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이 알려주는 중독 (알코올, 마약, 도박 그리고 게임)의 이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뇌과학이 알려주는 중독 (알코올, 마약, 도박 그리고 게임)의 이유

0 개 1,077 이현숙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고 의지가 약하다거나 정신차리지 못한 한심한 실패자로 보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뇌과학자들은 중독을 뇌의 보상체계에 이상이 생겨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거나 정상적으로 즐거움을 느끼는 활동들에 대한 끌림이 지나쳐진 상태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중독자들을 떠오르면 어질러진 방에 술병들이 나뒹굴고 있고 며칠 씻지 않은 채로 컴퓨터 화면만 들여다 보고 있는 폐인의 모습 그리고 식음을 전폐하고 밤새 도박을 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떠올리게 되는 데, 이 모습들은 지금 하고 있는 것들을 즐거워한다기 보다 멈출 수 없어 계속하고 있는 상태로 보는 것입니다. 그것은 욕망과 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이 과사용되어 망가진 상태로 어떤 활동을 할 지 안 할지를 적절하게 선택하고 행동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것입니다. 


중독과 가장 관련이 높은 신경전달 물질은 도파민인데 중독은 기억, 감정, 쾌감, 의지의 영역들이 총체적으로 망가진 상태인 것입니다. 뇌의 보상체계는 감정,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 연결망이라고 할 수 있는 데 정상적인 경우 동기부여가 생기고 성취가 가능해지는 한편 보상체계가 고장났을 때는 중독, 우울증들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상 범위를 넘어선 도박, 스마트폰 사용, 게임등과 같은 중독성 행동 대부분은 쾌락 중추를 강력하게 자극하여서 점차 그 행동의 양과 횟수가 늘어나는 집착의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코카인, 알코올, 도박 등의 중독자의 경우 해당 물질과 행동의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쾌락 중추가 강하게 반응하기도 합니다. 이런 자극이 더 이상 주어지지 않으면 신체적 심리적 불편함이 발생하는 금단 증상이 나타나는 의존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중독상태가 되면 정상인에 비해 뇌 세포가 위축되고 부피가 줄어드는 데 이는 기억력 저하, 성격의 변화, 수면 각성주기의 변화, 판단력과 지각능력 저하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더욱이 뇌 발달이 미숙한 청소년들의 경우 중독성 약물이나 과도한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행위중독에 노출되면 뇌의 발달이 더디고 전두엽 회백질의 부피도 줄어서 사고능력이나 문제해결 능력, 충돌조절이나 통제력 등에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중독자들을 의지박약으로 치부하기 보다는 중독이 된 후에는 의지하고는 상관없는 뇌의 기능의 문제이므로 정신과 의사, 중독전문가와 상담사등의 도움을 통해 중독에서 벗어나는 치료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 뇌과학자들이 뇌 임플란트와 같은 여러가지 실험들을 통해 중독자들을 위한 치료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은 치료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들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중독의 뇌과학을 이해하고 의지가 약하다 실망하면서 지지를 거두어 중독자를 고립시키기 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동안 동기부여가 되고 희망을 가질 수 있는 환경과 조건들이 제공되어져서 특히 아직 어린 청소년들과 청년들의 미래를 위해 지역공동체와 사회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중독에 대한 도움을 받기를 원하신다면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 0800 862 342 (내선 2번)으로 연락주세요.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https://www.asianfamilyservices.nz/546204439750612.html  
(한국어 서비스) 혹은 asian.admin@asianfamilyservices.nz / 0800 862 342 “내선 2번을 누르세요”로 연락주세요

‘박쥐 여인’의 경고

댓글 0 | 조회 1,216 | 2023.10.07
통계청(統計廳, Statistics … 더보기

귀에서 물이나 고름이 나오나요?

댓글 0 | 조회 1,366 | 2023.09.27
중이염은 크게 화농성과 삼출성으로 나… 더보기

그대, 지극히 적은 소수를 위하여..

댓글 0 | 조회 561 | 2023.09.27
이제 2023년의 3번째 텀이 끝나고… 더보기

직원과 계약직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댓글 0 | 조회 1,291 | 2023.09.27
직원과 계약직을 둘다 고용하시는 중이… 더보기

​제7회 이호철 통일로문학상 수상소감 - 메도무라 슌

댓글 0 | 조회 452 | 2023.09.27
이호철 통일로 문학상을 제게 수여해 … 더보기

공부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기 위하여 도움이 되는 3가지 학습 전략

댓글 0 | 조회 538 | 2023.09.27
여러분은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기… 더보기

잘록한 허리 만들어주는 3가지 운동

댓글 0 | 조회 622 | 2023.09.27
먹는 걸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때론… 더보기

명쾌하게 이해되는 VISITOR비자

댓글 0 | 조회 1,284 | 2023.09.27
뉴질랜드 국적자가 한국에 입국하고자 … 더보기

‘청어’ 신선한 열정, 멋지다

댓글 0 | 조회 658 | 2023.09.27
봄이 문 앞에서 서성대며 보챈다. 어… 더보기

귀가

댓글 0 | 조회 407 | 2023.09.27
시인 도 종환언제부터인가 우리가 만나… 더보기

움직이는 봄 속에서 피어나는 것들

댓글 0 | 조회 463 | 2023.09.26
초록이 아닌 연두, 빨강이 아닌 분홍… 더보기

우주기와의 연결 고리가 끊어지면

댓글 0 | 조회 492 | 2023.09.26
얼마 전 호주로 여행을 다녀왔는데, … 더보기

강제 정년 퇴직

댓글 0 | 조회 1,628 | 2023.09.26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 더보기

플러밍 - 뉴질랜드 비데 설치 규정 알아보기

댓글 0 | 조회 1,344 | 2023.09.26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많은 교포분들이… 더보기

잃어버린 채 살고 있습니다

댓글 0 | 조회 976 | 2023.09.2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나는 비 오는 … 더보기

우울증과 자살

댓글 0 | 조회 1,303 | 2023.09.22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더보기

이상적인 고등학교 성적평가 제도

댓글 0 | 조회 1,493 | 2023.09.20
▲ 자료 R고등학교 프레젠테이션뉴질랜… 더보기

정신건강 인식 주간 (9월 18일부터 22일까지)

댓글 0 | 조회 612 | 2023.09.18
정신건강 인식 주간은 뉴질랜드인들이 … 더보기

지기, 천기, 우주기

댓글 0 | 조회 648 | 2023.09.13
기운은 맑고 탁함에 따라 정기와 탁기… 더보기

우리는 왜 이토록 오만해졌을까

댓글 0 | 조회 1,183 | 2023.09.13
‘가난하되 아첨함이 없고, 부유하되 … 더보기

아침 얼굴 붓기와 뱃살 제거에 딱! 15분 모닝 요가

댓글 0 | 조회 865 | 2023.09.13
자기전 야식이나 과식을 하고 자면 아… 더보기

시인의 시집을 버렸다

댓글 0 | 조회 633 | 2023.09.1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참 좋아하는 시… 더보기

가정 폭력과 임대 명령

댓글 0 | 조회 728 | 2023.09.13
학대 관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 더보기

플러밍, 플러머, 누구를 믿을 수 있나요?

댓글 0 | 조회 1,251 | 2023.09.13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전두엽에 저항!

댓글 0 | 조회 523 | 2023.09.13
며칠전 모바일폰 배터리가 방전된 것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