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내가 못하는 건 상대방도 할 수 없다

0 개 1,543 이현숙

어느 형태의 관계에서 던지 적용해야 하는 것이 평등하고 공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는 것이라도 상대방에게 기대를 건다 던지 요구를 하게 되고 그것을 해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부정적인 비난과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에 흔히 관계에서 갈등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부부간에서 보면 늘 닭이 먼저야 달걀이 먼저냐의 형태로 싸움이 시작됩니다. 당신이 그런 말을 했기 때문에 그런 행동을, 습관을 고치지 못했기 때문에, 나를 화가 나게 했기 때문에 나는 화를 내는 것이고 상대방은 그런 화를 낸 배우자의 통제하지 못하는 감정표현이 하루 이틀도 아니라서 짜증이 밀려와서 같이 화를 냅니다. 그렇다면 이 경우 역시 닭이 먼저야 계란이 먼저냐일 뿐 둘 모두 화를 내는 것은 같기 때문에 내가 못하는 것은 상대방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누구 하나가 잘못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잘못한 것이지요.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는 마치 어려서부터 철이 빨리 들어서 방 정리도 잘하고 부모말에 순종하고 공부도 열심히 하는 훌륭한 어린아이 혹은 청소년이었을 까요? 물론 내가 못했다고 해서 자녀에게도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닙니다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나 자신도 마음은 하고 싶었지만 안되었던 부분들이 많았고 부모가 그런 나의 마음을 알아주기 보다는 보여지는 것으로 인해 판단하고 비판하는 것이 힘들었는데 어느 순간 나도 나의 부모처럼 내 자녀를 대하고 있게 됩니다. 교육이라는 것이 말로만 되어지지 않고 경험과 실수들을 통해 성장하는 부분도 많은 데 자녀에게만큼은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순조롭게 발전만 해나가기를 바랍니다. 부모이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다고 충분히 그 마음을 이해해서 양보한다 해도 내가 하지 못했던 것들 그리고 지금도 하지 못하는 것을 어린 자녀가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때로 강요하는 것은 서로간에 상처만 줄 뿐 긍정적인 발전으로 이끌기는 힘듭니다. 흔한 예로, 부모는 손에서 휴대폰을 놓지 않고 SNS나 유투브 등을 잘 때까지 보면서 더 자기 통제가 안되는 자녀에게는 강요만 하는 것은 전두엽(통제의 영역)이 아직 다 자라지도 않은 자녀에게 할 수 없는 자기 통제력을 끄집어 내려고 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같이 절제하며 함께 해나가면서 격려해줘야 하는 데요. 



누구나 자기 입장을 우선 생각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내가 누군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내가 못하는 것은 상대방도 할 수 없다. 즉 내가 상대에게 바라는 것이 있는 데 상대방이 그것을 하지 못하고 애를 써도 잘 되지 않는 다면 나도 마찬가지로 상대에게 바라는 것을 멈출 수 없고 계속 바라는 것을 그만하고 싶어도 잘 안되는 구나 여기면서 마음에 여유를 가지기를 바랍니다. 내가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바라보게 되는 세상과 사람들은 제법 이해하고 사랑할 만합니다. 가까이 다가가기만 하다보니 좁은 세상과 속이 좁은 사람이 더 현미경처럼 확대되어보여서 답답한 것입니다. 


우리가 상대방의 입장도 생각할 수 있다면 관계에서의 갈등은 존재하지도 않을 것이고 바람직한 관계만 존재할 것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여러 번 갈등을 겪고 같은 문제로 서로 더 깊은 상처만 준다고 여길 때 나의 주장과 고집을 잠시 내려 놓고 상대를 바라보는 시간을 가진다면 그리고 둘이서는 해결하기 힘든 상태까지 갔다면 용기를 내어 전문 상담사의 도움을 받는 다면 전과는 다른 관계를 정립해갈 수 있습니다. 늦는 다 생각할 때가 빠르다는 옛말은 정말 맞는 말입니다. 


■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ww.asianfamilyservices.nz/546204439750612.html  
(한국어 서비스) 혹은 asian.admin@asianfamilyservices.nz / 0800 862 342 “내선 2번을 누르세요”로 연락주세요

도박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댓글 0 | 조회 1,758 | 2022.08.30
남편은 밥을 먹을 때에도 항상 휴대폰… 더보기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 상담사와의 부모모임

댓글 0 | 조회 997 | 2022.08.09
그 전 칼럼에서 소개했던 IYP프로그… 더보기

비난하는 부모, 평생 영향받는 자녀

댓글 0 | 조회 1,797 | 2022.07.12
부모는 아마도 자신의 말 한마디 행동… 더보기

3살에서 8살 사이 자녀들을 위한 Parenting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1,594 | 2022.06.15
문교부에서 한국인 커뮤니티를 위해 I… 더보기

감정관리의 중요성: Pink shirt day를 지지하며

댓글 0 | 조회 886 | 2022.05.10
세상에 그리고 인생에 많은 문제들이 …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 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2)

댓글 0 | 조회 1,018 | 2022.04.13
부담 없이 게임을 하는 것은 긴장을 … 더보기

내 자녀의 온라인 게임중독, 어떻게 해야 할까? (1)

댓글 0 | 조회 1,388 | 2022.03.09
십대의 자녀들, 특히 아들들의 온라인… 더보기

2022년, 마음의 관리를 통해 부부 관계의 회복을 이루기를

댓글 0 | 조회 1,184 | 2022.02.10
모든 관계 안에서 불통으로 인해 갈등… 더보기

서로에게 힘이 되는 가족

댓글 0 | 조회 1,066 | 2021.12.21
상담통해 만나는 많은 분들이 가족에게… 더보기

내가 힘들면 세상이 힘들다

댓글 0 | 조회 1,147 | 2021.12.07
서구 사회에서 교육받고 자란 이민 2… 더보기

나 자신에게 친절합시다!

댓글 0 | 조회 1,186 | 2021.11.24
코비드 상황이 길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더보기

자신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 이기적인가?

댓글 0 | 조회 1,296 | 2021.11.10
가족을 위하는 마음이 부모의 무조건적… 더보기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작은 힘

댓글 0 | 조회 1,291 | 2021.10.27
전례 없는 세상이 되었고 인간이 통제… 더보기

델타 변이와 락다운에 대한 설문조사가 중요한 이유

댓글 0 | 조회 2,531 | 2021.10.13
갑작스럽게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뉴질랜… 더보기

우리 함께 Covid19에 대처해요.

댓글 0 | 조회 1,536 | 2021.09.08
Covid19 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 더보기

뉴질랜드 거주 동양인들 중 우울증상이 가장 높은 한국인

댓글 0 | 조회 2,364 | 2021.08.10
지난 6월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에서 … 더보기

세대 간의 갈등

댓글 0 | 조회 1,124 | 2021.07.28
요즘 ‘라떼는’ 이라는 말이 유행어처… 더보기

Self-care,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 주는 것 (2)

댓글 0 | 조회 1,094 | 2021.07.14
자신을 존중하고 신뢰하며 가치있는 존… 더보기

Self-care,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 주는 것 (1)

댓글 0 | 조회 1,054 | 2021.06.10
Self-care가 단순히 자기 관리… 더보기

방황하는 부모와 방황하는 자녀들

댓글 0 | 조회 1,494 | 2021.05.26
그 전에 소리치는 부모, 소리치는 자… 더보기

공통적인 부부간의 갈등

댓글 0 | 조회 1,785 | 2021.05.12
상담을 하면서 그리고 주변에서도 많은… 더보기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825 | 2021.04.29
과거와는 달리 정신적 건강의 위험신호… 더보기

금쪽같은 내 새끼

댓글 0 | 조회 1,461 | 2021.04.13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있겠… 더보기

도박의 해가 어린 자녀에게 미친 평생의 영향

댓글 0 | 조회 1,782 | 2021.03.24
도박은 죽어야 끊을 수 있다고 했던 … 더보기

복권도 도박

댓글 0 | 조회 1,918 | 2021.03.09
많은 분들이 복권을 사는 것이 자연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