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다시 오른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부동산 다시 오른다.

0 개 1,986 KoreaPost
fa6b2ff798528a17b4cfb3dab18416d8_1689666313_8609.jpg
 

2년전부터 이자율 인상으로 많은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커지고 있다. 물론 가파른 물가 인상에 따른 대응책 , 가장 빠르게 대처할 있는 방법이긴 하나 시점과 폭이 어느 국가보다 것이 사실이다. 고수입자들도 오른 물가 쳐내기도 힘든데 융자를 받아 부동산을 구매했다면 이자율 인상으로 인한 더블 임팩트를 감내해야 한다.

 

그러나 침체의 끝이 이제 끝나가는 느낌이다. 관련 기사들과 글이 요즈음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그중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사가 있어서 정리해본다.  2014 부동산 오른다는 기사를 적은지 9년만에 같은 제목으로 글을 올리면서 감회가 새롭다.


이코노미스트 토니 알렉산더는 7 18일자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자신의 기고글에서 지난 3개월 동안 부동산 매매가 19% 증가한 것은 계절적 요인이 수도 있고 시점은 반등한 상황은 아니며 동안 가격 인상폭도 거의 없었다고 밝히면서 동시에 향후 주택시장의 침체가 끝나간다는 이유 7가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해를 돕고자 아래 부연 설명을 붙였다.


   


첫째, 은행들의 융자 사정이 쉬워지고 있으며 RBNZ 융자대비 데포짓 비율과 CCCFA(Responsible Lending Act) 완화.

-  - CCCFA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법으로 현재 까다로워진 융자의 핵심 이유


둘째, 주택 평균가격이 최고점에서 18% 내려간 상태이며 지난 2020년도에 비해 17% 오른 상황.


셋째, 계속 인상되는 렌트비.


넷째, 새로 건축되는 신축 부동산 구입자 대비 기존 주택의 구입자 증가 추세.


다섯째, 예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어 왔던 순이민자 유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


여섯째, 대출금리가 정점에 도달한 상황에서 주택 구매자들이 최악의 금융상황을 쉽게 추정할 있음.


-  구매시 부채 상환에 대한 불안감이 지난 2년간 어느 때보다  낮다. 그리고 호주보다 1.4% 높은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리는 물가인상 압력으로부터 여유가 있어 보인다.


일곱째, 20만명 이상의 임시 워킹비자 신청자들이 거주비자를 신청중에 있으며 이들은 바로 주택구매를 염두에 두고 있음.


알렉산더는 주택 가격이 올해 5%, 내년에 10% 까지 인상될거러고 밝히면서 인상이유를 추가로 8가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두가지는 인상적이다.


첫째, 올해 10월경 투자 또는 렌트용 부동산의 구매를 어렵게 만든 세제를 변경 가능성


둘째, 건축업자들의 파산과 바이어들의 데포짓 손실 등의 이유로 현존 지어진 주택 시장으로의 회귀이다.

 

원문은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www.mpamag.com/nz/news/general/nz-housing-market-bottoming-out-economist


퓨처융자보험 대표

정윤성




리커넥트에서 진행한 Mangere 쓰레기 줍기 프로그램

댓글 0 | 조회 621 | 2023.09.12
지난 8월 26일 토요일, 리커넥트에… 더보기

오르막(Uphill)과 내리막(Downhill) 칩샷

댓글 0 | 조회 612 | 2023.09.12
오르막(Uphill) 칩샷1. 경사도…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869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 더보기

도박장에서도 도박자를 보호해야 한다

댓글 0 | 조회 760 | 2023.09.12
9월 4일자 뉴스에서 스카이 시티가 … 더보기

야뇨증

댓글 0 | 조회 657 | 2023.09.12
야뇨증이란 잠잘 때 꿈을 꾸는 것 같… 더보기

쌀의 날

댓글 0 | 조회 565 | 2023.09.08
가수 진성이 부른 <보릿고개&g… 더보기

이래저래 다 축복이다

댓글 0 | 조회 1,184 | 2023.08.23
유은이의 남동생이 태어났다. 출산 예… 더보기

어떠한 비즈니스 비용을 세금 공제로 청구할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294 | 2023.08.23
비용 발생은 사업 운영의 불가피한 사… 더보기

Waste Disposal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댓글 0 | 조회 1,103 | 2023.08.23
분쇄기(Food Waste Dispo… 더보기

학생들에게 좋은 수면의 중요성 및 수면 향상 방법(2)

댓글 0 | 조회 612 | 2023.08.23
이번 호에서는 지난호에 이어 수면의 … 더보기

40대, 50대여 운동하라!

댓글 0 | 조회 1,077 | 2023.08.23
나잇살 빼주는 10분 복근 운동전 3… 더보기

발 동동 4시간....

댓글 0 | 조회 1,712 | 2023.08.23
맹_꽁이 멍_청이.내가 스스로에게 붙… 더보기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댓글 0 | 조회 727 | 2023.08.23
시인 김 광규4 · 19가 나던 해 … 더보기

뭬야? 공부가 제일 쉬웠다고?

댓글 0 | 조회 723 | 2023.08.23
늦은 밤, 하루종일 이어지던 수업을 … 더보기

오르막 옆 라이와 내리막 옆 라이

댓글 0 | 조회 729 | 2023.08.23
오르막 옆 라이(Uphill Side… 더보기

통과된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095 | 2023.08.22
작년 칼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뉴… 더보기

코 풀기와 코 세척하기

댓글 0 | 조회 941 | 2023.08.22
축농증이나 비염으로 코가 안에 많이 … 더보기

천년을 세우는 날, 천년간 숨겨진 염화미소 만나리

댓글 0 | 조회 492 | 2023.08.22
“서라벌에는 17만 8936호가 모두… 더보기

오늘에서야 속속들이 알아버린 E-visa

댓글 0 | 조회 2,033 | 2023.08.22
세상은 늘 변합니다. 그 변화를 어떻… 더보기

한반도, 단호한 냉정이 필요하다

댓글 0 | 조회 754 | 2023.08.22
올해는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이 되는… 더보기

마중 가는 길

댓글 0 | 조회 545 | 2023.08.2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아내가 귀국하는… 더보기

맑으면 선을 베풀 수 있다

댓글 0 | 조회 513 | 2023.08.22
탁기를 많이 받다 보면 그걸 견디는 … 더보기

코로나19 재유행?

댓글 0 | 조회 2,964 | 2023.08.18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8월 9… 더보기

Covid19 업데이트 - 모든 Covid-19 관련 규제 해제

댓글 0 | 조회 1,393 | 2023.08.18

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댓글 0 | 조회 1,032 | 2023.08.09
장마철이 계속되다 보니 대외활동이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