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정년 퇴직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강제 정년 퇴직

0 개 1,624 성태용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는 나이를 말합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늦어도 60세 이상이면 정년퇴직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뉴질랜드에는 특별히 법적으로 정해진 정년이 없으며 연금을 받을 수 있는 65세까지 일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2d15e75067b944986607cdd73c92d8d0_1695675426_2939.jpg
 

만약 고용주가 나이를 이유로 피고용인을 해고한다면 이는 나이를 이유로한 고용관련 차별로 간주되어 부당해고로 소송을 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예외적인 경우로 1992년 이전에 정년퇴직을 명시한 고용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이를 이후 서면으로 확인한 경우나 70세에 은퇴를 해야 하는 판사와 같이 법령을 통해 나이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나이를 이유로한 차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또한 직업과 관련된 자격이 특정한 나이를 명시하고 있는 경우나 외국 선박 또는 비행기 선원의 경우도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됩니다.


대법원이 판결한 Brown v New Zealand Basing Ltd 사건은 나이를 이유로 고용관련 차별을 하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Brown 사건에서 David Brown씨는 홍콩 Cathay Pacific 항공의 뉴질랜드 자회사에 고용된 형태로 Cathay Pacific 항공의 조종사로 일하였습니다. Brown씨의 고용계약서는 고용계약이 홍콩법을 따르며 55세에 정년퇴직을 해야 한다는 조항이 삽입되어 있었습니다. 홍콩에는 나이를 이유로 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는 법이 없었기 때문에 홍콩 법상으로는 55세에 정년퇴직을 해야 한다는 조항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Brown 씨의 고용주가 55세에 정년퇴직을 해야 한다는 조항을 근거로 Brown씨와 동료 조종사들의 퇴사를 요구하자 Brown씨와 동료들은 나이를 이유로한 차별이라며 고용주를 고소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주는 고용계약이 홍콩법을 따르기 때문에 나이로 인한 차별을 금지하는 뉴질랜드 법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법원은 피고용인 측의 손을 들어주었으며 항소법원은 고용주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하급심 재판부가 서로 다른 판결을 선고한 가운데 대법원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55세에 정년퇴직을 해야 한다는 조항이 위법이며 이를 근거로 퇴직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해고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첫번째 이유는 나이를 이유로 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는 법은 계약으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는 나이를 이유로 차별 받지 않을 권리가 고용계약서에 근거한 것이 아닌 별개의 고용관계법과 인권법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고용주과 피고용인이 합의를 통해 고용관계법에 반대되는 계약을 할 수 없다는 고용관계법 제238조와 일맥상통합니다. 대법원은 동 권리가 뉴질랜드에서 발생하는 모든 행동에 적용되기에 홍콩법을 따른다는 조항이 있다는 것이 면책 사유가 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Cathay Pacific 항공사의 직원이 아래와 같은 이유로 뉴질랜드에 거점을 두고 있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 고용계약서에 활동의 거점이 오클랜드라고 명시됨


- 모든 비행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은 오클랜드 였음


- 월급을 뉴질랜드 달러로 지급받음

- 피고용인과 피고용인의 가족이 뉴질랜드 건강보험 비용을 지급받음


Brown 사건에서 보여진 것처럼 고용주와 피고용인이 정년에 합의를 하더라도 나이로 인한 차별로 간주된다면 부당해고로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고용인과의 대화를 통해 은퇴계획을 파악하고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둘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63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동종업계 이직제한

댓글 0 | 조회 1,296 | 2024.04.23
고용재판의 절대 다수는 피고용인이 고… 더보기

직원의 번아웃

댓글 0 | 조회 903 | 2024.03.26
번아웃이란 과도한 업무량, 충분하지 … 더보기

학생의 육아출산 수당 수급

댓글 0 | 조회 1,078 | 2024.01.30
뉴질랜드에서 육아출산 수당 수급 자격… 더보기

국민당 정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323 | 2023.12.23
지난 칼럼에서는 국민당이 선거에서 승… 더보기

SNS 게시글로 인한 해고

댓글 0 | 조회 1,952 | 2023.11.28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이 퇴근 후에 하는… 더보기

고용계약서 서명 전 고용주가 해야 하는 4가지

댓글 0 | 조회 1,001 | 2023.10.25
드물지 않게 고용주가 까다로운 면접을… 더보기
Now

현재 강제 정년 퇴직

댓글 0 | 조회 1,625 | 2023.09.26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 더보기

통과된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095 | 2023.08.22
작년 칼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뉴…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3)

댓글 0 | 조회 1,263 | 2023.07.26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U… 더보기

무보수 인턴

댓글 0 | 조회 2,171 | 2023.06.28
고용시장이 부진한 경우 정식 일자리를… 더보기

임시 복직명령 (interim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327 | 2023.05.23
2023년 말부터 경기가 안좋아질것으… 더보기

한인 교회 16만불 배상 판결

댓글 0 | 조회 3,595 | 2023.04.25
최근 고용관계청이 판결한 LABOUR… 더보기

고용법 개정 동향

댓글 0 | 조회 1,030 | 2023.03.27
2018년 고용관계법이 크게 개정된 … 더보기

고용법 위반 150만불 벌금 판결

댓글 0 | 조회 1,737 | 2023.02.28
최근 고용법원이 판결한 Te Puna… 더보기

직원이 허리 통증을 호소한다면?

댓글 0 | 조회 1,093 | 2023.01.31
하루 종일 모니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2

댓글 0 | 조회 3,447 | 2022.12.20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사 소속의 차량… 더보기

대규모 단체협약

댓글 0 | 조회 815 | 2022.11.22
공정임금계약법 (Fair Pay Ag… 더보기

강화될 외국인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619 | 2022.10.26
작년 칼럼에서는 예전에는 외국인 노동… 더보기

되돌릴 수 없는 고용분쟁 합의서

댓글 0 | 조회 1,487 | 2022.09.28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송을… 더보기

허울뿐인 승소

댓글 0 | 조회 1,958 | 2022.08.23
기업법에는 기업장막이라는 개념이 있습… 더보기

부당해고 역대 최고액 배상 판결

댓글 0 | 조회 2,951 | 2022.07.26
최근 저희 Shieff Angland… 더보기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

댓글 0 | 조회 2,752 | 2022.05.24
뉴질랜드는 다양한 법령으로 고용주와 … 더보기

오렌지 라이트전환으로 인해 변경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893 | 2022.04.27
뉴질랜드 신호등 시스템 방역체계가 주… 더보기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무효 판결

댓글 0 | 조회 1,803 | 2022.03.23
작년 말 칼럼에서는 뉴질랜드 정부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