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1Q84

0 개 1,290 김영안

인문학 산책 (21)

f4c7117e641e52e7f55a60dbde518044_1513669073_2256.jpg
 

요즈음 우리 세대는 두 개의 다른 세계를 동시에 살고 있다. 현실인 리얼(real) 세계와 가상의 사이버(cyber) 세계.

최근 화제작인 무라가미 하루끼의‘1Q84(문학동네: 2011)’이 떠오른다. 이 소설은 번역 당시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독특한 작품성도 그렇지만 문학동네가 번역료 선인세로 1억 원을 지급한 출판사의 과감한 베팅으로 대박을 터뜨린 케이스로도 유명하다.

 

그는 세계 10여개국에 작품이 번역, 소개되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장편소설『양을 둘러싼 모험』으로 ‘노마문예신인상’을 수상했다. 1987년『노르웨이의 숲』을 발표함으로써 일본 문학사에 굵은 한 획을 긋게 된다.

 

2005년「뉴욕타임스」는 아시아 작가의 작품으로는 드물게『해변의 카프카』를 ‘올해의 책’에 선정했다. 또 2006년에는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해럴드 핀터 등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바 있는 체코의 ‘프란츠카프카 상’을, 2009년에는 이스라엘 최고의 문학상인 ‘예루살렘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성취를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작품집으로는『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빵가게 재습격』,『댄스 댄스 댄스』,『태엽감는 새』,『스푸트니크의 연인』,『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도쿄기담집』,『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1Q84』등 다수의 장단편 소설, 에세이집, 번역서가 있다. 2005년에는 그의 단편『토니 타키타니』가 이치가와 준 감독에 의해 영화화 되었고 2010년에는『상실의 시대』(원제: 노르웨이의 숲)이 트란 안 훙 감독에 의해 영화화 되기도 했다.

 

이 작품 내용은‘1984’년과 일본어로 동음어인 1Q84(이찌큐하찌욘)년의 두 세계를 왔다 갔다 하면서 동일한 연도의 두 개의 다른 세계를 그린 소설이다.

 

사이비 종교의 교주, 출판업계의 비리 등 사회 문제를 여성 킬러라는 좀 이색적인 캐릭터를 등장시켜 재미를 더하고 있다. 전 3권의 적지 않은 분량이지만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백만부 이상 팔렸던 작품이다.

 

다소 관점은 다르지만 베르베르의 ‘신(神)(열린책들: 2008) 전 6권 ’역시 새로운 세계관을 그린 소설이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특히 한국과 인연이 많다. 94년 첫 방한 때는 한국사회에서 성공에 대한 열망을 봤다고 말했고, 최근에는 모 증권사의 광고 모델로도 나왔다.

 

‘개미(열린책들: 2001)’는 91년 프랑스에서 출간됐고 93년 한국에 소개됐는데, 프랑스에서는 30만부가 한국에서는 70만부가 팔렸다.

 

이 외에도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 사전’, ‘타나토노트’, ‘천사들의 제국’, ‘뇌’등을 발표했다. 최근에 신작소설 ‘제3의 인류’를 프랑스에서 출간했으며, 전작인 ‘개미’와 ‘신’의 중간쯤에 위치하는 작품이다.

 

이 연작소설은 신이 되기를 원하는 프랑스인들 - 그 중에는 일부 미국인도 있지만 자기 방식대로 세계를 다시 만들어 가면서 신의 존재를 느끼는 이야기이다.

 

조물주가 되어 각자 시나리오 대로 세상을 창조해 가면서 신이 되는 수업을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이 강사가 되어 그들에게 세계를 창조하는 법을 가르친다. 실패한 후보자의 세계는 사라져 버리고 오직 살아 남은 세계만의 세상만 남게 된다. 한 마디로 말해 신들이 자기 방식대로 우리의 세계를 조작하고 있다는 가정이다. 우리가 우리 의지대로 세상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신들의 조작에 의해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우리는 항상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 잘못한 것과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하여 후회를 한다. 특히 하지 않았던 것에 대한 후회는 평생 동안 간다고 한다.

 

‘만약에 내가 그 때 이랬으면 어떻게 됐을까?’하는 가정에 대해 무척 궁금해 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사이버 세계나 영화에서라면 그 당시로 돌아가 재설정이 가능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로버트 프루스트의 ‘가지 않는 길’을 새롭게 음미해 본다.

 

 

노란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한 사람 나그네일 뿐인지라

안타깝지만 두 길을 갈 수 없어

오랫동안 서서

덤불에 꺾여 내려간 데까지

한쪽 길을 가능한 한 멀리까지

바라다 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 길은 풀이 더 우거지고

사람이 걸어간 자취가 적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을 걸으므로 해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입니다

 

그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가 적어

아무에게도 더럽혀지지 않은 채

묻혀 있었습니다

 

아, 나는 뒷날을 기약하며

한 길을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다른 길로 이어져 끝이 없으므로

내가 다시 여기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에선가

한숨을 쉬며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갈라져 있었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로 인해 모든 것이 달라졌노라고

그리스, 로마신화

댓글 0 | 조회 1,468 | 2018.02.15
우리는 불가능한 일을 이루었을 때 기… 더보기

파스칼의 팡세

댓글 0 | 조회 1,199 | 2018.01.31
이 번주부터는 그 동안 우리 나라와 … 더보기

일본은 없다

댓글 0 | 조회 1,723 | 2018.01.17
전 세계가 영토 문제로 시끄럽다. 어… 더보기
Now

현재 1Q84

댓글 0 | 조회 1,291 | 2017.12.19
인문학 산책 (21)요즈음 우리 세대… 더보기

사자소통, 네 글자로 끝내라

댓글 0 | 조회 1,489 | 2017.12.06
인문학 산책 (20)서양의 격언이나 … 더보기

한시 미학 산책(漢詩美學散策)

댓글 0 | 조회 854 | 2017.11.21
독서를 하다 보면 나름대로 독서 취향… 더보기

열국지(列國誌)와 삼국지(三國志)

댓글 0 | 조회 1,748 | 2017.11.08
인문학 산책 (18)소설로 중국 역사… 더보기

인간의 길을 묻다

댓글 0 | 조회 1,407 | 2017.10.26
방대한 중국 역사를 우리는 주로 소설… 더보기

서른에 법구경을 알았더라면

댓글 0 | 조회 1,756 | 2017.10.11
우리는 지금 종교 다원주의 속에 살고… 더보기

21세기 손자병법

댓글 0 | 조회 1,874 | 2017.09.26
인문학 산책 (16)중국의 춘추·전국… 더보기

중용, 인간의 맛

댓글 0 | 조회 1,244 | 2017.09.13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으로는… 더보기

노자 잠언록

댓글 0 | 조회 1,956 | 2017.08.22
니체는 도덕경에 대해‘영원히 마르지 … 더보기

동양고전이 뭐길래

댓글 0 | 조회 1,124 | 2017.08.08
지난 번까지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야… 더보기

한국인의 의식구조

댓글 0 | 조회 2,022 | 2017.07.25
소크라테스가‘너 자신을 알라’라고 할… 더보기

아버지의 편지

댓글 0 | 조회 1,195 | 2017.07.11
세미나의 메카인 제주의 5월은 무척이… 더보기

흑산

댓글 0 | 조회 1,206 | 2017.06.27
초창기에 종교의 탄압은 어느 나라, … 더보기

전형필

댓글 0 | 조회 1,589 | 2017.06.14
이 번주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 더보기

명필....

댓글 0 | 조회 1,644 | 2017.05.23
우리는 서예의 원조는 중국이라고 생각… 더보기

추사를 넘어

댓글 0 | 조회 1,873 | 2017.05.09
요즈음 제주에는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 더보기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댓글 0 | 조회 1,415 | 2017.04.26
요즈음 명화 마케팅이 한창이다. 모 … 더보기

화인열전

댓글 0 | 조회 1,166 | 2017.04.12
해외 여행 중 시간이 허락되면 반드시… 더보기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댓글 0 | 조회 1,443 | 2017.03.22
위대한 우리 문화 유산의 전도사인 전… 더보기

독도 인 더 헤이그

댓글 0 | 조회 2,164 | 2017.03.08
이 번 주는 따끈한 책이 아니라 따끈… 더보기

역사 스페셜

댓글 0 | 조회 1,433 | 2017.02.22
흔히 TV를 바보상자라고 한다. 비정… 더보기

옆으로 본 우리 고대사..

댓글 0 | 조회 1,231 | 2017.02.08
컬럼을 시작하면서,* 21세기의 문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