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학교병

0 개 1,211 김준

이곳 오클랜드에서 꽤 오랜 시간 사교육에 종사하다 보니 오클랜드 각 학교마다 전통적인 ‘학교병’이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됐다.

 

중심부의 명문 공립 오*** 보이즈 그래마는 워낙에 까다로운 물리선생님이 있는 바람에 물리에 지나치게 치중된 교육을 하고 시험문제 또한 매우 까다롭고 어려워 학교 내신이 뚝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IB과정 원조로 유명한 A*C는 7월 학기라는 특성과 중국인 학생이 많다는 특성이 맞물려 Y13학생들이 Mock exam이 끝난 2월 부터 Final 시험을 치르는 5월까지 3개월여의 시간 (그 황금같이 중요한 시기) 동안 마음이 ‘공중부양’ 되는 병이 있다. 북쪽의 대형학교인 랑***는 학생들의 학과 외 특별활동이 일종의 압력으로 작용해 공부에 목표를 둔 학생들 마저도 타 학교 학생들의 두 배에 가까운 특별활동에 매여 있는 걸로 유명하고  웨****크 걸스는 Y13의 물리 화학 과목 중 어려운 챕터 각 한개씩은 학생들에게 자료만 주고 대충 끝내버리는 ‘아름다운’ 전통이 있다. 

 

이런 다양하고도 심각한 학교별 전통들 가운데 필자에게 한 학교만 꼽아 그 ‘어마무시’한 내용을 소개하라 한다면 단연 북쪽의 명문 공립 웨****크 보이즈를 뽑겠다. 이런 공적인 지면에 특정 학교의 문제를 언급한다는 것은 사실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학부모님들의 적절한 학교 선택과 일종의 ‘긍정적 선입견’을 위해 그리고 그 악습과 싸워 승리했던 필자의 사랑하는 한 학생을 소개하기 위해 가능한 한 약한 어조로 이야기 하겠다. 

 

 

웨****크 보이즈.. 최근 캠브리지 코스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해 인근 부동산 시장을 ‘매도우위’ 시장으로 이끈 장본인 이기도 하다. 한창 ‘남오문 북서호’ (남쪽 지역엔 오클랜드 보이즈 그래마 북쪽엔 웨스트레이크 보이즈)로 불리며 명성을 날리던 시절 필자는 이제 곧 Y11에 올라갈 학생을 한 명 만나게 된다.

 

M은 BMX를 좋아하고 음악을 너무 사랑하는 학생이었다. 처음 만나 상담을 해보니 그 동안 공부에 크게 의지가 있었던 친구는 아니었던 것 같고 가능한 한 지루하지 않도록 수업 분위기를 이끌어가며 일년 정도 지나면 공부 궤도에 오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정도의 시간이면 사실 상당히 긴 시간이긴 하지만 그간 여러가지 ‘놀기’에 특화 된 몸과 마음을 한 순간에 뒤 바꿀 수는 없는 일이니 약간은 길게 보며 진로를 찾아가기로 했다.

 

Y11 시작 되고 한 해의 시간 동안 M이 보여준 학습 의욕과 능률과 실력은, 필자가 판단하는 M의 타고난 가능성에 비해 많이 낮았고 계속되는 약하고 지리한 실망의 시간은 우리 서로를 지치게 했다. 오죽 했으면 필자가 M의 어머니께 개인지도를 그만 두고 싶다고 말씀 드렸을까.. 어찌어찌 해서 계속 관계를 유지하게 되긴 했지만 Y12를 같이 시작하는 마음이 그리 즐겁지도, 희망적이지도 않았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방학을 지내고 난 M은 그 사이 딴 사람이 되어 있었다. ‘괄목상대’ 라더니 이런 경우를 말하나? 가장 많이 변한 것은 단연코 확고한 목표의식과 공부에 대한 의지였다. 지난해의 M이 정말 이 아이인가 싶을 정도의 변화는 필자를 신나게 만들었고 우리는 멋진 연말의 결과를 바라보며 멋지게 공부했다.  그런데 간혹 M의 마음이 불편해 보이는 때가 있었다. 처음엔 크게 신경 쓰진 않았었는데 고학년이 되면 컨디션 난조가 큰 문젯거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이유를 물었는데 필자는 M으로부터 참으로 황당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학교에 한 똑똑한 학생이 있단다. 교장선생님은 이 학생을 모든 분야에서 뛰어나게 만들어 학교의 명예를 높이고 싶어한단다. 물론 학교 입장에선 그럴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학생을 제외한 다른 학생들은 자신들이 공부하고 노력한 것을 보여줄 기회조차 주지 않는다는 사실 이었다. 학교 외 시험 (예를 들면 경시 대회)의 정보나 자료 그리고 신청자격까지 모조리 그 학생만 독식하도록 배려한다니 공교육기관에서 그럴 수는 없지 않은가. 물론 아직 미성숙한 아이들이 서로들 하는 이야기니까 어느 정도의 과장이나 오해가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전교생이 모두 같은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언가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음이 분명했다. 그리고 필자가 그런 이야기를 듣고 있는 것이 한 두해가 아닌 다음에야..

 

한동안 심적으로 힘들어하던 M이 마음을 잡았다. 학교에서 건드릴 수 없는, 선생님들이 누구 한 사람만 선호해서 점수를 좌지우지 할 수 없는 연말 캠브리지 파이널 시험에서 그 녀석을 누르고 말겠단다. 

 

그 해 M은 Y12 수석을 했다. 개인의 영광 뿐 아니라 학교병 치료를 위한 한방의 주사였으면 싶다. 

 

시험의 기술(2부)

댓글 0 | 조회 1,598 | 2016.05.12
지난 컬럼엔 시험장에서 학생들이 지켜… 더보기

현재 학교병

댓글 0 | 조회 1,212 | 2016.05.25
이곳 오클랜드에서 꽤 오랜 시간 사교… 더보기

IB 유감?

댓글 0 | 조회 2,203 | 2016.06.09
지난 5월 세계 고등학교 교육계를 뜨… 더보기

누가 엠마왓슨을 자퇴 시켰나?

댓글 0 | 조회 2,227 | 2016.06.22
최근 NorthShore의 한 공립학… 더보기

이제 절반?

댓글 0 | 조회 1,239 | 2016.07.13
이제 2016년의 한가운데를 가로 지… 더보기

기회의 땅? 기회의 인간!

댓글 0 | 조회 1,953 | 2016.07.28
G가 한국 대학교에 지원한다는 이야기… 더보기

느려도 황소걸음

댓글 0 | 조회 1,436 | 2016.08.10
그 즈음도 요즘처럼 비가 많이 내리는… 더보기

지금은 우등생이 되어야만 할 때

댓글 0 | 조회 1,622 | 2016.08.24
‘카톡!’무음으로 설정하는 것을 깜빡… 더보기

NCEA

댓글 0 | 조회 1,952 | 2016.09.14
얼마전 NCEA internal 시험… 더보기

산을 높이랴 골을 메우랴

댓글 0 | 조회 1,369 | 2016.09.29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라는 말이 … 더보기

내 인생은 나의 것

댓글 0 | 조회 1,552 | 2016.10.12
내 인생은 나의 것~ 내 인생은 나의… 더보기

학습 자본주의(Ⅰ)

댓글 0 | 조회 1,904 | 2016.10.27
영국에 위치한 세계 최고수준의 캠브리… 더보기

학습 자본주의(Ⅱ)

댓글 0 | 조회 1,356 | 2016.11.09
학생들을 가르치는 다소 비판적으로 사… 더보기

핑퐁을 치자

댓글 0 | 조회 1,315 | 2016.11.23
비행기를 타거나 배를 탈 때 어린 남… 더보기

기쁜 졸업? 또 다른 준비!(Ⅰ)

댓글 0 | 조회 1,334 | 2016.12.06
지금 필자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오늘… 더보기

기쁜 졸업? 또 다른 준비!(Ⅱ)

댓글 0 | 조회 1,368 | 2016.12.21
뉴질랜드에 여러 대학과 여러 학과가 … 더보기

2017년의 첫번째 당부 - 숙제 좀 하자!!

댓글 0 | 조회 1,310 | 2017.01.25
2017년이 되어 첫 번째 컬럼이자 … 더보기

그에겐 그의 성공이 있다

댓글 0 | 조회 1,205 | 2017.02.09
연일 날씨가 점점 더 더워져 간다. … 더보기

지금은 성공을 맛 보아야만 할 때

댓글 0 | 조회 1,373 | 2017.02.21
William H. McRaven..… 더보기

실패의 첫걸음

댓글 0 | 조회 1,415 | 2017.03.07
날이 무더워서인지 아니면 마음이 답답… 더보기

선생님 열전

댓글 0 | 조회 1,328 | 2017.03.22
사람의 인생은 작은 배를 만드는 과정… 더보기

여인 열전1

댓글 0 | 조회 1,112 | 2017.04.11
그 날도 요즘처럼 바람이 심하게 불던… 더보기

살다보니 별일도 다 있다

댓글 0 | 조회 2,120 | 2017.04.27
평균 수명의 반토막도 살지 않은 나이… 더보기

5월 단상

댓글 0 | 조회 1,315 | 2017.05.10
5월 입니다.한국에선 5월이 주는 의… 더보기

호랑이를 꿈꾸라

댓글 0 | 조회 1,934 | 2017.05.24
호랑이를 그리려고 해야 고양이라도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