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고속도로 대부분, '발암 가능성' 글리포세이트 살포

주요 고속도로 대부분, '발암 가능성' 글리포세이트 살포

0 개 3,049 노영례

c6c1426b4c7db6684241b666c7a83e7d_1632566276_6046.png
 

뉴질랜드 교통국 Waka Kotahi NZTA 발표 데이터에 따르면, 한때 세계 보건 기구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는 제초제 글리포세이트가 뉴질랜드의 주요 고속도로 대부분에 뿌려져 있다.


공식 정보법(Official Information Act)에 따라 TVNZ에 공개된 수치에 따르면, 고속도로 계약 업체는 대규모 작업 프로그램에서 2019년, 2020년, 2021년에 매년 약 30,000리터의 화학 물질을 뿌렸다.


제초제 살포는 노스랜드(Northland), 오클랜드(Auckland), 베이 오브 플렌티(Bay of Plenty), 와이카토(Waikato), 캔터베리(Canterbury) 및 오타고(Otago)가 가장 많았고, Waka Kotahi NZTA에서 관리하는 모든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 화학 물질은 지나가는 운전자에게 해를 입히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과학자, 규제 기관 및 변호사가 암을 유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수년간 논쟁 속에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5년 글리포세이트를 "인간의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했지만, 뉴질랜드를 비롯한 많은 환경 규제 당국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환경 운동가들은 제초제 살포에 대해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의 과도한 사용의 한 예라며, 길가에서의 살포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Soil and Health Organisation의 조디 브러닝은 현재 유럽에서 부상하고 있는 로봇 기술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녀는 뉴질랜드는 글리포세이트로 흠뻑 젖어 있다고 TVNZ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제초제는 라운드업(Roundup)과 같은 인기 있는 제품에 포함되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며 이후 수십 개의 국가와 주에서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했다.


논란은 2018년 미국 학교 관리인 드웨인 존슨이 비호지킨 림프종이라는 공격적인 암에 걸린 후, 라운드업 제조사 몬산토(Monsanto)를 고소하면서 정점에 이르렀다.


그는 미국 법원에서 승소했고 막대한 보상금을 받았고, 곧 95,000명의 원고와 함께 거대한 집단 소송이 진행되었다. 그들은 계속해서 몬산토의 새 소유주인 바이엘과 100억 달러에 합의했다. 회사는 계속해서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환경 보호국(EPA:New Zealand’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세계 보건 기구가 올바른 절차를 따르는 한 글리포세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밝힌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현재 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 요청"을 진행 ​​중이며 규제 기관이 뉴질랜드에서 사용되는 제초제의 양을 알지 못한다.


캔터베리 대학의 이안 쇼 교수를 포함하여 일부는 현재 글리포세이트가 뉴질랜드에서 공식적으로 검토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독물학자는 글리포세이트가 매우 널리 사용되며 고속도로와 같은 장소에서 단기적인 영향은 없을 것 같지만 장기적 노출에 대한 영향은 확실치 않다고 말한다. 


그는 글리포세이트가 분사될 때 차를 몰고 지나갈 수 있는 사람들은 노출이 매우 적기 때문에 위험이 최소화되지만, 제초제를 살포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고 매일 스프레이한다면 그것은 상당한 위험이며 그것에 대해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교통국 Waka Kotahi NZTA는 반복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계약자의 안전에 대한 인터뷰를 거부했지만, 성명에서는 고속도로 공사가 적절한 보건 및 안전 조치를 따르고 있음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안전, 건강 및 환경의 총괄 관리자인 그레그는 "정기 감사"를 수행한다고 성명서를 통해 전했다. 


그는 글리포세이트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초제 중 하나이며 뉴질랜드에서 상업적 및 개인 용도로 승인되었으며 국내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며, 이 제초제의 사용은 계약자와 더 많은 대중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특정 제한 사항에 따라 수행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캔터베리 대학 이안 쇼 교수 등은 뉴질랜드의 환경 보호국(EPA)가 검토를 선택하면 길가 살포가 재평가될 수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안 쇼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많은 정보를 알고 있고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글리포세이트를 살포하는 것에 대한 영향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안 쇼 교수는 제초제 글리포세이트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생각해 보고, 정말로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길가에 스프레이를 해야 하는지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검토는 최근 10월 22일 금요일에 종료하도록 연장된 EPA의 "정보 요청"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여전히 가능하다.


시민들은 EPA에 연락하여 글리포세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슈퍼 토요일, 백신 접종 시 대중 교통 무료

댓글 0 | 조회 1,870 | 2021.10.13
오클랜드 시민들은 백신 접종을 하러 가거나 하고 난 후 집으로 돌아올 때 버스 요금을 내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지난 몇 주 전부터 백신 접종 약속… 더보기

오클랜드 중소 상인들, 재무부가 "암담한 현실 못봐"

댓글 0 | 조회 2,580 | 2021.10.13
오클랜드의 중소 영세 상인들은, Grant Robertson 재무부 장관이 이들이 처한 암담한 현실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Robertson 장관은… 더보기

남북섬 중간에서 규모 5.3 지진, 별 피해는 없어

댓글 0 | 조회 1,660 | 2021.10.12
남섬과 북섬 사이의 바다 밑에서 규모 5.3 지진이 발생했으나 진원의 깊이가 깊었으며 별다른 피해 보고도 없었다. 지진은 10월 12일(화) 오후 2시 55분에 … 더보기

봉쇄령 속에서 주문 폭주한 도넛 업체

댓글 0 | 조회 5,724 | 2021.10.12
봉쇄령으로 자영업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 중에도 오히려 매출이 크게 늘어난 한 업체가 주목을 끌었다. 화제의 업체는 오클랜드에서 도심과 와이라우(Wairau), … 더보기

델타 바이러스로 8월 출입국자 급감

댓글 0 | 조회 2,164 | 2021.10.12
델타 바이러스 확산으로 한동안 일부 국가들을 대상으로 열렸던 국경이 다시 막히면서 지난 8월의 출입국자가 크게 감소했다. 최근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 더보기

카드 지출액, 9월에 조금 늘었다

댓글 0 | 조회 1,318 | 2021.10.12
8월에 내려졌던 전국적인 봉쇄령으로 인해 감소했던 카드 지출액이 9월에는 소폭 늘어났다. 이번 주에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에 오클랜드를 제외한 지… 더보기

엉터리 거세 작업으로 황소에게 고통 안긴 남자들

댓글 0 | 조회 1,779 | 2021.10.12
황소를 거세시키는 작업을 제멋대로 실시해 고통을 안겨줬단 남성 2명에게 벌금형이 부과됐다. 지난 9월 말에 타우랑가 지방법원에서는 존 톰슨(John Thomson… 더보기

호주로 떠나는 이민자 소폭 늘어나

댓글 0 | 조회 3,162 | 2021.10.12
작년 초부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호주에서 국내로 들어온 이민자수가 나가는 이민자보다 더 많았지만 작년 말부터 이러한 추세가 일부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 더보기

10/12 보건부 브리핑 영상, 새 지역 확진자 43명

댓글 0 | 조회 5,580 | 2021.10.12
10월 12일 오후 1시, 보건부는 실시간 브리핑을 통해 확진자 발생 현황 등을 보고했다. 오늘 브리핑에는 재신다 아던 총리와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이 나왔… 더보기

나머지 지역 보호 위해, 더 엄격한 국내 경계 요구

댓글 0 | 조회 2,624 | 2021.10.12
북섬에서 COVID-19 확진자가 계속 나옴에 따라 뉴질랜드 남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엄격한 국내 경계가 필요하다고 공중 보건 전문가들이 말했다.지난 일요일 뉴… 더보기

노스랜드 여행 확진자의 동반자, COVID-19 확진

댓글 0 | 조회 2,279 | 2021.10.12
보건부는 노스랜드로 여행했던 확진자의 여행 동반자가 COVID-19에 확진되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어제밤 서부 오클랜드에서 경찰에 의해 발견된 노스랜드 확… 더보기

교직원 백신 접종 의무화, 11월 15일까지 1차 접종해야

댓글 0 | 조회 1,645 | 2021.10.12
학교장들은 정부의 1월 1일까지 교사와 교직원들의 완전 접종 지시에 충분히 따를 수 있을 것으로 자신있게 밝혔다.또한, 다음 주 각급 학교들을 무리하게 다시 시작… 더보기

오클랜드의 일부 지역, 통신사 시외 적용으로 요금 부과

댓글 0 | 조회 1,665 | 2021.10.12
일상에서 우리는 이야기하고 싶은 사람들과 언제든지 여러 수단을 이용하여 대부분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랜드라인을 이용한 유선전화를 사… 더보기

워킹홀리데이와 계절 근로자, 6개월 비자 연장

댓글 0 | 조회 2,006 | 2021.10.12
정부는 워킹홀리데이 비자와 계절적 워크 비자를 6개월 더 연장하면서, 고용주와 비자 소유자들에게 다가오는 여름 수확철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고 Kris Faafoi… 더보기

마운트 이든 교도소, 수감자 3명 확진

댓글 0 | 조회 1,207 | 2021.10.12
교정 당국은, 오클랜드에 있는 마운트 이든 교도소에 수감된 세 명의 재소자들이 COVID-19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마운트 이든 관계자는 확진 된 수감자들… 더보기

미들모어 병원, 확진자 방문으로 21명 직원 격리

댓글 0 | 조회 2,532 | 2021.10.12
노스 쇼어 병원 직원 2명, 오클랜드 시티 병원 직원 3명이 확진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들모어 병원에서 확진자 방문으로 인한 새로운 바이러스 노출 사건이 발생… 더보기

노스랜드 여행 확진자의 동반자, 서부 오클랜드에서 발견

댓글 0 | 조회 3,599 | 2021.10.11
경찰은 노스랜드로 여행한 확진자와 함께 여행했던 여성의 위치를 파악했다.그동안 연락은 닿았으나 소재가 확인되지 않아 보건 당국은 경찰의 협조를 구해 이 여성을 찾… 더보기

남섬 폭설 주의보, 일부 지역은 강풍과 폭우 주의보

댓글 0 | 조회 2,044 | 2021.10.11
남쪽에서 찬 공기가 이동하면서 남섬에 폭설 주의보와 함게 도로 강설 주의보가 발령되었다.뉴질랜드 남부 및 중부 일부 지역에 폭우, 폭설 및 심한 강풍이 예보되었다… 더보기

레벨 3 오클랜드, 바다로 휩쓸린 9세 소녀 카약에 구조돼

댓글 0 | 조회 3,227 | 2021.10.11
레벨 3의 완화된 규정 속에서 오클랜드의 많은 시민들은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며 야외 활동을 하고 있다. 주말 동안 오클랜드 해안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구조되었는데,… 더보기

레벨 3 오클랜드 1주일 연장, 교육계 등 백신 접종 의무화

댓글 0 | 조회 10,917 | 2021.10.11
재신다 아던 총리는 오후 4시 브리핑을 통해 내각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오클랜드 레벨 3, 향후 1주일 연장, 다음주 월요일에 재검토>아던 총리… 더보기

10/11 새 확진자 35명, 노스쇼어와 오클랜드 병원 직원 5명 감염

댓글 0 | 조회 7,157 | 2021.10.11
보건부는 10월 11일 새 커뮤니티 확진자가 35명이라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새 확진자 35명은 모두 오클랜드 사람들이다. 이들 중 14명은 기존 확진자와 연… 더보기

녹색당, 1회성 영주권 승인 방침 확대 요구

댓글 0 | 조회 4,980 | 2021.10.11
녹색당은 정부의 1회성 영주권 승인에 대한 방침을 확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정부는 뉴질랜드에 있는 약 16만 5천 명의 이민 근로자와 그들의 가족에 대하여 세 가… 더보기

COVID-19 먹는 약, 6만 명분 선구매 계약

댓글 0 | 조회 3,313 | 2021.10.11
뉴질랜드는 COVID-19 경구 치료제 6만 명분을 선구매 계약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아던 총리는 오늘 아침 코비드-19 경구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구매 계… 더보기

오클랜드 남부 경계 검문소, 과속으로 도주하다 사고난 차

댓글 0 | 조회 2,258 | 2021.10.11
오클랜드 남부 경계 검문소에서 정지 신호를 무시하고 속도를 내면서 도주하던 차량이 오클랜드 모터웨이에서 충돌하고 구르는 사고가 있었다.일요일 새벽 0시 50분 경… 더보기

확진자 발생 후, 와이카토 백신 접종자수 급속히 늘어

댓글 0 | 조회 2,087 | 2021.10.11
지난 금요일 레벨 3로 강화된 노스랜드 지역에서 주말 동안 동안 백신 접종자 수가 급속하게 늘어났다.백신 접종률이 낮은 것이 정부가 경계 단계를 강화한 이유 중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