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술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대화술

0 개 2,306 엔젤라 김
지난 주에는 대학의 정규 과목에서 배우는 여러 가지 학습 내용 외에 학교를 다니면서 습득해야 할 여러 가지 기술중에 피플 스킬에 대해 말씀 드렸는데 이번 주에는 대화술을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자 한다. 요즈음은 젊은 세대뿐 아니라 우리 세대들도 푹 빠져있는 SNS가 마주보고 대화하는 것을 점점 방해하고 있다. 젊은 세대들은 특히 친구끼리도 말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보다 메세지가 더 편하다고 말하는 것을 많이 보았다.

구두 전달 능력, 즉 말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능력은 말을 똑똑히 하는 것 이상의 능력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말을 잘 경청할 줄 알아야 한다. 대화란 쌍방 도로와 같다. 말하고 듣는 것이 같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 두 가지를 다 잘해야 한다. 말하는 스타일이나 정확도 또한 바른 문법을 사용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가 이루어져 나가는 주제에서 벗어나서 횡설수설 해서도 안 된다.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전략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하고 또 그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 또한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 중에 서로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때에 질문을 하는 습관을 기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 번 말할 때 20 초나 30초를 넘기지 않도록 조심하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해서 말해야 한다. 말을 잘하기 위한 책을 읽는 것으로도 부족하고 부단히 연습을 해야 하며 자신이 효과적인 대화를 하고 있는지 늘 기억하고 조심하고 또 반성을 해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화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는 쌍방의 이해이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고용인이고 고용주가 당신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말하는데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엉뚱한 일을 하게 될 수도 있다. 많은 사람들이 또 물어보면 고용주가 자신을 멍청하다고 생각할까봐 두려워서 그냥 다 아는 척하고 엉뚱한 일을 하고 만다. 그러나 한 번 더 물어보고 멍청해 보이는 것이 (진짜 그렇다면) 일을 엉터리로 하는 것 보다 훨씬 낫다. 그러나 더 좋은 것은 아예 처음부터 상대방의 말을 잘 이해하고 일을 제대로 해내는 것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잘 못하는 형편에서 고용주와 대화할 때가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영어를 잘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고용주는 대개 일을 하다 말고 와서 계속적으로 질문을 한다거나 다 이해하는 척 하고 있다가 일을 엉터리로 하는 것 보다 아예 처음부터 질문하는 것을 더 좋아할 것이다.

분명히 학교 정규 강의 중에 대화술 자체를 가르치지는 않지만 다른 학생들과 교수님들과 대화를 연습할 충분한 기회가 제공된다. 현장 실습, 현장 방문 관측, 수업 중 발표를 비디오로 녹화해서 다시 보는 것들도 자신의 대화술이 어느 정도 되는지 생각하고 반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구두 전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학교 수업 시간만을 의존해서는 안 된다. 

사실상 대화를 하며 쌍방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잘 말하고 또한 잘 듣는 능력이 있는지 반성하고 연습할 수 있는 더 유용한 방법과 장소는 기숙사이다. 

예를 들어서 대화 중에 어떤 오해가 있거나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왜 그런 일이 있었는지 잘 생각해 보고 상대방과 다시 대화를 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부분의 기숙사에는 기숙사 학생 보조(Resident Assistant)라고 불리는 상급생이 지정되어 있어서 특히 신입생들이 같은 기숙사에서 문제나 갈등이 있을 때 도움을 준다. 이 선배들을 대화 능력을 개발하고 키워 나갈 수 있는 큰 자산으로 여기고 대화술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학교 생활에 임하는 것이 좋다.

미국 대학의 사교 클럽

댓글 0 | 조회 3,022 | 2014.02.25
자녀를 대학에 보내려고 생각하면, 특… 더보기

몇 학교나 지원하면 적당할까요?

댓글 0 | 조회 2,899 | 2017.12.21
상담을 하다보면 몇 학교를 지원하는 … 더보기

전공선택-수의학과

댓글 0 | 조회 2,644 | 2018.07.27
자원봉사이든 인턴십이든 동물 병원 같… 더보기

전공선택-약학 대학

댓글 0 | 조회 2,599 | 2018.08.09
노령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의… 더보기

SAT 성적 보내기

댓글 0 | 조회 2,519 | 2014.03.25
대학 지원의 필수 항목 중에 하나가 … 더보기

아파트를 구하는 학생들이여, 신중하라

댓글 0 | 조회 2,437 | 2013.11.27
이번 주에는 요새 대학가에서 점점 증… 더보기

십대들의 분노,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2,365 | 2012.08.07
대부분의 학부모들과 카운슬러들이 모두… 더보기

현재 대화술

댓글 0 | 조회 2,307 | 2015.11.25
지난 주에는 대학의 정규 과목에서 배… 더보기

IB 프로그램이란?

댓글 0 | 조회 2,305 | 2014.05.27
대학 지원을 하려는 학생들을 컨설팅 … 더보기

대학 지원과 추천서

댓글 0 | 조회 2,282 | 2014.04.24
대학 지원에 있어서 꼭 필요한 서류가… 더보기

전공 선택-물리치료학

댓글 0 | 조회 2,266 | 2018.08.25
자원봉사이든 인턴십이든 동물 병원 같… 더보기

토플 시험을 꼭 봐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2,241 | 2015.03.25
대학 지원 표준 시험 중에 SAT 외… 더보기

보딩 스쿨 지원시 인터뷰

댓글 0 | 조회 2,235 | 2016.08.25
한국, 특히 중국에서 미국의 보딩스쿨… 더보기

조건부 입학이란

댓글 0 | 조회 2,181 | 2015.07.29
오늘은 조건부 입학에 대해서 말씀드리… 더보기

전공과 직업-로스쿨

댓글 0 | 조회 2,146 | 2018.09.29
정의에 대하여 특별한 열정이 있어서 … 더보기

미국의 고삼병

댓글 0 | 조회 2,137 | 2013.02.19
미국 고삼병을 아시나요? 12학년 학… 더보기

보딩스쿨에 가는 이유

댓글 0 | 조회 2,099 | 2019.04.09
보딩스쿨, 즉 기숙사 학교는 공립학교… 더보기

대기자 명단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098 | 2015.06.23
미국 고등학교 시니어들에게 4월은 앞… 더보기

리더십 개발에 힘쓰세요

댓글 0 | 조회 2,065 | 2014.09.23
교육 전문가들이 늘 언급하는 말 중에… 더보기

미국 대학 입학 준비는 고등학교 때부터

댓글 0 | 조회 2,055 | 2012.07.02
대학 입학 준비는 고등학교 때부터 이… 더보기

전공과 직업-dentistry

댓글 0 | 조회 2,054 | 2018.07.14
어느 직업이나 다 그러하지만 치과 의… 더보기

하버드 대학에서는 어떤 학생을 원하는가

댓글 0 | 조회 2,011 | 2014.10.29
대학을 선택할 때에 학생에게 맞는 학… 더보기

보딩스쿨이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1,984 | 2012.06.27
이번 주부터 몇 주간에 걸쳐서 보딩스… 더보기

보딩스쿨이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1,938 | 2016.02.24
보딩스쿨은 아마도 미국 현지에 있는 … 더보기

보딩 스쿨의 종류

댓글 0 | 조회 1,933 | 2014.11.26
이번 주에는 보딩스쿨의 종류가 어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