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0 개 1,369 성태용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계를 종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고용법을 위반했을 경우 피고용인의 임금손실에 대한 보상을 하거나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피해 보상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가 무엇인지를 아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작년 칼럼에서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에 대해서 다루었을때는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 종료시 아래 네가지 방법을 권유드린 바 있습니다.


1. 피고용인의 비자 상태를 파악한다.

2. 피고용인의 비자가 언제 만료되는지를 기록한다.

3. 새로운 비자를 받는 건에 대해서 피고용인과 면담을 한다.

4. 노동시장 검사를 하여 피고용인이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하지만 노동시장 검사를 하여 피고용인이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가 있는것을 확인한다고 해도 고용주가 피고용인에게 비자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부당해고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최근 고용법원의 Restaurant Brands Ltd v Gill 사건는 이를 보여줍니다.


Gill 사건에서 Gill씨는 Post-Study Work Visa를 받아서 KFC에서 부점장으로 근무하였습니다. Post-Study Work Visa 만료일이 다가오자 Gill씨는 회사 인사팀에 Essential Work Visa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요청하였습니다. 서류를 제공하기 위해서 고용주는 부점장 구인공고 (노동시장 검사)를 내서 부점장 일을 할 수 있는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가 있는지 확인해야 했습니다. 구인공고 결과, 원서를 낸 두명의 뉴질랜드 시민권자 중 한명이 채용되었습니다. 채용된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근무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 그만두자 Gill씨는 비자 만료일까지 근무한 후 고용주를 부당해고와 불공정한 행위로 고소하였습니다.


고용법원은 고용주가 뉴질랜드 시민권자 채용 이후 Gill 씨에게 바뀐 상황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주목하였습니다. 고용주는 Gill 씨에게 채용된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근무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 일을 그만두었다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다른 지점의 부점장이 일을 그만두어서 다른지점에 부점장 자리가 공석이라는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고용법원은 고용주가 Gill 씨에게 뉴질랜드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를 우선적으로 채용해야하는 노동시장 검사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지 않은 것도 잘못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고용법원은 채용된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일을 그만둔 시점에는 구인공고 원서를 낸 또 다른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부점장 일에 더이상 관심이 없었다고 적시하면서 Gill씨 비자에 필요한 노동시장 검사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고용법원은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일을 그만둔 이후 고용주가 Gill씨와 신속하게 해고 취소 여부에 대해 면담할 필요가 있었다고 하면서 면담을 하지 않은 것은 신의성실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고용법원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고용주라면 노동시장 검사가 충족되었다는 Gill씨의 Essential Work 비자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제공하였을 것이고 이민성이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임시비자를 발급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고용법원은 비자 만료를 사유로 Gill 씨를 해고한 것은 부당해고이며 고용주는 Gill씨에게 정신적인 피해보상금 $25,000과 임시비자 기간에 해당하는 6개월치의 월급을 지불해야 한다고 명령하였습니다.


Gill 사건에서 보여진 것처럼 노동시장 검사에서 피고용인이 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가 있는지를 확인했다고 해서 고용주의 의무가 종료되는 것은 아닙니다. 고용주는 피고용인과의 고용관계가 종료될 때까지 고용관계 유지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피고용인이 부당해고의 원인을 제공한 경우

댓글 0 | 조회 2,246 | 2022.02.23
일반적으로 고용관계청이나 고용법원이 … 더보기

현재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댓글 0 | 조회 1,370 | 2022.01.26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2

댓글 0 | 조회 1,478 | 2021.12.21
뉴질랜드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댓글 0 | 조회 2,986 | 2021.11.24
최근 개정된 코로나바이러스 (Covi…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의무 접종 2

댓글 0 | 조회 1,763 | 2021.10.27
뉴질랜드 정부가 전체 인구의 90%를… 더보기

착취당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권리

댓글 0 | 조회 1,976 | 2021.08.24
작년 7월 뉴질랜드 정부가 외국인 노… 더보기

고용법 위반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1,575 | 2021.06.23
예전 칼럼에서 고용법이 보장하는 최소… 더보기

임금 인상은 권리인가

댓글 0 | 조회 1,327 | 2021.05.25
최근 뉴질랜드 정부가 추가로 향후 3…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358 | 2021.04.28
피고용인의 비자 만료가 다가올 경우 …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의무 접종

댓글 0 | 조회 2,335 | 2021.03.23
의료종사자, 자가격리 호텔 직원, 6…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lockdown과 최저임금

댓글 0 | 조회 2,791 | 2021.02.23
오클랜드 지역이 코로나바이러스 (Co… 더보기

우버 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

댓글 0 | 조회 2,510 | 2021.01.27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사 소속의 차량… 더보기

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해고 조항의 한계

댓글 0 | 조회 1,471 | 2020.12.22
피고용인을 해고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더보기

이민법 위반이 고용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2,148 | 2020.10.28
뉴질랜드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보유하고… 더보기

재택근무와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595 | 2020.09.22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로 인… 더보기

Lockdown 기간의 임금 지급 의무

댓글 0 | 조회 3,100 | 2020.08.25
오클랜드가 코로나바이러스 (Covid… 더보기

거짓 고용계약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1,871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가 이민 규제를 강화하면… 더보기

가족 일원의 고용관계

댓글 0 | 조회 1,879 | 2020.06.23
주위를 보면 어렵지 않게 가족끼리 사…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정리해고

댓글 0 | 조회 1,897 | 2020.05.26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외출금지령이 해… 더보기

고용주의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대처 방안

댓글 0 | 조회 5,756 | 2020.03.24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유동인구가 심… 더보기

구조조정으로 인한 정리해고

댓글 0 | 조회 2,604 | 2020.02.26
시험 근로기간 조항이 적용되는 경우를… 더보기

심각한 수준의 최소 기본 권리 침해에 따른 처벌

댓글 0 | 조회 1,929 | 2020.01.28
작년 칼럼에서 피고용인의 최소 기본 … 더보기

독립계약자 관련법 개정

댓글 0 | 조회 1,400 | 2019.12.20
작년 칼럼에서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에… 더보기

복직명령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414 | 2019.11.26
피고용인이 고용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더보기

최소 기본 권리 위반에 따른 처벌

댓글 0 | 조회 1,559 | 2019.10.22
몇 회전 칼럼에서 피고용인의 최소 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