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여주기’ 와 ‘보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보여주기’ 와 ‘보기’

0 개 1,201 명사칼럼

‘보여주기’는 자신을 소진하고 ‘보기’는 충전하는 행위

대표적 ‘보기’ 습관인 독서ㆍ여행ㆍ산책은 영혼의 충전소 

 

우리의 일상은 ‘보여주기’와 ‘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가령 외모를 가꾸고 꾸미는 일은 자기만족적인 측면도 있지만, 보여주고 싶은 욕망의 의식적ㆍ무의식적 표현이다. 우리는 늘 타자에게 인정받기를 원하며 자신을 알리고 싶어 한다. 

 

이 ‘알리고 과시하는’ 행위가 ‘보여주기’다. 보여주기에 몰두하는 자아는 그만큼 타자에게 인정받지 못했거나, 실제로는 인정받고 있으나 아직도 인정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자아다. 충분히 인정받은 사람들은 보여주려고 구태여 애쓰지 않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 그러므로 보여주기의 이면은 늘 다양한 형태의 열등감과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또한 ‘보여주기’의 존재이면서 동시에 ‘보기’의 존재들이다. 우리는 세계를 바라본다. 세계는 우리의 동공 안으로 들어와 우리를 자극한다. 에고(ego)는 생존에 유리한 자극들은 받아들이고 생존에 방해가 될 것으로 여겨지는 자극들은 거부한다. 

 

여기에 에고의 판단이 항상 개입하는데 이 판단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가령 우리보다 ‘잘난’ 타자들을 볼 때 우리는 그 타자를 거부할 수도 있고 받아들일 수도 있다. 거부하는 것은 생존경쟁에서 그 타자가 우리에게 위협이 되기 때문이며, 받아들이는 것은 그 ‘잘남’을 모방하고 배우는 것이 우리의 생존에 궁극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보여주기’는 소비하는 행위이고 ‘보기’는 저축하는 행위다. ‘보여주기’는 자산을 밖으로 내어놓는 행위이므로 소비하는 행위다. 동일한 대상들에게 같은 자산을 반복해 내놓을 수는 없다. 보여주면 보여줄수록 우리는 점점 더 가난해진다. 마침내 더 보여줄 것이 없을 때 깊은 열등감이 생겨난다. 반면에 ‘보기’는 축적하는 행위다. 많이 볼수록 우리는 더욱 풍요로워진다. 선택할 자원이 그만큼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많이 볼수록 에고의 선택ㆍ배제의 기준도 더욱 깊어지고 그 기술도 향상된다. ‘보기’는 우리를 성숙시킨다.

 

‘보여주기’가 사회 단위에서 극대화할 때 ‘스펙터클의 사회’(기 드보르)가 형성된다. 스펙터클이 ‘잘못된 재현물’인 이유는, 그것이 현실을 뒤로 미루고 가짜 이미지로 대체하기 때문이다. 스펙터클의 사회는 거대하고도 강력한 이미지들을 생산함으로써 대중을 압도하고 기만한다. 그것은 대중을 ‘구경꾼’이자 이미지의 소비자로 전락시킨다. 앞에서 ‘보여주기’가 열등감과 연관이 있음을 이야기했거니와, 정신적으로, 문화적으로 가난한 사회일수록 ‘보여주기’에 몰두하고 스펙터클의 생산에 몰두한다. 

 

따라서 구호와 현수막이 많을수록 문화적으로 가난한 나라다. 성숙한 자아는 ‘보여주기’ 보다 ‘보기’를 좋아한다. ‘보여주기’를 통해 가난해지기보다 ‘보기’를 통해 풍요로워지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보기’의 여러 가지 예가 있다. 가령 산책하는 것도 좋은 ‘보기’의 한 예다. 

 

산책의 시간은 소비하는 시간이 아니라 축적하는 시간이다. 산책을 통해 영혼이 풍요로워지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지독한 산책 중독자였던 19세기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는 글을 쓰다 말고 종종 런던의 밤거리를 헤매곤 했다. 그때마다 그가 걸어간 거리만큼의 이야기가 그의 머릿속에 그려졌다. 그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럴』도 19세기 런던의 스산한 겨울을 통과한 외로운 산책의 결과였다. 그는 친구에게 이렇게 말했다. “걷는 동안 난 머릿속으로 글을 쓰면서 웃다가, 흐느끼다가 또 흐느끼곤 했지.” 산책은 이렇게 무정형의 외부가 한 인간의 내부로 와서 서사(敍事)로 완성되는 과정이다.

 

책읽기도 ‘보기’의 한 방식이다. 고독하고도 느린 독서 속에서 영혼은 천천히 성장한다. 홀로 하는 여행 혹은 말수를 줄인 여행도 ‘보기’의 한 예다. 여행은 이런 의미에서 자기를 축적하는 과정이다. ‘보여주기’를 통해 가난해진 자기를 ‘보기’를 통해 다시 보충해주는 행위가 산책이고, 책읽기고, 여행이다. 많은 ‘예외적 개인들’이 산책과 책읽기와 여행을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출처: 중앙일보] 

 

===========

■ 오 민석: 문학평론가, 단국대 교수, 영문학 


충남 공주 출생.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며 현재 단국대학교 영미인문학과 교수로 문학 이론, 현대사상, 대중문화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1990년 월간 <<한길문학>> 창간기념 신인상에 시가 당선되어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199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며 평론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 <<굿모닝, 에브리원>>,  <<그리운 명륜여인숙>>,  <<기차는 오늘밤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다>>,   문학이론서 <<현대문학이론의 길잡이>>, <<정치적 비평의 미래를 위하여>>, 문학연구서 <<저항의 방식:캐나다 현대 원주민 문학의 지평>>, 대중문학 연구서 송해 평전 <<나는 딴따라다>>, <<밥 딜런, 그의 나라에는 누가 사는가>>, 시 해설 서 <<아침 시:나를 깨우는 매일 오 분>>, 산문집 <<경계에서의 글쓰기>>, <<개기는 인생도 괜찮다>>, 번역서 바스코 포파 시집 <<절름발이 늑대에게 경의를>> 등을 냈다. <단국문학상>, <부석 평론상> 등을 수상하였다.

 

b94e689254b8e5037e95a0e1e4addfda_1557878504_8843.jpg
 

오미크론 변종 FLiRT

댓글 0 | 조회 1,582 | 19시간전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402 | 24시간전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 더보기

오토파지 디톡스가 이런 일까지도 한다

댓글 0 | 조회 397 | 5일전
오토파지와 디톡스는 살아 있는 세포로… 더보기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782 | 2024.05.29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798 | 2024.05.29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699 | 2024.05.29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53 | 2024.05.29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80 | 2024.05.29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20 | 2024.05.28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545 | 2024.05.28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49 | 2024.05.28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202 | 2024.05.28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43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346 | 2024.05.28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92 | 2024.05.28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80 | 2024.05.2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74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71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69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85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53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58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74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529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919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