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이스트처치 지진 10주년 국가 추도식 열려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10주년 국가 추도식 열려

0 개 1,291 서현

추모식 주변 정경


222()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발생 10년을 맞아 전국 공공기관에 조기가 게양된 가운데 크라이스트처치에서 ‘국가 추도식(national memorial service)’ 진행됐다.


에이본(Avon) 강변에 조성된 ‘국립 캔터베리 지진 추모지(Oi Manawa Canterbury Earthquake National Memorial)’북쪽 강변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데임 팻시 레디(Dame Patsy Reddy) 총독과 재신다 아던 총리 등 정부 요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또한 이상진 뉴질랜드 주재 한국대사를 포함해 당시 희생자가 발생했던 국가들의 외교사절들과 희생자 유가족들을 포함한 수 천명의 시민들도 함께 자리한 가운데 오후 1230분부터 공식 행사가 시작됐다.


뉴질랜드 군악대가 어메이징 그레이스 등을 연주하면서 시작된 행사는 마오리 전통 의식이 진행된 뒤 리안 댈지엘(Lianne Dalziel) 크라이스트처치 시장과 ‘지진가족재단(Quake Families Trust)’마안 알카이시(Maan Alkaisi) 박사의 환영 인사가 이어졌다.


이후 참가자들이 모두 기립해 종소리와 함께 당시 지진이 발생했던 시간인 1251분에 맞춰 희생자 이름들이 새겨진 강 건너의 추모벽(Memorial Wall) 바라보는 1분간의 묵념 시간을 가졌다.


이어 소방관과 경찰관, 학생과 구급대원 등 각 기관을 대표하는 이들이 등단해 당시 어학연수 중 유명을 달리했던 한국 유학생인 길환(당시24) 나온(당시 21) 씨를 비롯한 희생자 185명의 이름을 하나씩 호명했다.


연설하는 아던 총리  


추모시 낭독에 이어 군악대 여성대원이 추모곡인 ‘호키호키 토누 마이(Hokihoki Tonu Mai, Return to me)’불렀으며 이어 팻시 레디 총독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추모사를 대독했다.


또한 아던 총리가 등단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한편 많은 이들에게는 10년 전 지진이 여전히 어제 일처럼 느껴질 것이라면서 부상자들을 포함해 지진이라는 큰 재난을 당해 지금까지도 고통받는 시민들에게도 격려와 위로 인사를 전했다.


아던 총리는 많은 이들에게 복잡하고 다양한 영향을 친 지진이 당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주었지만 이들새로운 유산을 만들 세대라고 말하면서, 당시 구조이후 재건에 노력 중인 시청을 포함각 기관들의 직원들과 함께 이번 행사에 협력해준 외교사절들지진가족재단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감사를 전했다.



45분간에 걸쳐 진행된 본 행사가 끝난 후에는 백파이프 연주가 울리는 가운데 레디 총독과 아던 총리가 선두에 서고 정부 시청 인사들과 외교사절, 유가족 대표들이 그 뒤 따르는 행렬이 다리를 건너 추모벽으로 했다.


추모곡을 부르는 군악대원 


먼저 총독과 총리가 추모벽에 화환을 내려놓은 데 이어 외교사절과 유족 대표들도 화환을 놓았는데, 상진 대사는 필 태픈(Phli Tappenden) 크라이스트처치 한국 명예영사와 함께 고 유길환 유나온 씨의 이름이 새겨진 앞에 화환을 놓고 이들을 추모했다.


주요 인사들의 헌화에 이어 경찰과 소방관, 그리고 군인과 적십자와 세인트 존 앰뷸런스 등 비상구호기관들의 헌화가 이어진 뒤 유가족들을 비롯한 일반 시민들의 헌화 행렬이 그 뒤를 따라 추모벽으로 향했다.


또한 이날 행사 참가자들은 다리와 강변에서 강물꽃을 던지면서 희생자들을 위로했는데, 이와 같은 ‘강물 헌화 의식(River of flowers)’ 당일 이곳 외에도 크라이스트처치 일원의 10곳에서 동시에 이뤄졌다.


이날 추도식 전 장면은 온라인으로 중계됐으며 현장에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가운데 주변을 지나가는 투암(Tuam) 스트리트와 캠브리지(Cambridge) 테라스 사이의 몬트리올(Montreal) 스트리트 구간은 오전 9시부터 행사가 끝날 때까지 전면 차단됐다.


추모벽으로 향하는 이상진 한국대사


행사장에는 이른 시간부터 저마다 손에 꽃들을 든 시민들이 삼삼오오 찾기 시작해 정오 경에는 이미 행사장이 만원을 이뤘고 일부는 자녀들과 함께 찾아온 모습들이었는데, 기다리는 이들을 위해 군악대는 잔잔한 음악으로 추모 분위기를 돋우었다.


한편 당시 28명으로 가장 많은 외국인 희생자가 났던 일본에서도 그중 12명이한꺼번에 희생됐던 일본 북부지방인 도야마(Toyama)시에서이날 따로 추모 행사가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1222일 오후 1251분에 시내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10km 떨어진 리틀턴(Lyttelton) 인근의 지하 5km를 진원지로 발생했던 규모 6.3 지진으로 87명의 외국인을 비롯해 뉴질랜드를 포함한 15개국 출신의 185명이 숨졌다.


특히 어학원과 TV 방송국이 있던 4층짜리 건물인 C-TV 빌딩이 엘리베이터 타워만 남기고 완전히 붕괴되면서 한국 유학생 오누이를 비롯해 지진 재단의 알카이시 박사의 부인을 비롯한 115명이 한곳에서 사망했다. 



뉴질랜드 사람, 무격리 호주 입국 다시 허용

댓글 0 | 조회 2,003 | 2021.03.10
뉴질랜드 사람들은 격리 없이 타스만 해를 건너는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호주는 오클랜드에서 최근에 발생한 코로나 사회 전파 사례로 일시로 격리없는 입국을 중단하였… 더보기

NZ 최초 COVID-19 백신접종센터, 오클랜드 남부에 오픈

댓글 0 | 조회 3,730 | 2021.03.10
오클랜드 남부 이스트 타마키(31 Highbrook Drive, East Tâmaki )에 대규모 COVID-19 백신 센터가 3월 9일 문을 열었다. 이 백신 … 더보기

운하 인근에서 실종된 낚시꾼 찾는 경찰

댓글 0 | 조회 2,361 | 2021.03.09
남섬에서 집을 떠났다가 이틀 째 돌아오지 않은 낚시꾼을 찾는 수색이 실시되고 있다. 3월 6일(토) 사우스 캔터베리 내륙 지역인 매켄지(Mackenzie)의 테카… 더보기

오클랜드 건설현장에서 죽은 채 발견된 대형 뱀

댓글 0 | 조회 4,979 | 2021.03.09
오클랜드의 한 건설 현장에서 죽은 뱀이 한 마리 발견돼 관계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1차산업부(MPI) 관계자에 따르면 길이가 115cm가량인 이 뱀은 3월 9일… 더보기

3월 9일, 국경 근로자의 가족 백신 접종 시작

댓글 0 | 조회 2,452 | 2021.03.09
3월 9일 국경 근로자의 가족 접촉에 대한 예방 접종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고, 오클랜드 남부에 뉴질랜드 최초로 대규모 COVID-19 예방 접종 클리닉이 문을 열… 더보기

웰링턴 시민들 “자전거나 도보로 이동 중 사고 많이 당한다”

댓글 0 | 조회 1,773 | 2021.03.09
웰링턴의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들이 다른 도시들에 비해 사고를 당하는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덕이 많고 시내 도로들이 좁은 웰링턴의 도시 환경에도 … 더보기

경비 때문에 올림픽 예선 못 가는 NZ농구팀

댓글 0 | 조회 2,966 | 2021.03.09
뉴질랜드 농구 대표팀인 ‘톨 블랙스(Tall Blacks)’가 올림픽 예선전에 불참한다. 최근 국내외 언론들에 따르면 톨 블랙스는 오는 6월 29일부터 7월 4일… 더보기

말레이시아 고위 관료 “코로나19 사태 중 NZ으로 장기휴가 논란”

댓글 0 | 조회 2,822 | 2021.03.09
말레이시아의 한 현직 고위 관료가 자국을 떠나 뉴질랜드에서 장기간 체류하면서 양국에서 모두 문제가 되고 있다. 문제의 인물은 말레이시아 연방정부의 국토부 차관(D… 더보기

3월 9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새 커뮤니티 감염자 없음

댓글 0 | 조회 2,679 | 2021.03.09
☘︎ 3월 9일 오후 1시 서면 브리핑 번역본• 3월 9일 오늘 발생한 신규 지역사회 확진자는 없다. 격리시설 신규 확진자는 총 4명이며 이들 중 한 명은 과거 … 더보기

일부 GP, COVID-19 스트레스로 의사직 그만둘 생각

댓글 0 | 조회 3,121 | 2021.03.09
상당 수의 가정의 GP들이 코로나로 인한 스트레스로 지치면서 의사직을 그만 둘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oyal NZ College of GP가 실… 더보기

일반 주택의 양봉, 벌들의 배설물로 골치

댓글 0 | 조회 2,247 | 2021.03.09
일반 주택에서 벌을 기르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부산물로 벌들의 배설물이 골치 거리를 일으키고 있다. 벌들은 끈끈하면서도 달라붙는 성분의 배설물들을 벌… 더보기

정부, 추가로 백신 850만 회분 구입 결정

댓글 0 | 조회 1,828 | 2021.03.09
정부는 추가로 Pfizer 백신 850만 회분을 구입하기로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통하여 전 국민들을 접종하고도 남을 만큼의 충분한 백신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밝혔… 더보기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COVID-19 속 평등한 미래 달성"

댓글 0 | 조회 1,645 | 2021.03.08
3월 8일 월요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세계 여성의 날은 여성 노동자들의 운동에서 유래되었고, 1975년 UN이 3월 8일을 공식적으로 '여성의 날'로 지정했다… 더보기

경찰, 연락되지 않는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 추적

댓글 0 | 조회 4,514 | 2021.03.08
경찰은 현재 보건 공무원과 연락이 되지 않는 COVID-19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을 추적하고 있다.2월 오클랜드 클러스터에서 발생한 확진자 중 한 명이 바이러스 … 더보기

3월 8일 4pm 정부 브리핑 요약, "백신 추가 확보"

댓글 0 | 조회 3,702 | 2021.03.08
COVID-19 한인연대에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한인 커뮤니티에 전달하기 위해 정부 발표를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3월 8일 오후 4시 정부 브리핑 요약은 C… 더보기

지진 난민 ‘쇠가마우지’들 몰려든 티마루 항구 일대

댓글 0 | 조회 3,240 | 2021.03.08
1000마리가 넘는 ‘쇠가마우지’들이 사우스 캔터베리의 중심 도시인 티마루(Timaru) 항구 주변에 몰려들어 항만 관리회사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들은 ‘점박… 더보기

트렁크에 욕설 쓰인 BMW 판 중고차 매장에 전액 환불 명령

댓글 0 | 조회 4,395 | 2021.03.08
‘훌륭한 상태(excellent condition)’라고 선전했던 차량에서 흠집이 발견된 뒤 중고차 판매업소에 전액을 환불하라는 조정 명령이 내려졌다. 타우포(T… 더보기

지난 여름 “수상안전사고로 1만2000여명 이상 다치거나 사망”

댓글 0 | 조회 1,523 | 2021.03.08
지난 여름 동안 수상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이나 부상이 1만2000건이 넘게 발생했다. ACC에 따르면 지난 여름 3개월간 전국에서 1만2379건의 수상 안전사고로… 더보기

교정시설에서 밤 사이 여성 수감자 사망

댓글 0 | 조회 2,340 | 2021.03.08
한 교정시설에서 여성 수감자 한 명이 야간에 자신의 감방에서 사망했다. 3월 8일(월) 새벽에 사건이 일어난 곳은 마누카우의 위리(Wiri)에 있는 ‘오클랜드 지… 더보기

3월 8일 보건부 브리핑 요약

댓글 0 | 조회 3,148 | 2021.03.08
COVID-19 한인연대에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한인 커뮤니티에 전달하기 위해 보건부 발표를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다. 3월 8일 오후 1시 보건부 브리핑 요약은… 더보기

오클랜드 도로 곳곳, 밤새 공사로 교통 통제

댓글 0 | 조회 2,030 | 2021.03.08
오클랜드 시민들은 이번 주 밤 사이 모터 웨이 곳곳에서 공사가 진행되면서 도로 교통에 큰 불편을 겪게 되며, 사전에 통제 구간을 알아 두면 좋을 것으로 알려졌다.… 더보기

오클랜드, 어제 레벨 2 전환 후 바쁜 일요일

댓글 0 | 조회 3,155 | 2021.03.08
어제 레벨3의 록다운에서 벗어난 오클랜드는 수많은 시민들이 이를 축하하듯이 쇼핑을 하거나 밖으로 나오면서 축하하는 모습들을 보였다. NZ Herald는 도시의 쇼… 더보기

해외 여행, '백신 여권'같은 증빙 서류 중요 역할

댓글 0 | 조회 2,901 | 2021.03.08
국경과 연관된 새로운 확진자가 지역 사회에서 나타나면서, 앞으로 해외 여행에 ‘백신 여권’과 같은 증빙 서류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해졌다. 오클랜드… 더보기

오클랜드와 통가 항공기 운항 재개

댓글 0 | 조회 1,479 | 2021.03.08
어제 있었던 쿡 아일랜드 각료 회의에서는 오클랜드와 라로통가 사이의 항공기 운항을 재개하기로 결정하였다. 각료진들은 쿡 아일랜드 보건부의 추천에 따라 이와 같이 … 더보기

뉴질랜드인의 호주 무격리 입국 중단 계속

댓글 0 | 조회 1,932 | 2021.03.08
오클랜드가 여전히 코로나 사태의 핫 스팟으로 간주되어, 오클랜드에서 호주로 향하던 여행객들에 대한 무격리 입국 중단이 호주 보건부의 결정에 따라 더 지속되고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