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vs 영주권 그리고 불법체류자의 착취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사랑 vs 영주권 그리고 불법체류자의 착취

0 개 4,785 이동온
22살의 젊은 청년이 59살 중년의 여인과 미용실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다.  둘은 첫 눈에 사랑에 빠지게 되고, 알게 된지 삼 개월이 채 안되어 결혼을 하게 된다.  얼핏 들으면 37살 연하 커플의 로맨틱한 러브스토리일 듯 한데, 여기에 몇 가지 사항을 더 추가해보자.  이 22살의 젊은 청년은 뉴질랜드 영주권이 없는 학생 신분이고, 59살의 여인은 뉴질랜드 영주권자이다.  인도에서 온 이 젊은 청년은 결혼식을 올린 후 파트너쉽/동반자 자격으로 취업비자를 신청하게 된다.  과연 로맨틱한 러브스토리가 맞는걸까, 아니면 영주권을 받기 위한 의도된 결혼이었을까…

며칠 전 뉴질랜드 헤럴드 일면을 장식한 기사 내용이다.  아직까지 후속 기사가 보도되지는 않았지만, 여태까지 알려진 바로는 이민성에서는 이 커플의 결혼을 로맨틱한 러브스토리로 보지만은 않은 듯 하다.  이민성은 인도청년의 취업비자 신청을 기각하였는데, 그 이유로 커플간의 나이 차이, 종교와 문화의 차이, 짧았던 둘의 교제 기간, 그리고 하숙을 연상시키는 동거 방식 등을 들었다고 한다.
 
영주권.
뉴질랜드에 영구적으로 거주할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는 꿈에서도 바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인지 영주권이 무슨 벼슬이라도 되는 듯이 행동하는 영주권자도 간혹 보이곤 한다.  영주권자이건 비 영주권자이건 고용에 관해서는 최소한의 권리를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도덕적으로도 그렇고 법이 규제하는 바도 그렇다.
 
이민법 (Immigration Act 2009)에는 합법적으로 일할 권리가 없는 사람의 착취란 조항이 있다.  이 조항은 고용주를 제제하는 조항인데, 이 조항에 따르면 합법적으로 일 할 권리가 없는 사람을 고용하면서:
 
- 휴가법(Hoilidays Act 2003)상 고용인에게 지불해야 할 금액을 지불하지 않거나;
- 최저임금법 (Minimum Wage Act 1983)을 준수하지 않거나;
- 임금보호법 (Wages Protection Act 1983)을 어거거나;
 
- 해당 고용인이:
o 고용주의 사업장을 떠나는 것을 막거나;
o 뉴질랜드를 떠나는 것을 막거나;
o 뉴질랜드 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요구하거나 문의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o 자신의 고용조건에 대해 제 삼자에게 알리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불법행위이고, 이는 7년 이하의 징역이나 십만 불 이하의 벌금형에 (또는 징역과 벌금을 동시에) 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인의 여권이나 비행기 티켓을 압류하거나, 전화를 사용하는 것을 제약하거나,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것을 제약하는 등의 행위는 위의 ‘착취’ 중 마지막 사항에 해당한다. 
 
고용주가 불법으로 일하는 고용인을 착취하는 것은 이미 법으로 제제할 근거가 있지만, 요즘 정계에서는 합법적으로 일하는 고용인의 착취 역시 추가로 제제하는 방안이 논의 되고 있다.  그 중 언론에 알려진 방안으로는:
 
- 불법으로 일하는 고용인의 착취를 제제하는 것처럼, 합법적으로 일하는 고용인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착취하는 것도 역시 같은 형량과 벌금으로 처벌하는 방법, 즉 예를 들어 워킹 홀리데이 비자로 일하는 고용인에게 최저 임금 이상을 지불하지 않는 고용주 역시 최고 7년의 금고형 또는 십만 불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하는 방법; 그리고
 
- 이민자 출신의 고용주가 영주권을 취득한 시점으로부터 십 년 안에 이민자 고용인을 착취하는 경우에는 고용주의 영주권을 박탈하고 추방하는 방안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서두에서 언급한 커플은 인도 청년의 비자가 최종 기각이 되어도 결혼 생활을 유지하게 될까…  정말 사랑한다면 거주지가 큰 제약이겠는가, 둘만 같이 있을 수 있다면. 
 

InterCity와 Nakedbus 회사간의 송사

댓글 0 | 조회 2,943 | 2014.04.24
뉴질랜드 국내에서 장거리 여행을 해보… 더보기

재판이 용납할 수 없는 지연

댓글 0 | 조회 1,911 | 2014.04.08
상위법원이 하위법원에서 상고된 판결을… 더보기

대리인을 통한 투표(Proxy)

댓글 0 | 조회 2,658 | 2014.03.26
지난호 칼럼에 이어 이번에는 prox… 더보기

정족수(Quorum)

댓글 0 | 조회 2,876 | 2014.03.11
어떠한 단체던지 회의를 개회하고 의안… 더보기

‘페북’으로 법정서류를 받았다고?

댓글 0 | 조회 2,301 | 2014.02.26
대부분의 상거래 관련 계약서들에는 공… 더보기

비상장 주식회사의 주식 매매-주주간의 주식거래

댓글 0 | 조회 4,894 | 2014.02.11
동업으로 하는 비즈니스의 대다수가 주… 더보기

임대차 계약 협상

댓글 0 | 조회 3,704 | 2014.01.30
▶ Lease Inducement P… 더보기

아동 보호용 의자 - 부스터 시트

댓글 0 | 조회 2,765 | 2014.01.14
뉴질랜드는 한 때 차량에서 쓰는 아동… 더보기

사색(Ⅳ)-she’ll be alright

댓글 0 | 조회 2,424 | 2013.12.24
로펌은 매년 바쁜 시기가 두 번 돌아… 더보기

선거권

댓글 0 | 조회 1,918 | 2013.12.11
얼마 전 지인과 대화를 하다가 선거 … 더보기

내가 경매에 내놓은 물건에 내가 입찰을...? <쉴 비딩>

댓글 0 | 조회 2,702 | 2013.11.27
Shill bidding(이하 쉴 비… 더보기

미리 알았더라면...

댓글 0 | 조회 1,683 | 2013.11.13
고객의 의뢰를 받아 첫 상담을 할 때… 더보기

배심원 의무를 기피했다가 구금형을 받은 사람도 있다?

댓글 0 | 조회 2,645 | 2013.10.23
간혹 우편을 통해 법무부의 로고가 새… 더보기

최저임금이 올라간다?

댓글 0 | 조회 2,843 | 2013.10.09
뉴질랜드에서의 최저임금은 현재 시간당… 더보기

건축허가가 면제되는 건축 공사

댓글 0 | 조회 3,962 | 2013.09.25
뉴질랜드에서 살다 보면 어떤 식으로든… 더보기

Look at me once please

댓글 0 | 조회 2,528 | 2013.09.10
오래 전 어느 겨울날 수업을 듣기 싫… 더보기

정부 건물 조폭 완장 금지법

댓글 1 | 조회 2,133 | 2013.08.28
몇 해전 왕가누이 조폭 완장 금지법이… 더보기

렌트비가 $8300에서 $73750로 올랐다고?

댓글 0 | 조회 3,227 | 2013.08.14
▶ 렌트비가 $8300에서 $7375… 더보기

맞춤형 계약

댓글 0 | 조회 1,573 | 2013.07.24
위의 문구는 필자가 몇 해 전 크로스… 더보기

현재 사랑 vs 영주권 그리고 불법체류자의 착취

댓글 0 | 조회 4,786 | 2013.07.10
22살의 젊은 청년이 59살 중년의 … 더보기

정관개정 - 비합법적으로 개정된 정관

댓글 0 | 조회 1,949 | 2013.06.25
얼마 전 (xxx호) 칼럼에서 사단법… 더보기

홇배 이셔도

댓글 0 | 조회 3,084 | 2013.06.12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 더보기

CCCFA - 해약 권한

댓글 0 | 조회 2,716 | 2013.05.29
이번 칼럼에서는 Credit Cont… 더보기

행복추구권

댓글 0 | 조회 1,408 | 2013.05.15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더보기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댓글 0 | 조회 1,695 | 2013.04.24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