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에서 아이 숨져, 전문가들 세탁기 안전 사항 강조

세탁기에서 아이 숨져, 전문가들 세탁기 안전 사항 강조

0 개 2,713 서현

미취학 연령대의 한 어린 아이가 집 안 세탁기에서 숨진 채 발견돼 큰 충격을 안긴 가운데 전문가들이 아이들에 대한 가전제품으로 인한 위험성을 다시 한번 경고하고 나섰다.


사고는 지난 220() 오후 5시경 크라이스트처치 주택가인 훈헤이(Hoon Hay)의 한 가정에서 발생했는데 당시 가동 중이던 세탁기 안에서 어린이가 숨진 채 발견됐다.


문제의 세탁기는 앞에서 문을 여는 이른바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방식이었다.


세인트 존 앰뷸런스에 따르면 아이는 이미 의식이 없는 상태로 발견됐으며 병원으로 이송된 뒤 당일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가 당시 어떻게 세탁기 안에 들어갔는지 등 구체적인 사고 정황은 따로 전해지지 않았다.


사고 원인 조사에 나선 경찰은 범죄와 관련된 혐의는 없는 것으로 보면서 사고 내용을 검시의에게 통보했다고 밝혔다.


해당 가정에는 223() 많은 조문객이 몰렸는데, 와이호로/스프레이든-캐시미어(Waihoro/Spreydon-Cashmere) 구의회 캐롤린 포터(Karolyn Potter) 구의장은, 말할 수 없는 슬픈 일이라면서 지역사회가 유가족 돕기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소식을 접한 안전 전문가들은, 이번 일이 모든 부모들에게 집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가전제품들에 대한 위험성을 자녀들에게 알려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일깨워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Safekids Aotearoa’ 관계자는, 아이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고자 활동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비극적이고 참담한 소식에 말을 잃게 된다면서 유족들에게 조의를 표했다.



또한 관계자는 비록 국내에서 세탁기 관련 사망 사고는 드물지만 평소 가족들이 세탁실 문을 잠그거나 세탁기 자체를 잠가 아이들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강조했다.

1. 세탁실 문 잠그기: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들이 세탁기에 절대 접근 못 하도록 막는 것으로 세탁기와 건조기가 별도 공간에 있다면 문을 닫고 아이가 세탁실에서는 놀지 않도록 한다.


2. 세탁기 문 닫기: 세탁기 앞쪽 문을 열어두면 곰팡이 방지에는 도움되지만 아이가 있으면 꼭 문을 닫는다.


3. 세탁기 잠금 기능 사용: 요즘 대부분의 세탁기에는 잠금 또는 어린이 잠금 기능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조합된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한 시간 동안 버튼을 누르면 기능이 활성화된다.


4. 어린이용 안전 잠금장치 사용: 세탁기 문 바깥쪽에도 아동용 안전 잠금장치를 따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장치의 개념은 캐비닛이나 오븐 도어에 장착하는 잠금장치들과 동일하며 건조기에도 다는 것이 좋다.


5. 물 공급 차단: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물을 공급하는 밸브를 잠근다. 대부분의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물이 끊기면 작동을 멈추고 오류 코드를 표시한다.


6. 추가 전원 스위치 설치 고려: 전기기사를 통해 세탁기와 건조기 전용 ‘마스터’ 스위치를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필히 꺼놓는다.


7. 세탁용 세제도 조심: 세탁기 안전 예방 조치 외에도 ‘포즈 또는 팩스(pods or packs)’라고도 불리는 세탁용 세제 포장 역시 아이들에게 특히 유혹적이고 위험할 수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프론트 로딩 세탁기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세탁기가 밀폐돼 사망할 수도 있다면서, 실제로 지난 2019년에 미국 플로리다에서 형제와 게임을 하던 3살짜리 어린이가 밀폐돼 숨진 것으로 보이는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당시 지역 경찰은 불이 켜지고 신기한 소리를 내는 데다가 투명한 창문까지 달린 세탁기는 아이들로 하여금 종종 그 안에서 놀고 싶게 만든다면서, ‘아이의 시각으로 가전제품들을 보라’고 부모들에게 경고한 바 있다.

 

지난 여름 “수상안전사고로 1만2000여명 이상 다치거나 사망”

댓글 0 | 조회 1,525 | 2021.03.08
지난 여름 동안 수상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이나 부상이 1만2000건이 넘게 발생했다. ACC에 따르면 지난 여름 3개월간 전국에서 1만2379건의 수상 안전사고로… 더보기

교정시설에서 밤 사이 여성 수감자 사망

댓글 0 | 조회 2,342 | 2021.03.08
한 교정시설에서 여성 수감자 한 명이 야간에 자신의 감방에서 사망했다. 3월 8일(월) 새벽에 사건이 일어난 곳은 마누카우의 위리(Wiri)에 있는 ‘오클랜드 지… 더보기

3월 8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댓글 0 | 조회 3,149 | 2021.03.08
COVID-19 한인연대에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한인 커뮤니티에 전달하기 위해 보건부 발표를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3월 8일 오후 1시 보건부 브리핑 요약은… 더보기

오클랜드 도로 곳곳, 밤새 공사로 교통 통제

댓글 0 | 조회 2,032 | 2021.03.08
오클랜드 시민들은 이번 주 밤 사이 모터 웨이 곳곳에서 공사가 진행되면서 도로 교통에 큰 불편을 겪게 되며, 사전에 통제 구간을 알아 두면 좋을 것으로 알려졌다.… 더보기

오클랜드, 어제 레벨 2 전환 후 바쁜 일요일

댓글 0 | 조회 3,156 | 2021.03.08
어제 레벨3의 록다운에서 벗어난 오클랜드는 수많은 시민들이 이를 축하하듯이 쇼핑을 하거나 밖으로 나오면서 축하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NZ Herald는 도시의 쇼… 더보기

해외 여행, '백신 여권'같은 증빙 서류 중요 역할

댓글 0 | 조회 2,902 | 2021.03.08
국경과 연관된 새로운 확진자가 지역 사회에서 나타나면서, 앞으로 해외 여행에 ‘백신 여권’과 같은 증빙 서류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오클랜드… 더보기

오클랜드와 통가 항공기 운항 재개

댓글 0 | 조회 1,480 | 2021.03.08
어제 있었던 쿡 아일랜드 각료 회의에서는 오클랜드와 라로통가 사이의 항공기 운항을 재개하기로 결정하였다. 각료진들은 쿡 아일랜드 보건부의 추천에 따라 이와 같이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 무격리 입국 중단 계속

댓글 0 | 조회 1,933 | 2021.03.08
오클랜드가 여전히 코로나 사태의 핫 스팟으로 간주되어, 오클랜드에서 호주로 향하던 여행객들에 대한 무격리 입국 중단이 호주 보건부의 결정에 따라 더 지속되고 있다… 더보기

오클랜드 레벨 2, 지켜야 할 규칙은?

댓글 0 | 조회 3,734 | 2021.03.07
COVID-19 Level 2에서는 직장과 학교에 갈 수 있지만, 공중 보건 조치에 따르고 주변 사람들을 고려해야 한다. 레벨 2일 오클랜드에서 지켜야 할 규칙은… 더보기

일본에서 돌아온 에어 뉴질랜드 승무원 1명 확진

댓글 0 | 조회 4,255 | 2021.03.07
보건부는 일본에서 돌아온 에어 뉴질랜드 승무원이 확진되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이 승무원은 국제선 승무원들이 받는 정기 검사를 어제 받았고, 오늘 양성 결… 더보기

강제 거세 시키려 고무줄에 묶였던 반려견 구조

댓글 0 | 조회 3,284 | 2021.03.07
고환에 고무줄이 묶여있었던 반려견이 발견돼 동물학대방지협회(SPCA)가 조사에 나섰다. 황갈색과 흰색이 섞인 잡종견으로 9개월 정도 된 것으로 보이는 수컷 반려견… 더보기

3월 7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3,032 | 2021.03.07
☘︎ 3월 7일 오후 1시 서면 브리핑 번역본• 3월 7일 오늘 지역사회 신규 확진자는 없으며 격리시설 신규확진자는 한 명이 발생하였다.• 오늘 발생한 격리시설 … 더보기

이번 주말 교통사고로 3명 사망

댓글 0 | 조회 2,426 | 2021.03.07
7일(일) 아침을 기해 코로나19 경보가 한 단계 내려진 가운데 이번 주말 들어 남북섬3군데 지역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3명이 숨졌다. 첫 번째 사고는 3월 6일(… 더보기

“거주자 폭행해 큰 부상 입힌 불청객”

댓글 0 | 조회 2,937 | 2021.03.07
초대받지 않았던 한 사람과 그 집에 살던 한 거주자가 벌이던 논쟁이 폭력으로 발전해 결국 한 명이 병원으로 실려갔다. 사건은 3월 6일(토) 오전 8시 전에 와이… 더보기

70년 만에 가장 낮아진 주택소유율

댓글 0 | 조회 3,223 | 2021.03.07
‘주택소유율(homeownership)’이 7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가운데 특히 젊은 세대의 소유율이 크게 낮아졌다. 통계국에 따르면 주택소유율은 지난 … 더보기

오클랜드 “불에 탄 차에서 시신 발견”

댓글 0 | 조회 2,952 | 2021.03.07
불이 난 차 안에서 시신이 발견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3월 6일(토) 밤 8시 10분경에 오클랜드 남동부의 플랫 부시(Flat Bush) 지… 더보기

“한 마리에 1700달러짜리 연어 등장”

댓글 0 | 조회 2,861 | 2021.03.07
무게가 15.3kg에 달하는 뉴질랜드산 대형 연어 한 마리가 온라인 경매를 통해 1700달러에 미국의 한 남성에게 팔렸다. 이 연어는 남섬 북부 타카카(Tākak… 더보기

파파모아 비치, 해안 가까이에서 상어 목격

댓글 0 | 조회 3,136 | 2021.03.06
베이 오브 플렌티의 파파모아 비치(Papamoa beach)의 해안 가까이에서 상어가 목격되었다.Stuff에 따르면 태시 보우든과 그녀의 가족은 토요일에 수영을 … 더보기

지진 후 해일 경보, 학생들 대피 돕는 동안 교장 집 도둑 들어

댓글 0 | 조회 3,888 | 2021.03.06
3월 5일 지진 후, 해일 경보로 학생들을 인솔해 대피를 돕는 동안 한 학교 교장의 집에 도둑이 들었다.RNZ에 따르면, 북섬 오포티키(Ōpōtiki)의 학교 교… 더보기

이스트 케이프 해안, 약 140여 여진 발생은 정상

댓글 0 | 조회 2,688 | 2021.03.06
어제 이스트 케이프 해안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한 이후, 이 지역에서는 약 140여 작은 여진이 발생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GNZ Science에서는… 더보기

3월 6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3,439 | 2021.03.06
COVID-19 한인연대에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한인 커뮤니티에 전달하기 위해 정부 발표를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3월 5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 핵심 요약… 더보기

에어 뉴질랜드, 에어 포인트 회원 데이터 유출 사과

댓글 0 | 조회 2,451 | 2021.03.06
에어 뉴질랜드는 에어 포인트 회원의 데이터가 유출된 것에 대해 사과했다.데이터 유출의 영향을 받은 고객은 에어 뉴질랜드로부터 최근 스타 얼라이언스 파트너가 일부 … 더보기

지진 해일 경보, COVID-19 대응처럼 신속 정확할 필요 있어

댓글 0 | 조회 2,753 | 2021.03.06
3월 5일 금요일 새벽 2시 27분의 7.3 지진, 그리고 새벽 6시 41분의 7.4 지진, 오전 8시 30분의 8.1 지진.어제 발생한 지진은 다행히 북섬 동쪽… 더보기

미들모어 병원 직원, COVID-19 약한 '양성' 반응은 오류

댓글 0 | 조회 3,617 | 2021.03.06
미들모어 병원 직원이 어제 COVID-19 검사 결과 약한 양성 반응이 나온 후, 이 병원 직원들은 모두 근무를 중단하였다가, 2차례의 재 검사에서 음성 결과가 … 더보기

3월 5일 4pm 정부 브리핑 핵심 요약, '일요일 록다운 해제'

댓글 0 | 조회 6,186 | 2021.03.05
COVID-19 한인연대에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한인 커뮤니티에 전달하기 위해 정부 발표를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3월 5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 핵심 요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