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 리듬에 맞추어 사는 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오행 리듬에 맞추어 사는 법

0 개 1,000 수선재

하루를 보내면서 ‘나는 아침에는 정말 죽겠다’ 하는 분이 계십니다. 오후가 되면 기운이 나면서 생생해집니다. 이런 분은 화 기운이 약한 분입니다. 저녁이 되면 맥을 못 추는 분은 수 기운, 신장·방광이 약한 분입니다. 이런 분은 운기(運氣)에 따라 일찍 주무시면 됩니다.


하루에 열두 번 변하는 게 사람 마음이라는데 몸도 그렇습니다. 왜 열두 번이냐 하면 자시, 축기, 인시…… 이렇게 십이간지(十二干支)의 시(時)에 따라 변하기 때문입니다. 자기하고 맞는 시가 있고 안 맞는 시가 있습니다. 낮에 하루 종일 졸다가 밤에 쌩쌩한 사람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초저녁부터 잠이 많은 사람, 새벽잠이 많은 사람, 모두 시와 자기 몸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지요. 주기가 있어서 열두 번 변하는 게 정상입니다. 



한 달을 두고 볼 때는 그날 일진(日辰)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전 오후에 따라서도 달라지고요. 그날 일진이 신사(辛巳)일 경우 신(辛)의 일진이 오전에 있으면 오전은 좋았다가, 사(巳)는 불이니까 불이 많은 사람은 나빴다가, 이렇습니다.


일 년을 두고 보면 계절에 따라 달라집니다. 겨울은 음(陰)을 많이 보전해야 하는 계절입니다.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리듬에 맞습니다. 밤 시간 동안 음을 보전하도록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지요. 그 시간에 계속 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앉아서 명상을 하는 등 정적(靜的)인 생활을 하면 되지요.


겨울동안 음기를 보전하고 비축해 두어야 그 다음 해에 양기가 제 기능을 발휘합니다. 겨울에 밤중에 많이 돌아다니면서 기를 소진하면 이듬해에 일 년 지내기가 상당히 어려워요. 보리 같은 작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겨울이 추워야 이듬해 농작물이 잘 자랍니다. 겨울이 뜨듯하면 음이 보전되지 않았기에 여름에 그 결과가 나타나지요.


여름은 겨울과는 반대로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자고, 낮 시간 동안 계속 활동하면서 양을 많이 발산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겨울에 음을 많이 보전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봄가을에는 적당하게 반반씩 하시고요. 이런 식으로 리듬을 가지고 생활하시기 바랍니다. 


오행 체질이 절대적이지는 않아

댓글 0 | 조회 814 | 2021.10.12
목형 체질, 화형 체질…… 이런 식으… 더보기

일정부분 불균형은 어쩔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698 | 2021.10.27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간은 태어날 때… 더보기

미안한 마음, 아껴주는 마음, 감사한 마음

댓글 0 | 조회 837 | 2021.11.10
우선 내가 나 자신에게 힘이 되는지 … 더보기

치료할 때도 미안해하고 달래 가면서

댓글 0 | 조회 1,205 | 2021.11.23
병 치료하는 분들이 자칫 덕을 베풀려… 더보기

몸을 유지하기 위한 세 가지 노력

댓글 0 | 조회 1,200 | 2021.12.07
사람으로 있는 동안은 몸을 유지하기 … 더보기

체력을 기르는 방법

댓글 0 | 조회 1,164 | 2021.12.21
체력을 기르는 방법은 생각을 반으로 … 더보기

걷기에는 심신을 치유하는 힘이 있다

댓글 0 | 조회 1,425 | 2022.01.11
최근 저는 걷기를 생활화하여 매우 행… 더보기

피로를 푸는 방법

댓글 0 | 조회 1,280 | 2022.01.26
피로는 대개 마음의 피로입니다. 마음… 더보기

기(氣)를 보전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792 | 2022.02.10
우리 몸속의 혈(血)은 혈로서만 존재… 더보기

잘 먹고, 푹 자고, 열심히 일하고

댓글 0 | 조회 981 | 2022.02.22
명상을 했더니 하루에 두세 시간 밖에… 더보기

다면증과 불면증

댓글 0 | 조회 1,202 | 2022.03.08
= 잠이 너무 많이 오는 이유는 뭘까… 더보기

음식 스트레스를 받지 마라

댓글 0 | 조회 946 | 2022.03.23
음식에 대해서는 하여튼 잘 드시라고 … 더보기

고마운 마음으로 골고루 먹기

댓글 0 | 조회 677 | 2022.04.13
어떤 분이 밥만 보면 눈물이 나온다고… 더보기

먹어치우지는 마라

댓글 0 | 조회 748 | 2022.04.27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더보기

미지근하게 먹는 것이 좋다

댓글 0 | 조회 888 | 2022.05.10
온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인간은 3… 더보기

하단, 중단, 상단, 뇌를 영양하는 식물

댓글 0 | 조회 850 | 2022.05.24
식물 중에서 호두나 잣, 밤 같이 높… 더보기

쌀은 인간에게 가장 맞는 식물

댓글 0 | 조회 833 | 2022.06.14
우리가 왜 하필 주식으로 쌀을 먹는지… 더보기

생식만으로는 안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00 | 2022.06.29
생식은 죽은 기운이 아닌 생기(生氣)… 더보기

생기는 바로바로 섭취해야

댓글 0 | 조회 843 | 2022.07.12
허준 선인이 물에 관한 얘기를 참 많… 더보기

몸에도 의사가 있다

댓글 0 | 조회 2,115 | 2022.07.26
술은 기운을 뜨게 하기에 나쁜 것입니… 더보기

현재 오행 리듬에 맞추어 사는 법

댓글 0 | 조회 1,001 | 2022.08.09
하루를 보내면서 ‘나는 아침에는 정말… 더보기

오장육부를 보살피는 법

댓글 0 | 조회 853 | 2022.08.23
땀 흘린 후 찬바람을 쐬면 비장이 상… 더보기

심포삼초는 가장 중요한 장부

댓글 0 | 조회 1,070 | 2022.09.14
심포삼초(心包三焦)는 면역력, 생명력… 더보기

심포삼초 강화 운동요법

댓글 0 | 조회 869 | 2022.09.27
= 발바닥이 마르고 열이 많아서 잠도… 더보기

심포삼초 강화 식사 처방

댓글 0 | 조회 764 | 2022.10.11
만성 질환을 앓아 병이 오래 진행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