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0 개 5,028 NZ코리아포스트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살이가 말하자 나무 위에서 노래하고 있던 매미가 말했다. “아니야, 세상에는 일곱 낮과 일곱 밤이 있어. 그리고 무더운 여름이 있지.” 맛있는 꿀을 따기 위해 이리저리 꽃을 찾아 날아다니던 나비가 마침 그 곳을 지나가다가 하루살이와 매미가 주고 받는 말을 듣고는 “너희들은 아직 세상을 잘 모르는구나. 세상에는 수많은 낮과 밤이 있고 봄, 여름 그리고 가을이 있단다.”하고 말했다.

하루살이는 3시간을 살기 때문에 하루를 다 알지 못한다. 매미는 오랜 세월을 땅 속에서 지내다가 여름에 땅 위로 나와 7일을 살다 죽기 때문에 여름 한 철 밖에 모른다. 나비는 봄 나비, 여름나비, 가을나비가 있어 봄, 여름, 가을을 알지만 겨울은 알지 못한다. 매미가 볼 때 하루살이는 무지(無知)하고, 나비입장에서는 하루살이와 매미 둘 다 아는 것이 없다. 그럼에도 각각 자기가 안다고 말하는 것은 자기 입장에서 보기 때문이다. 사람 입장에서 보면 나비 또한 무지 (無知)하다.

그리고 하루살이, 매미, 나비 셋 다 일부만 알고 전체를 알고 있지는 못하다. 전체를 알아야 아는 것이지 전체의 일부분만 아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나비는 하루살이와 매미에 비해 더 많이 아는 것 같지만 궁극적으로는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하루살이도, 매미도, 나비도, 어느 누구도 자기가 아는 것이 전부인 줄 안다.

어느 성현(聖賢)이 말하기를 사람이 아는 것은 바닷가 백사장에 있는 수많은 모래의 한 알만큼도 안 된다고 하였다. 사실 사람이 아는 것은 자기가 살아온 세월 동안의 관념으로 경험하고 지득(知得)한 것 밖에 모른다.

그 세월, 그 관념을 넘어서는 것은 알 도리가 없다. 10만년이나 되는 긴 주기(週期)로 일어나는 현상이 있다면 그것을 사람이 알 수 있겠는가. 또 무한한 우주에는 수많은 천체가 있지만 인간이 보고 아는 것은 먼지 한 알갱이만큼도 되지 않고, 이 우주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 중에 인간이 경험한 것은 아주 미미하다. 전지(全知)의 입장에서 보면 사람이 아는 것이라고는 아무것도 없다. 아는 것이 없다는 것조차 잘 모른다. 또한 사람은 사상(事象 – 존재하는 사물과 일어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 자기의 관념으로 사상을 보기 때문이다. 자기의 관념이 푸르면 세상이 푸르게 보이고 붉으면 붉게 보일 것이다. 실제 있는 세상은 푸르지도 붉지도 않다.

푸른 세상, 붉은 세상은 없다. 따라서 인간이 보고 아는 세상은 실상(實像)이 아닌 허상(虛像)이다. 허상은 없는 것이기에 인간이 보고 아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알아야 아는 것이지 없는 허상을 아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다. 거짓일 뿐이다. 그런데도 인간이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 속(관념)에 갇혀서 자기 중심적으로 보니까 자기가 아는 것(虛像)이 옳은 것(實像)인 줄 알고 또 많이 알고 다 아는 것처럼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착각에서 깨어나려면 자기가 갇혀 있는 좁은 관념을 깨고 그것을 벗어나면 될 것이다. 과연 사람이 자기의 관념을 벗어날 수 있을까?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두 성현(聖賢) 이야기 - Ⅰ

댓글 0 | 조회 2,643 | 2011.03.23
지금으로부터 이천 오백여 년을 전후하…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477 | 2011.03.09
성현들이 보여준 삶은 무소유의 삶이다… 더보기

무소유(無所有) -Ⅰ

댓글 0 | 조회 2,423 | 2011.02.23
사람은 물질인 몸과 정신작용을 하는 … 더보기

소유(所有) - Ⅱ

댓글 0 | 조회 2,597 | 2011.02.08
과거지사 사연과 인연도 마찬가지다. … 더보기

소유(所有) - I

댓글 0 | 조회 2,670 | 2011.01.25
소유하느냐 소유하지 않느냐의 기준은 … 더보기

여백(餘白) - II

댓글 0 | 조회 2,386 | 2011.01.14
해는 저물어 가는데 천길 만길 낭떠러…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Ⅲ)

댓글 0 | 조회 2,716 | 2010.12.22
가지미와 바라미의 어머니는 행여나 가…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Ⅱ)

댓글 0 | 조회 2,824 | 2010.12.08
세월이 흘러 가지미는 어깨가 떡 벌어…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85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898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48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33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87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095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28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1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592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75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13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75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63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94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35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더보기

현재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29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0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