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어치우지는 마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먹어치우지는 마라

0 개 749 수선재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것부터 드시는 분이 계시고, 좋은 것부터 드시는 분이 계십니다. 성격 차이지요. 


저는 항상 제일 좋고 맛있게 생긴 것부터 먹습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썩을 것인데 맛없는 것부터 먹다 보면 계속 맛없는 것만 먹게 되거든요. 사람에게는 좋은 음식을 먹을 권리가 있습니다. 


어떤 분이 ‘음식 버리는 것은 죄라고 하는데 상한 것도 다 먹어야 합니까?’ 라고 질문을 하시더군요. 그런데 음식이 아닌 사람이 위주여야 합니다. 음식의 소망은 사람에게 먹혀서 잘 쓰여지는 것이지만, 사람에게는 또 싱싱하고 좋은 음식을 섭취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면 낭비가 아니냐고 반문할 분도 계실 텐데, 음식도 자기가 있어야 할 자리에 있는 것이 본분입니다. 그런데 무슨 이유인지는 몰라도 하여튼 썩었습니다. 다 썩지는 않았더라도 그 중 일부가 썩었습니다. 자리를 잘못 잡은 것이고, 줄을 잘못 선 것이지요. 그 자리에 있었기에 버려지는 것이지요.


밥을 먹다가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알뜰살뜰 살면 좋지만 밥알 하나하나까지 다 긁어먹지 못해서, 또 바쁘다 보면 밥이 상해서 버리기도 하고요.


특히 저희 세대는 어려서부터 절약하는 것을 배우고 자라서 버리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죄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었어요. 그런데 그 밥알도 버려질 자리에 있었기에 버려지는 거더군요. 그래서 그럴 때는 미안한 마음으로 버리면 됩니다. ‘먹어주지 못해서 미안하다’ 하는 마음으로요.


하루는 밥알이 항의를 하더군요. 먹어 주지 않으니까 왜 안 먹느냐고 항의를 해요. 그래서 밥에게 ‘네 잘못이다’ 얘기를 했습니다. ‘먹힐 자리에 있어야지 버려질 자리에 있었기에 버렸다’ 그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먹어치운다’ 는 말입니다. 흔히 어머니들이 식구들 다 먹고 난 다음에 찌꺼기 음식을 먹어치우지요? 제 어머니도 알뜰살뜰 하시느라 많이 그러셨는데, 사람이 위주지 음식이 위주가 아닙니다. 음식을 반드시 먹어치워야 한다는 생각은 버려보세요. 사람은 귀한 존재입니다.


오행 체질이 절대적이지는 않아

댓글 0 | 조회 821 | 2021.10.12
목형 체질, 화형 체질…… 이런 식으… 더보기

일정부분 불균형은 어쩔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02 | 2021.10.27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간은 태어날 때… 더보기

미안한 마음, 아껴주는 마음, 감사한 마음

댓글 0 | 조회 843 | 2021.11.10
우선 내가 나 자신에게 힘이 되는지 … 더보기

치료할 때도 미안해하고 달래 가면서

댓글 0 | 조회 1,211 | 2021.11.23
병 치료하는 분들이 자칫 덕을 베풀려… 더보기

몸을 유지하기 위한 세 가지 노력

댓글 0 | 조회 1,202 | 2021.12.07
사람으로 있는 동안은 몸을 유지하기 … 더보기

체력을 기르는 방법

댓글 0 | 조회 1,170 | 2021.12.21
체력을 기르는 방법은 생각을 반으로 … 더보기

걷기에는 심신을 치유하는 힘이 있다

댓글 0 | 조회 1,433 | 2022.01.11
최근 저는 걷기를 생활화하여 매우 행… 더보기

피로를 푸는 방법

댓글 0 | 조회 1,291 | 2022.01.26
피로는 대개 마음의 피로입니다. 마음… 더보기

기(氣)를 보전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796 | 2022.02.10
우리 몸속의 혈(血)은 혈로서만 존재… 더보기

잘 먹고, 푹 자고, 열심히 일하고

댓글 0 | 조회 988 | 2022.02.22
명상을 했더니 하루에 두세 시간 밖에… 더보기

다면증과 불면증

댓글 0 | 조회 1,207 | 2022.03.08
= 잠이 너무 많이 오는 이유는 뭘까… 더보기

음식 스트레스를 받지 마라

댓글 0 | 조회 951 | 2022.03.23
음식에 대해서는 하여튼 잘 드시라고 … 더보기

고마운 마음으로 골고루 먹기

댓글 0 | 조회 683 | 2022.04.13
어떤 분이 밥만 보면 눈물이 나온다고… 더보기

현재 먹어치우지는 마라

댓글 0 | 조회 750 | 2022.04.27
사과 한 상자를 사면 그 중에서 상한… 더보기

미지근하게 먹는 것이 좋다

댓글 0 | 조회 891 | 2022.05.10
온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인간은 3… 더보기

하단, 중단, 상단, 뇌를 영양하는 식물

댓글 0 | 조회 856 | 2022.05.24
식물 중에서 호두나 잣, 밤 같이 높… 더보기

쌀은 인간에게 가장 맞는 식물

댓글 0 | 조회 834 | 2022.06.14
우리가 왜 하필 주식으로 쌀을 먹는지… 더보기

생식만으로는 안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06 | 2022.06.29
생식은 죽은 기운이 아닌 생기(生氣)… 더보기

생기는 바로바로 섭취해야

댓글 0 | 조회 851 | 2022.07.12
허준 선인이 물에 관한 얘기를 참 많… 더보기

몸에도 의사가 있다

댓글 0 | 조회 2,119 | 2022.07.26
술은 기운을 뜨게 하기에 나쁜 것입니… 더보기

오행 리듬에 맞추어 사는 법

댓글 0 | 조회 1,007 | 2022.08.09
하루를 보내면서 ‘나는 아침에는 정말… 더보기

오장육부를 보살피는 법

댓글 0 | 조회 856 | 2022.08.23
땀 흘린 후 찬바람을 쐬면 비장이 상… 더보기

심포삼초는 가장 중요한 장부

댓글 0 | 조회 1,083 | 2022.09.14
심포삼초(心包三焦)는 면역력, 생명력… 더보기

심포삼초 강화 운동요법

댓글 0 | 조회 879 | 2022.09.27
= 발바닥이 마르고 열이 많아서 잠도… 더보기

심포삼초 강화 식사 처방

댓글 0 | 조회 775 | 2022.10.11
만성 질환을 앓아 병이 오래 진행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