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인과 직장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직업인과 직장인

0 개 1,436 명사 칼럼

나는 내 직장 길 건너에 있는 아파트에 산다. 아파트 지하 1층에는 운동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져 있는데 그곳에서 운동을 하던 어느 날 아침에 있었던 일이다. 

 

큰 잔에 찻잎 몇 개를 떨어뜨리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가져가는데, 운동을 할 때는 벽 한쪽에 있는 테이블 위에다 올려놓는다. 그 날도 그랬다. 운동을 하다가 목이 말라 찻잔이 놓여 있는 곳으로 갔는데 그 잔 위에 티슈 한 장이 올려져 있는 것을 보았다.

 

보통 오전 8시 조금 지나면 여성 한 분이 와서 청소를 한다. 진공청소기를 돌리고, 유리창을 닦고 운동기구의 먼지를 닦아낸다. 그 분이 해 놓으셨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었다. 큰 감동을 받은 나는 그분에게 다가가 감사 인사를 드렸다. 청소할 때 생기는 먼지가 들어갈까 봐 명함 크기만 한 일회용 사각 종이컵을 걸쳐 놓고 거기에 티슈를 올려놓으신 것이다. 그것을 생각하면 지금까지도 마음이 밝고 환해진다.

 

자신이 비록 힘들고 불편하더라도, 한 발짝 더 내디뎌 다른 사람을 편하게 해 줄 수 있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항상 타인에게 감동을 준다. 타인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일이자, 자신에게는 자신을 제한하는 기능적인 한계를 벗어나서 스스로를 확장하는 경험이기도 하다. 

 

좀 과장하는 것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사실 이것이 바로 어떤 한 사람을 위대하게 만드는 힘의 출처다. 모든 창의적인 일이나 사회적인 공헌 등은 우선 자신이 확장되어 많은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공적인 역할로 자리 잡은 경우들인데, 그런 일들은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하는 데서 생긴다.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일이기 때문에 자신에게는 하나의 수고가 된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수고가 있어야만 세상은 더 나아지고 자신은 더 성숙해진다. 자신이 전체 세상으로 확장되는 일이자, 자신을 성숙시키는 일이라는 점에서 개별자로서의 자신과 전체로서의 세상이 서로 섞이고 일치하며 교류한다. 간단하고 쉬워 보이지만 막상 잘 안 되는 일이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안다.

 

세상은 넓고 다양하다. 하지만 한 개인의 능력은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우리는 대개 하나의 역할만을 담당하고 산다. 세상 속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직(職)’ 이라고 한다.

 

또 인간은 누구나 행위의 결과에 따라 성숙해 간다. 당연히 모든 행위는 사실 수행이며 거기에 자신의 미래가 달려 있다. 

 

그것을 불교에서는 ‘업(業)’ 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인간은 ‘특정’ 한 역할(職)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고 완성(業)한다. 

 

이것이 바로 직업이다. 당연한 이치로, 인간은 ‘직업’을 잘 수행함으로써 사회적이고 공적인 존재로 확장한다. 바로 ‘직업인’이다. 

 

여기서 핵심은 ‘업’의 정신에 있는데, 그것은 자신이 맡은 역할(職)을 전인격적인 태도로 대하느냐, 아니면 기능적으로 대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전인격적인 태도는, 마음은 다른 곳에 두고 하도록 정해진 것만 대충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맡은 일의 궁극적인 의미를 살펴서 거기에 온 마음을 두고 기꺼이 불편함과 수고를 받아들여 조그마한 확장성이나마 시도해 보는 것이다. 

 

그렇게 되려면 우선 자신의 역할을 하나의 수행처로 삼아야 한다. 그 역할을 통해서 자아가 완성되고 실현된다는 지속적인 각성을 하고, 항상 정성스러운 마음가짐을 유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라도 마음이 떠난 상태에서 자신의 역할을 기능적으로만 대한다. 

 

‘직’과 ‘업’이 분리된다. 이런 사람은 ‘직업인’이 아니라, 그냥 ‘직장인’이다. 한 사회의 건강성과 진보는 구성원들이 ‘직업인’으로 사느냐, ‘직장인’으로 사느냐가 좌우한다. 결국 ‘시민이냐’, ‘아직 시민이 아니냐’다.

 

누구나 성장하는 삶을 살고 싶은 사람은 ‘그 다음’에 대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다음’을 살아야만 한다. 자신이 맡은 기능적인 역할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머물지 않고, 알고 있는 것 ‘다음’을 따라 아직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넘어가려고 시도한다. 어떤 일을 하고 나서 바로 그 다음에 어떻게 혹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걱정한다. 그것은 청소하시는 그 분이 다른 사람의 찻잔에 먼지가 들어갈까 봐 걱정하고, ‘다음’을 하는 수고를 기꺼이 한 일과 똑같다.

 

■ 최 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 건명원 원장 

 

36b5d34e875d6cbed3bf1b602d3be771_1565650414_2609.jpg
 

누가 감히 우크라이나를 조롱하는가

댓글 0 | 조회 1,615 | 2022.03.23
“여기저기서 기관총을 조준사격하고 있… 더보기

침묵은 파시즘이다

댓글 0 | 조회 1,602 | 2019.03.14
지난해 한국인들은 <택시운전사&… 더보기

냉담하지 말고, 지치지 말고

댓글 0 | 조회 1,599 | 2020.08.26
법(法)의 옛글자는 灋(법)이다. 이… 더보기

한국, 세계에서 가장 개인주의적 사회?

댓글 0 | 조회 1,584 | 2024.02.14
저는 직업상 식민지 시대 사회주의적 … 더보기

소통이 고통인 당신… 완벽, 승리, 주역 욕심을 버려라

댓글 0 | 조회 1,577 | 2021.01.27
소통은 직장생활 내내 화두였다. 나는… 더보기

효도계약서라도 써야 하는가

댓글 0 | 조회 1,576 | 2019.03.27
지난 30년 동안 인간사회에는 뜻밖의… 더보기

‘무재팔자’에 대해서

댓글 0 | 조회 1,576 | 2019.12.10
무재팔자도 돈 만지는 직업 가능 단,… 더보기

역사적인 결정, 초중고 뉴질랜드 역사 교육 의무화 - 역사교육 시리즈 (1)

댓글 0 | 조회 1,538 | 2021.06.10
머리말최근 지인으로부터 초중고교 뉴질… 더보기

강원국의 리더가 말하는 법

댓글 0 | 조회 1,532 | 2020.04.06
리더는 갈등을 ‘변화의 디딤돌’로 만… 더보기

약 오르면 진다

댓글 0 | 조회 1,528 | 2019.04.24
어릴 적에 보았던 연속극의 한 대목이… 더보기

‘양심을 찍는 도끼’와 ‘쇤네 근성’

댓글 0 | 조회 1,525 | 2020.09.23
코로나 사태 이전 이야기다. 문학 관… 더보기

유머감각이 리더십이다

댓글 0 | 조회 1,493 | 2020.07.29
“당신은 웃기는 사람입니까”간디가 영… 더보기

아빠, 내 이름은 무슨 뜻이야?

댓글 0 | 조회 1,485 | 2021.11.23
최근에 한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중 … 더보기

말에도 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472 | 2020.10.14
■ 강 진모말에도 뿌리가 있다. 어떤… 더보기

화순 학포당

댓글 0 | 조회 1,443 | 2020.05.04
의(義)란 무엇인가, 두 번 보여준 … 더보기
Now

현재 직업인과 직장인

댓글 0 | 조회 1,437 | 2019.08.13
나는 내 직장 길 건너에 있는 아파트… 더보기

문외한의 영시(英詩) 산책

댓글 0 | 조회 1,396 | 2020.09.09
얼마 전 아내와 함께 흰 구름도 눈 … 더보기

부끄러워 할 줄 안다는 것

댓글 0 | 조회 1,392 | 2020.08.12
“부끄러움 아는 자기반성 능력, 인간… 더보기

멘토는 없다

댓글 0 | 조회 1,392 | 2019.06.12
젊은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더보기

선비들에게서도 배울 점이 있는가?

댓글 0 | 조회 1,381 | 2019.07.24
서양 중세의 기사와 영국 근대의 젠트… 더보기

하늘과 우편

댓글 0 | 조회 1,351 | 2019.02.13
다시 새해다. 새해는 언제나 우리에게… 더보기

꽃필수록 아프다

댓글 0 | 조회 1,335 | 2019.07.09
오래 전, 누가 바다 멀리 어느 섬에… 더보기

영웅은 없다

댓글 0 | 조회 1,315 | 2020.12.23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비극의 주인공… 더보기

위대함의 원천

댓글 0 | 조회 1,301 | 2020.11.25
인간은 근본적으로 문화적 존재다. 자… 더보기

두터워지는 새해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1,286 | 2019.02.26
우리는 한국 사람이고, 한국 사람으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