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1 3,626 NZ코리아포스트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 앉아서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정확히 70년대의 아주 옛날 노래를 요즈음 새삼스럽게 웅얼거리는 입버릇이 된 것은 어쩐 일일까? 별로 노래란걸 입에 달고 살아본 적이 없는 무미건조한 내가 언제부터 이 노래를 시작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인생은 연기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것...”

인생을 절규하는 그 어떤 노래보다 공감대가 확실한 노랫말이며 차분한 곡이 마음에 와 닿았음인가? 활활 타 보지도 못한 아쉬운 내 불꽃이 그나마 다 사위어 소복한 재만 남기고 어둠으로 멀어져 가는 지금의 내 인생. 그것은 바로 내 노래이기 때문이리라,

서울 친구가 다니러와서 부산스럽던 한달여의 시간을 정리하고 물속같이 가라앉은 오랫만의 휴식속에서 문득 집어들은 한 권의 책. 우연치고는 타이밍이 잘 맞은. 바로 “모닥불”을 불렀던 가수 ‘박인희 마음의 글’이었다.

그는 한 조각의 빵이 다급해서가 아니고. 더구나 스타가 되고 싶은 허영도 아닌. 그냥 노래가 부르고 싶어서 불렀다는 순수한 가수였음을 알게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의 환호나 갈채보다 단 한 사람이라도 좋으니 누군가가 가슴속에서 지워지지 않을. 영원히 살아있는 노래를 부르고 싶었다고 했다. 이 다음에 어느 먼 훗날에 누군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문득 쓸쓸해질때. 그 어둑어둑한 삶의 저녁길을 걸어가며 어쩐지 혼자라는 생각이 들때. 가슴에 살며시 떠 오르는 노래... 자신도 모르게 샘솟는 노래를 따라 부르다가 아! 이 노래를 부른 사람이 누구였더라. 모습과 이름은 아물아물 잊혀졌어도 그 노래의 멜로디만은 끊어질듯 이어질듯 멈추며 맴도는... ‘그는 그렇게 겸손한 마음으로 노래를 불렀단다. 하지만 생머리를 곱게 빗어 묶은 얌전한 모습으로 통기타를 치며 그 특별한 음색으로 조용히 노래하던 ‘박인희’를 어찌 기억 못할까?

마누라가 주부라는 사실조차 착각하고 파마머리가 촌스럽다고 불평하던 우리 남편님. 처녀때처럼 길게 느린 생머리의 자연미에 취해서 그의 열렬한 팬이기도 해 사알짝 질투도 했었는데, 사실 그 때는 노랫말의 깊은 의미는 깨닫지 못했다 팔팔한 오기로 살아가는 삼십대였기 때문이다.

세월이 흘러 사십년. 그가 바랐던 먼 훗날의 그 누군가가 바로 ‘나’였다. 지나간 삶을 뒤돌아보며 쓸쓸함 속에서 새삼스럽게 “모닥불”을 부른다. 이제 작은 불씨 하나 남겨놓고 무슨 이야기를 할까?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다는데 같이 이야기 할 누군가도 없질 않은가.

밤마다 잠자리 내 머리맡에서 더 이야기 하자고 보채던 옛 친구와 함께 ‘코로만델’ 해변 어디쯤에. 텐트를 치고 야영이라도 하면서 모래알만큼이나 많은 살아온 이야기 밤새껏 나누며 고적할 때 씹고 넘어갈 낭만이라도 장만해 둘걸. 떠나간 사람 뒤에서 후회의 마음 사무친들 무슨 소용이람. (이제 세상 살아가는데 그만한 자신감도 없어졌구나) 생각이 드니 마냥 쓸쓸해진다.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새 해에는 활활 타 오르는 불꽃으로 살고 싶다. 매 순간순간을 몸과 마음을 던져 눈부시게 연소시키며 가져야 할 가치가 있는 한가지라도 놓치고 싶지 않다. 세상이 몰라줘도 내가 아는 세상만큼만 차지하며 모양새 좋게 살고 싶다. 들에 핀 풀꽃들. 조그만 새 한마리와도 이야기 하련다. 번거로운 굴레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마음껏 큰 숨을 쉬면서 살고싶다.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앉아서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인생은 연기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 것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그의 내면에서 샘솟는 맑은 석간수 한 모금같이 잔잔한 감동으로 다가드는 노래. 가슴을 떨며 마음속에 지피는 불씨하나로 작지만 오래오래 지키면서 살아가련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jchae2000
제목이 커지는 이라고 잘못되어 있네요.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Ⅰ)

댓글 1 | 조회 3,410 | 2010.05.25
낙엽 구르는 바람 소리에 잠을 잃은밤… 더보기

호평동에서 온 편지

댓글 0 | 조회 3,414 | 2011.03.23
어린 강아지풀과 노오란 민들레꽃이 얌… 더보기

설 명절에 웬 송편을....

댓글 0 | 조회 3,422 | 2011.02.22
‘젊은이는 희망으로 살고 늙은이는 추… 더보기

나나니 춤

댓글 0 | 조회 3,444 | 2008.08.27
삼십년만의 큰 태풍이란다. 홍수에 집… 더보기

왕 밤 줏으러 갔다네

댓글 0 | 조회 3,462 | 2009.04.28
무엇을 그리도 두려워해서일까? 그 누… 더보기

젊음이 흘리고 간 낭만을 줍다

댓글 0 | 조회 3,464 | 2010.09.29
감색 양복에 황금빛으로 번쩍이는 단추… 더보기

고목에 피운 무지개꽃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3,484 | 2010.08.25
“푸 -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 더보기

부자(富子)가 싫다는 사람도 있네

댓글 0 | 조회 3,526 | 2010.03.23
"돈은 역 효과를 낳는다. 행복이 오… 더보기

[377] 우리동네 시장 풍경

댓글 0 | 조회 3,534 | 2008.03.26
화요일 아침, 다른 때 같으면 잠자리… 더보기

딸이 좋아

댓글 0 | 조회 3,583 | 2009.09.22
딸하나, 또하나! 이 딸딸이 엄마를 … 더보기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Ⅲ)

댓글 0 | 조회 3,586 | 2010.07.28
조(鳥)도를 구경하고 다시 ‘진도’로… 더보기

빛 바랜 도화지에 행복 그리기

댓글 0 | 조회 3,589 | 2010.01.27
새 카렌다를 바꿔 걸었으니 어김없이 … 더보기

현재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댓글 1 | 조회 3,627 | 2011.01.26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 앉아서 우리들… 더보기

어둠속의 아이들

댓글 0 | 조회 3,648 | 2009.02.24
길을 걸어가는데 열살안쪽 검은 애들 … 더보기

여기는 지금 해 질 무렵의 오클랜드 시티

댓글 0 | 조회 3,679 | 2010.04.27
무공해 초록 나라에 사는 내가 부러워… 더보기

“A”시에서

댓글 0 | 조회 3,714 | 2009.11.25
내가 살던 A시가 이렇게 아름다운 도… 더보기

메밀묵 사려∼∼

댓글 0 | 조회 3,786 | 2009.08.25
동지가 지나 열흘쯤 되면 그 짧던 해… 더보기

어느 이민 남자의 비애

댓글 0 | 조회 3,909 | 2012.05.22
불황의 수렁은 하염없이 깊어만 가는가… 더보기

[331] “여자”를 잃어가는 여성들

댓글 0 | 조회 3,948 | 2006.04.24
“아이 좋아라” 병원에서 그리 환하게… 더보기

띵호아! 사랑의 도시락

댓글 0 | 조회 4,101 | 2010.11.24
그들이 알고 들으면 섭섭하겠지만 중국… 더보기

‘무지개 시니어 중창단’ 시드니를 흔들다!(Ⅱ)

댓글 0 | 조회 4,172 | 2015.11.25
마치 죽음처럼 깊이 잠 들었던 호텔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