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해고 조항의 한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해고 조항의 한계

0 개 1,465 성태용

피고용인을 해고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뉴질랜드에서 유일한 예외적인 경우가 고용주가 고용계약서의 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조항에 의거하여 새로운 직장에서 근무를 시작한지 90일이 지나지 않은 피고용인을 해고하는 경우입니다. 매우 예외적인 경우이기에 고용관계청과 고용법원은 고용주가 시험근로기간에 피고용인을 해고할 경우 완벽한 절차를 밟았는지를 꼼꼼하게 검토합니다. 


하지만 완벽한 절차를 밟아서 시험근로기간에 피고용인을 해고한다고 하여도 시험근로기간 조항이 고용주에 대한 모든 고소를 막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시험근로기간 조항이 제한하는 것은 피고용인이 부당해고로 고용주를 고소하는 경우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종 또는 성별 등의 이유로 직장에서 차별 대우를 받았을 경우, 부당한 행위를 당했을 경우, 고용주가 신의성실의 원칙을 위반하였을 경우, 고용계약을 위반하였을 경우에는 피고용인이 고용주를 고소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근 판결이 내려진 Evans v JNJ Management Ltd 사건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Evans 사건에서 Evans 씨는 2018년 12월10일 JNJ Management Ltd회사에서 보안팀장으로 근무를 시작합니다. Evans씨의 업무는 건물 순찰, 감시장비 관찰, 건물 점검, 보안 예산 관리, 보안 직원 고용 등이었습니다. Evans 씨는 2019년 2월 25일 JNJ 회사가 보안용역업체와 계약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27일 근무당번표에 자신의 이름과 다른 JNJ 회사 소속 보안 직원의 이름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2017년 2월 28일 자신과 아무런 상의도 없이 보안용역업체와 계약을 체결에 것에 대한 큰 우려를 표시하는 이메일을 보냅니다. 이후 JNJ회사가 시험근로기간 조항에 의거하여 Evans씨를 해고하자 Evans 씨는 부당해고와 고용주의 부당한 행위를 이유로 JNJ회사를 고용관계청에 고소합니다. 


고용관계청은 이에 대해 합법적인 시험근로기간 조항에 의거하여 해고를 하였기에 Evans 씨가 JNJ회사를 부당해고로 고소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으며 해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당한 행위로도 고소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하지만 항소심에서 고용법원은 고용관계청의 판결이 잘못되었으며 부당한 행위 부분에 대한 고소는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항소심에서 JNJ 회사는 보안용역회사와 계약한 것은 내부 보안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법원은 JNJ회사가 보안용역회사와 계약을 한 것이 JNJ 회사의 보안 서비스팀을 구조 조정한 것과 같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고용법원은 JNJ 회사가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거하여 Evans 씨와 적극적으로 의견 교환을 할 필요가 있었다고 밝히면서 보안예산 관리 업무를 맡은 Evans 씨가 보안용역업체 계약 과정에서 배제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보안용역업체와 계약한 것으로 인해 Evans  씨가 맡은 직원 고용 업무를 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Evans 씨가 불이익을 당한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용법원은 보안용역업체와의 계약 논의가 영어가 아닌 다른나라 언어로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JNJ회사에는 Evans씨에게 회사의 계획을 설명하고 Evans씨의 의견을 들을 의무가 있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고용법원은 JNJ 회사가 Evans씨와 보안팀의 구조조정에 관해 의견교환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Evans 씨가 정신적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판결하면서 JNJ회사가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보상으로 $5,000을 Evans씨에게 지불할 것을 명령하였습니다.


Evans 사건에서 보여지듯이 고용주가 시험근로기간중 해고에 필요한 절차를 완벽하게 밟는다고 해서 소송의 위험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시험근로기간 조항에 의거하여 피고용인을 이유없이 해고할 수 있다고 한다해도 고용관계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는 고용주로서의 의무를 준수하고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피고용인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정리해고

댓글 0 | 조회 1,892 | 2020.05.26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외출금지령이 해… 더보기

오렌지 라이트전환으로 인해 변경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890 | 2022.04.27
뉴질랜드 신호등 시스템 방역체계가 주… 더보기

가족 일원의 고용관계

댓글 0 | 조회 1,868 | 2020.06.23
주위를 보면 어렵지 않게 가족끼리 사… 더보기

거짓 고용계약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1,867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가 이민 규제를 강화하면… 더보기

3자 고용관계 관련 법 개정

댓글 0 | 조회 1,837 | 2019.08.28
3자 고용관계에 있는 피고용인의 권리… 더보기

기간제 (fixed term) 근로계약

댓글 0 | 조회 1,814 | 2019.03.27
근로계약서가 특별한 날짜 또는 사건이… 더보기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무효 판결

댓글 0 | 조회 1,796 | 2022.03.23
작년 말 칼럼에서는 뉴질랜드 정부가 … 더보기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의 구분

댓글 0 | 조회 1,796 | 2018.10.24
뉴질랜드 고용법은 피고용인에게 많은 …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의무 접종 2

댓글 0 | 조회 1,763 | 2021.10.27
뉴질랜드 정부가 전체 인구의 90%를… 더보기

고용법 위반 150만불 벌금 판결

댓글 0 | 조회 1,734 | 2023.02.28
최근 고용법원이 판결한 Te Puna… 더보기

강화될 외국인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614 | 2022.10.26
작년 칼럼에서는 예전에는 외국인 노동… 더보기

강제 정년 퇴직

댓글 0 | 조회 1,610 | 2023.09.26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 더보기

재택근무와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592 | 2020.09.22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로 인… 더보기

고용법 위반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1,572 | 2021.06.23
예전 칼럼에서 고용법이 보장하는 최소… 더보기

고용관계에서 발생한 불만 제기

댓글 0 | 조회 1,564 | 2018.08.22
고용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장… 더보기

최소 기본 권리 위반에 따른 처벌

댓글 0 | 조회 1,552 | 2019.10.22
몇 회전 칼럼에서 피고용인의 최소 기… 더보기

고용재판에서의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 여부

댓글 0 | 조회 1,543 | 2018.07.25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요즘 피고용인… 더보기

시험 근로 기간 (trial period)

댓글 0 | 조회 1,509 | 2019.07.24
새로운 직장에서 근무를 시작한지 90… 더보기

되돌릴 수 없는 고용분쟁 합의서

댓글 0 | 조회 1,480 | 2022.09.28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송을…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2

댓글 0 | 조회 1,475 | 2021.12.21
뉴질랜드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더보기

현재 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해고 조항의 한계

댓글 0 | 조회 1,466 | 2020.12.22
피고용인을 해고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더보기

피고용인 주장의 신빙성에 대한 판단

댓글 0 | 조회 1,420 | 2018.06.27
고용주들이 징계절차를 진행할 시 맞닥… 더보기

복직명령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408 | 2019.11.26
피고용인이 고용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더보기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 발효로 인한 변화

댓글 0 | 조회 1,405 | 2018.05.24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이 2015년… 더보기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법

댓글 0 | 조회 1,400 | 2018.11.29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권리를 강화하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