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재판에서의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 여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고용재판에서의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 여부

0 개 1,532 성태용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요즘 피고용인들이 고용주와의 대화를 녹음하여 증거로 제시하려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런 경우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을 증거로 채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법 제160조 2항은 증거가 엄격한 증거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지라도 고용청(Employment Relations Authority)이 형평성과 양심에 의거하여 증거로 채택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용청 (Employment Relations Authority)이 일반법원과 비교해서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 여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느슨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항소법원이 Talbot v Air New Zealand Ltd 사건에서 확립한 원칙에 따르면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고용청 또는 법원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모든 상황을 종합해 보았을 때 증거로 채택하는 것이 공평한지의 여부입니다. 

 

Talbot v Air New Zealand Ltd 사건에서 Talbot 항공기 조종사 노동조합 이사는 Air New Zealand Ltd의 인사과장인 Taylor씨와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증거로 제출하였습니다. Talbot씨는 통화도중 통화내용이 녹음되고 있다는 사실은 전하지 않았지만 다른 두명의 조합원들이 스피커폰으로 듣고있다는 사실은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법원은 묵시적인 신뢰와 비밀유지 의무를 위반하였기에 녹음된 음성이 증거로 채택될 수 없다고 판결하였습니다. 하지만 항소법원은 고용법원의 판결을 뒤엎고 만장일치로 녹음된 음성이 증거로 채택될 수 있다고 판결하였습니다. 항소법원이 비록 몰래 녹음하였을 지라도 증거로 채택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데 고려한 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아무도 전화 내용 비밀 보장을 암시하지 않았음
● 양측 모두 Talbot이 다른 두 명의 노동조합 직원들과 스피커폰으로 듣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
● 아무도 녹음된 내용이 불공평하거나 부정확하다고 지적하지 않았음

 

Talbot 사건에서 결정적으로 작용한 요인은 전화내용을 노동조합 직원들과 스피커폰으로 듣고 있었기에 2자간 대화가 아니었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Simms v Santos Mount Eden 사건에 따르면 2자간 대화를 녹음한 경우에도 증거로 채택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Simms v Santos mount Eden 사건에서 주방장으로 일하고 있었던 Simms씨는 레스토랑 주인인 Escalante씨와의 통화내용과 단독 면담에서 나눈 대화 내용을 녹음하였습니다. 재판에서 Simms씨는 Escalante씨가 “법적으로 해고를 할 수는 없지만 일을 계속 한다면 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주장하면서 녹음 파일을 고용청에 제출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청은 Talbot 사건을 인용하면서 Simms씨가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녹음파일을 증거로 제출하는 것을 막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고용청은 덧붙여서 Simms씨가 통화내용을 통화 도중 또는 통화 후에 손으로 자세히 기록하여 증거로 제출한다면 증거로 채택되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피고용인이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증거로 제출한다면 비록 몰래 녹음하였더라도 증거로 채택될 수 있을 가능성이 낮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사건마다 정황이나 조건들이 다르기 때문에 최종 채택 여부는 법원이 판단하게 됩니다. 

 

또한, 대화의 당사자가 아닌 피고용인이 다른사람들의 대화를 녹음하여 증거로 제출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기에 증거로 채택될 수 없습니다.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5e089f1c9d978d00028ec354af5240f2_1532558716_8441.jpg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와 정리해고

댓글 0 | 조회 1,888 | 2020.05.26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외출금지령이 해… 더보기

오렌지 라이트전환으로 인해 변경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885 | 2022.04.27
뉴질랜드 신호등 시스템 방역체계가 주… 더보기

가족 일원의 고용관계

댓글 0 | 조회 1,864 | 2020.06.23
주위를 보면 어렵지 않게 가족끼리 사… 더보기

거짓 고용계약의 위험성

댓글 0 | 조회 1,861 | 2020.07.28
뉴질랜드 정부가 이민 규제를 강화하면… 더보기

3자 고용관계 관련 법 개정

댓글 0 | 조회 1,830 | 2019.08.28
3자 고용관계에 있는 피고용인의 권리… 더보기

기간제 (fixed term) 근로계약

댓글 0 | 조회 1,810 | 2019.03.27
근로계약서가 특별한 날짜 또는 사건이… 더보기

독립계약자와 피고용인의 구분

댓글 0 | 조회 1,791 | 2018.10.24
뉴질랜드 고용법은 피고용인에게 많은 … 더보기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무효 판결

댓글 0 | 조회 1,789 | 2022.03.23
작년 말 칼럼에서는 뉴질랜드 정부가 …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의무 접종 2

댓글 0 | 조회 1,755 | 2021.10.27
뉴질랜드 정부가 전체 인구의 90%를… 더보기

고용법 위반 150만불 벌금 판결

댓글 0 | 조회 1,726 | 2023.02.28
최근 고용법원이 판결한 Te Puna… 더보기

강화될 외국인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609 | 2022.10.26
작년 칼럼에서는 예전에는 외국인 노동… 더보기

강제 정년 퇴직

댓글 0 | 조회 1,607 | 2023.09.26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 더보기

재택근무와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586 | 2020.09.22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로 인… 더보기

고용법 위반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1,563 | 2021.06.23
예전 칼럼에서 고용법이 보장하는 최소… 더보기

고용관계에서 발생한 불만 제기

댓글 0 | 조회 1,558 | 2018.08.22
고용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장… 더보기

최소 기본 권리 위반에 따른 처벌

댓글 0 | 조회 1,550 | 2019.10.22
몇 회전 칼럼에서 피고용인의 최소 기… 더보기
Now

현재 고용재판에서의 녹음파일 또는 녹취록 증거 채택 여부

댓글 0 | 조회 1,533 | 2018.07.25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요즘 피고용인… 더보기

시험 근로 기간 (trial period)

댓글 0 | 조회 1,503 | 2019.07.24
새로운 직장에서 근무를 시작한지 90… 더보기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2

댓글 0 | 조회 1,472 | 2021.12.21
뉴질랜드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더보기

되돌릴 수 없는 고용분쟁 합의서

댓글 0 | 조회 1,470 | 2022.09.28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송을… 더보기

시험근로기간 (trial period) 해고 조항의 한계

댓글 0 | 조회 1,458 | 2020.12.22
피고용인을 해고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더보기

피고용인 주장의 신빙성에 대한 판단

댓글 0 | 조회 1,414 | 2018.06.27
고용주들이 징계절차를 진행할 시 맞닥… 더보기

복직명령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403 | 2019.11.26
피고용인이 고용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더보기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법

댓글 0 | 조회 1,395 | 2018.11.29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권리를 강화하기 … 더보기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 발효로 인한 변화

댓글 0 | 조회 1,392 | 2018.05.24
사업장의 보건 및 안전법이 2015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