뒷북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댓글 0 | 조회 1,078 | 2020.01.15
스마트 팩토리가 한창이다. 정부가 중… 더보기

입 친구라니?

댓글 0 | 조회 1,066 | 2023.01.18
한국에서 오래전에 역할대행이라는 것이… 더보기

중년의 선댄스 영화제

댓글 0 | 조회 1,062 | 2020.02.11
파크 시티 메인 스트릿은 봄 햇살이 … 더보기

랜선 이모, 랜선 국민

댓글 0 | 조회 1,058 | 2020.11.10
정보기술을 공부하고 가르쳐 온 내가 … 더보기

브라우저와 유투브

댓글 0 | 조회 1,052 | 2020.02.25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보려면 HTTP… 더보기

스마트로 가는 중소기업

댓글 0 | 조회 1,046 | 2020.07.29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99… 더보기

틱톡소리

댓글 0 | 조회 1,045 | 2020.09.08
“시계는 아침부터 똑딱똑딱 언제나 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