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이상 뉴질랜드 거주, 영주권 신청자에게 희소식

3년 이상 뉴질랜드 거주, 영주권 신청자에게 희소식

0 개 23,069 노영례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49135_517.png
 


뉴질랜드에 있는 일부 워크 비자 소지자와 주요 목적 방문 비자 소지자는 2021 Resident Visa라는 새로운 경로로 영주권 신청할 길이 열렸다.


그동안 영주권 신청을 하고 기다려온 사람이나 영주권 신청을 하고자 준비하고 있지만 COVID-19 영향으로 이민성 업무 처리가 제대로 안 되어 애 태워온 사람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정부에서는 이 카테고리를 통해 영주권 신청하는 사람들의 신청서는 12개월 이내에 처리된다고 공지했다.


'New 2021 Resident Visa' 1회성 영주권 비자 신청을 통해, 약 165,000명의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 5,000명 이상의 보건 및 노인 요양 노동자, 약 9,000명의 1차 산업 노동자, 800명 이상의 교사 등에게 영주권 취득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관련 비자 유형에 약 15,000명의 건설 노동자와 12,000명의 제조 노동자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1회성 영주권 신청을 할 수 있다. 


현재 이민성 홈페이지에 공개가 되지 않은 보다 상세한 내용은 10월 이민성 홈페이지에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9월 30일 이민성 홈페이지 공개된 내용을 아래에 정리했다.


'New 2021 Resident Visa' 영주권 신청은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그룹은 12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 여기에는 2021년 9월 29일 이전에 Skilled Migrant and Residence from Work 범주에 따라 이미 영주권을 신청했거나, 2021년 9월 29일에 Skilled Migrant Category 로 EOI(Expression of Interest)를 제출했고 17세 이상의 피부양 자녀를 EOI에 포함시켰을 경우가 포함된다.


2단계 그룹은 2022년 3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술 이민자 범주 EOI를 제출한 모든 사람을 포함하여 다른 모든 적격 신청자가 신청할 수 있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0148_5988.png
 

2021년 9월 30일, 정부는 현재 뉴질랜드에 있는 일부 워크 비자 소지자를 위한 새로운 1회성 영주권 비자 신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발표했다. 본인이 소지한 워크 비자가 2021 영주권 비자 신청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는 이민성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Click here▶이민성 바로가기 


2021년 9월 30일부터 2022년 7월 31일 사이에 장기 핵심 목적 비자(6개월 이상)로 뉴질랜드에 도착하는 사람들도 이 새로운 영주권 비자를 받을 수 있다. 파트너와 피부양자는 이러한 영주권 신청서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정부에서 제시하는 자격에 해당하는 지원자는 2021년 12월 1일부터 신청이 가능하고, 나머지 자격에 해당하는 지원자는 2022년 3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도록, 두 단계로 진행된다.


모든 신청서는 2022년 7월 31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영주권 신청 대상자, 9월 29일 기준 충족해야

지원자는 2021년 9월 29일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2021년 9월 29일에 뉴질랜드에 있고,

적격 비자를 소지하고 있거나, 2021년 9월 29일 이전에 적격 비자를 신청했으면 나중에 승인된다.


또한 다음 세 가지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하면 된다.

  • 뉴질랜드에서 3년 이상 거주했거나
  • 시간당 $27 이상을 받거나
  • 부족 직업군 리스트에 있는 직업군에서 일해야 한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1504_0787.png
 

자격 기준을 충족하지만 호주에 있고 2021년 9월 29일까지 뉴질랜드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 자격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2021년 영주권 신청 자격이 되는지 확인하려면 이민성 웹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적격 비자

모든 신청자는 적격한 비자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해당하는 비자 카테고리는 아래와 같다. 


  • Post Study Work Visa
  • Talent (Accredited Employer) Work Visa
  • Essential Skills Work Visa
  • Religious Worker Work Visa
  • Talent (Arts, Culture, Sports) Work Visa
  • Long Term Skill Shortage List Work Visa
  • Silver Fern Practical Experience Work Visa
  • Trafficking Victim Work Visa
  • Migrant Exploitation Protection Work Visa
  • Skilled Migrant Category Job Search Work Visa
  • Victims of Family Violence Work
  • Visa South Island Contribution Work Visa
  • Work Visa granted under Section 61 (provided the applicant held another eligible visa type within 6 months of being granted a Section 61 visa)
  • Some Critical Purpose Visitor Visas (CPVV):
  • Critical health workers for longer term roles (6 months or longer), and
  • Other critical workers for long term roles (more than 6 months).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1583_8336.png
 

방문 비자, 학생 비자, 워킹홀리데이 메이커 및 계절적 고용주 인정 제도에 해당하는 계절근로자 또는 단기 핵심 근로자로 입국하는 단기 근로자와 같은 단기 비자 소지자는 2021 영주권 비자 신청 자격이 없다.


현재 뉴질랜드 밖에 있는 자녀를 포함하여 파트너 및 부양 자녀도 영주권 신청서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든 신청자는 2021년 영주권 비자에 대한 건강 및 성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출입국 관리소에서 특별히 요구하지 않는 한 해외 경찰 증명서는 필요하지 않는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제한된 진단서 및 흉부 X-레이 진단서가 필요할 수 있다. 뉴질랜드 이민성(Immigration New Zealand)은 신청 절차의 일부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1683_9166.pn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개인은 다른 영주권 신청 경로나 임시 비자 옵션을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1630_2801.png
 

모든 정보는 이민성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중요 목적 방문 비자 보유자 2개 그룹도 신청 가능
2022년 7월 31일 이전에 뉴질랜드에 도착하여 신청하는, 2개 그룹의 핵심 목적 방문 비자 소지자도 2021 영주권 비자 신청 자격이 있다.

  • 장기 역할(6개월 이상)의 중요 의료 종사자
  • 기타 장기 역할(6개월 이상)의 중요 작업자

선원, 농업 및 원예 이동식 공장 운영자 등 주요 목적 방문 비자로 단기 또는 계절적 일을 하는 경우에는 자격이 없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1971_061.png

중요 목적 방문 비자 보유자 2개 그룹에 해당하는 사람은 지난 3년 이상 뉴질랜드에 거주했으며,
  • 2018년 9월 29일 또는 그 이전에 뉴질랜드에 도착했고,
  • 2018년 9월 29일부터 2021년 9월 29일(포함) 사이에 뉴질랜드에서 최소 821일을 보내야 한다.

뉴질랜드에서 보낸 시간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으며, 
1년에 며칠 동안 뉴질랜드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은 없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2103_2891.png

시간당 $27 이상의 임금 받는 신청자
이 기준에 따라 중요 목적 방문 비자 보유자 2개 그룹에 해당하는 사람은 2021년 9월 29일에 시간당 NZD $27 이상의 임금을 받아야 한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2194_7065.png

부족 직업군 리스트에서 일하는 사람
부족 직업군 지원자는, 2021년 9월 29일에 직업 부족군 리스트에 있는 직업에서 일해야 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부족 직업군은 아래와 같다. 

장기 기술 부족군 리스트에 있는 직업(Jobs on the Long Term Skill Shortage List)
▶ 직업 등록이 필요한 보건 또는 교육 부문(Jobs requiring occupational registration in the health or education sector) 
▶  개인 간병인 및 기타 중요한 의료 종사자(Personal carer and other critical health workers)
▶ 지정된 1차 산업 부문 직업(Specified primary sector jobs)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2371_5208.png

신청 절차는 2단계로 
2021년 영주권 비자는 2단계에 걸쳐 신청할 수 있으며, 첫 번째 그룹의 사람들은 2021년 12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

2021년 12월 1일부터 아래와 같은 경우, 신청할 수 있다.
  • 2021년 9월 29일 이전에 Skilled Migrant and Residence from Work 범주에 따라 이미 영주권을 신청했거나
  • 2021년 9월 29일에 Skilled Migrant Category Expression of Interest를 제출했고 17세 이상의 피부양 자녀를 EOI에 포함시켰거나
  • 2022년 3월 1일부터 기술 이민자 범주 EOI를 제출한 모든 사람을 포함하여 다른 모든 적격 신청자가 신청할 수 있다.

모든 지원은 2022년 7월 31일까지 이루어져야 하며, 신청서는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수수료 및 신청 절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10월 말까지 이민성 공식 홈페이지에 업데이트 된다. 

2021년 12월 1일부터 지원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10월 말까지 뉴질랜드 이민성에서 추가 정보가 포함된 이메일을 받게 된다.

영주권 신청서 처리 기간, 12개월 이내
대부분의 신청서가 12개월 이내에 처리되며 대부분이 훨씬 더 빨리 처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69676_7283.png

뉴질랜드의 장기 부족 기술 직업군 리스트(Long Term Skill Shortage List)에는 아래의 직업들이 포함된다. 

Analyst programmer, Automotive electrician, Chef (chef de partie or higher), Chemical engineer, Civil engineer, Civil engineering technician, Clinical psychologist , Computer network and systems engineer ,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Database administrator, Developer programmer,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radiologist , Diesel motor mechanic (including heavy vehicle inspector), Electric line mechanic, Electrical engineer, Electrical engineering technician, Electrician (general), Electronic engineering technician, Electronics engineer, Engineering professional , Environmental engineer , Environmental research scientist, Food technologist , General practitioner, Geotechnical engineer , ICT business analyst, ICT customer support officer, ICT project manager, ICT quality assurance engineer, ICT security specialist, ICT support and test engineer, ICT support engineer, ICT systems test engineer, Industrial engineer, Materials engineer , Mechanical engineer, Medical laboratory scientist, Medical radiation therapist, Multimedia specialist (film animator), Multimedia specialist , Network administrator, Obstetrician and gynaecologist, Organisation and methods analyst, Other spatial scientist, Physicist (medical), Physiotherapist, Procurement manager, Production or plant engineer, Project builder (including building project manager and site foreman), Psychiatrist, Quantity surveyor, Registered nurse (aged care), Software engineer, Software tester,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 Sonographer, Specialist physician in palliative medicine, Structural engineer, Surgeon (general), Surveyor, Systems administrator, Systems analyst, Telecommunications engineer, Telecommunications engineer, Telecommunications network engineer, Telecommunications network engineer, Veterinarian, Web developer.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60991_2029.png
 
뉴질랜드의 특정 직업에 대한 법적 요구 사항이 적용되며 직업 등록이 필요한 보건 또는 교육 부분(Requiring occupational registration and in the health or education sector)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직업군은 아래와 같다. 직업 등록을 제공하도록 법률에 의해 승인된 뉴질랜드 조직의 전체 또는 임시 등록은 자격이 인정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Chiropractor, Clinical dental technician, Clinical dental therapist, Dental hygienist, Dental technician, Dental therapist, Dentist, Dietitian, Dispensing optician, Medical laboratory scientist/technologist, Medical laboratory technician, Medical practitioner, Medical radiation technologist, Midwives, Nurse, Occupational therapist, Optometrist, Osteopath, Paramedic, Pharmacist, Physiotherapist, Podiatrist, Psychologist, Teacher (including Principals and regis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60529_9195.png
  
개인 간병인 및 기타 중요한 의료 종사자(Personal carers and other critical health workers)에 해당하는 직업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Aged and disabled carers, Nursing support and personal care workers
Special care workers, Technical and support staff working in various services including theatre, laboratories, radiology, pharmacy services, oncology, haematology, pathology, hyperbaric medicine and mortuaries, Workers who install, operate or maintain medical equipment, Workers delivering mental health and addictions services, aged care, respite, home care and support, child health, palliative and hospice care, forensic health, and disability support.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59165_0835.png
지정된 1차 산업 주요 부문 직업군(Primary sector roles)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경제의 주요 1차 산업 부문에는 농업, 벌목, 사냥, 어업 및 광업과 같은 원자재 추출 및 생산과 관련된 산업이 포함된다.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mobile plant operator, Agricultural consultant, Agricultural engineer, Agricultural scientist, Agricultural technician, Anaesthetic technician, Animal attendants and trainers nec, Apiarist, Aquaculture farmer, Aquaculture worker, Arborist, Baker, Baking factory worker, Beef cattle farm worker, Beef cattle farmer, Boat builder and repairer, Brewery worker, Butcher or smallgoods maker, Cabinetmakers, Cardiac technician, Chemist, Confectionery maker, Conservation Officer, Cotton Grower, Crop farm workers nec, Crop Farmers nec, Dairy cattle farm worker, Dairy Farm Manager, Dairy products maker, Deck hand, Deer farmer, Dog handler or trainer, Environmental consultant, Environmental engineer, Environmental manager, Environmental research scientist, Environmental scientists nec, Fabric and textile factory worker, Farm, forestry and garden workers, Farrier, Fencer, Fisheries officer, Fishing hand, Florist, Food and drink factory workers nec, Food technologist, Food trades assistants nec, Footwear production machine operator, Forester (AUS) / Forest scientist (NZ), Forestry worker, Fruit and vegetable factory worker, Fruit and vegetable packer, Fruit or nut farm worker, Fruit or Nut Grower, Fruit or nut picker, Furniture finisher, Gardener (general), Goat farmer, Grain mill worker, Grain, oilseed or pasture farm worker (AUS) / Field crop farm worker (NZ), Grain, Oilseed or Pasture Grower / Field Crop Grower, Grape Grower, Greenskeeper, Hide and skin processing machines operators, Hide and skin processing worker, Horse breeder, Horse groomer, Horticultural nursery assistant, Hunter-trapper, Kennel hand, Knitting machine operator, Landscape gardener, Livestock farm workers nec, Livestock farmers, Logging assistant, Logging plant operator, Marine biologist, Marine transport professionals nec, Master fisher, Meat boner and slicer, Meat inspector, Meat packer, Meat process worker, Medical laboratory technician, Medical technician nec, Mixed crop and livestock farm worker, Mixed crop and livestock farmer, Mixed Crop Farmer, Mixed livestock farm worker, Mixed livestock farmer, Mushroom picker, Nurseypersons, Operating theatre technician, Other wood processing machine operator nec, Paper and pulp mill operator, Paper products machine operator, Park ranger, Pastrycook, Pastrycook's assistant, Pathology collector / phlebotomist, Pest controller, Pet groomer, Pharmacy technician, Picture framer, Pig farmer, Poultry farm worker, Poultry farmer, Poultry process worker, Primary products inspectors nec, Production manager (forestry), Quarantine officer, Saw maker and repairer, Sawmill or timber yard worker, Sawmilling operator, Seafood packer, Seafood process worker, Shearer, Sheep farm worker, Sheep farmer, Ship's engineer, Ship's master, Ship's officer, Ship's surveyor, Shipwright, Slaughterer, Stablehand, Sugar Cane Grower, Sugar mill worker, Tanker driver, Textile and footwear production machine operators nec, Textile dyeing and finishing machine operator, Tree faller, Turf Grower, Vegetable farm worker (AUS) / Market garden worker (NZ), Vegetable Grower (Aus) / Market Gardener (NZ), Vegetable picker, Veterinarian, Veterinary nurse, Vineyeard worker, Weaving machine operator, Wine maker, Winery cellar hand, Wood and wood products factory worker, Wood machinist, Wood machinist and other wood trades workers nec, Wood turner, Wool buyer, Wool classer, Wool handler, Yard carding and spinning machine operator, Zookeeper
 
90f4ec566cac5c79678e9e9e244264c2_1632960419_5428.png
 

일부 사업체, 방문객 기록지 개인 정보법 위반

댓글 0 | 조회 2,279 | 2021.10.15
오클랜드 시내의 코비드-19 백신 센터들과 일부 비지니스에서는 콘택트 트레이싱 목적으로 종이로 된 양식을 사용하고 있으면서, 뉴질랜드 개인 정보 보호법에 어긋나고… 더보기

와나카로 간 오클랜드 남성, 규정 위반으로 검거

댓글 0 | 조회 2,069 | 2021.10.15
경찰은 오클랜드로부터 와나카까지 이동을 한 남성을 코비드-19 락다운 규정 위반 혐의로 검거했다. 36세의 이 남성은 10월 8일 오클랜드를 떠나 웰링턴에 도착하… 더보기

레벨 3 오클랜드, 야외에서도 사회적 거리 유지해야

댓글 0 | 조회 2,865 | 2021.10.15
오클랜드의 해변가에는 어제 맑은 날씨로 수많은 시민들이 나왔으며, 이번 일요일 오후 늦게까지 맑은 날씨가 예보되면서 더 많은 시민들이 바닷가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 더보기

로펌 회사 Russell McVeagh, 백신 미접종자 출입 금지

댓글 0 | 조회 2,417 | 2021.10.15
Russell McVeagh 는 11월 1일부터 COVID-19 백신 접종 2차까지 모두 받지 않은 사람은 사무실에 들어오는 것을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Rus… 더보기

웰링턴 신규 주택 계획, 최대 12층 건물 허용

댓글 0 | 조회 1,826 | 2021.10.15
수도 웰링턴의 새로운 주택 계획은 증가하는 주택 위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시 전역에 걸쳐 고밀도 및 중밀도 아파트 블록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Stuff… 더보기

급증한 오클랜드 감염자, 대부분 대규모 가정 모임에서 감염

댓글 0 | 조회 4,811 | 2021.10.14
그랜트 로버트슨 부총리는 오클랜드에서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고, 최근 확진자 중에는 대규모 가정 모임에서 감염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그랜트 로버트슨은 보건부의 공… 더보기

페이스북 사기 급증, 이용 시 주의해야

댓글 0 | 조회 2,949 | 2021.10.14
경찰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여러 건의 페이스북 사기 사건이 발생한 후 Facebook에서 전자 제품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사람들에게 사기와 가짜 프로필에 주의하도록… 더보기

레벨 3 규칙 위반하고 남섬 간 여성 2명, 법정 출두

댓글 0 | 조회 3,295 | 2021.10.14
경보 수준 3 규칙을 위반하고 블레넘으로 여행한 두 명의 오클랜드 여성이 목요일 오후 법원에 출두했다.규칙을 위반한 사람은 오클랜드 동부 타마키 출신의 세탁소에서… 더보기

10월 14일 새 확진자 71명, 모두 오클랜드

댓글 0 | 조회 9,456 | 2021.10.14
[2:10 최종 업데이트] 10월 14일 오후 1시 브리핑에는 그란트 로버트슨 부총리와 캐롤라인 맥넬나이 보건국장이 나왔다.새 확진자가 71명으로 발표되었으며, … 더보기

대형 건설업체, 건설 현장 근무자 백신 의무화 도입 요청

댓글 0 | 조회 2,230 | 2021.10.14
뉴질랜드 내 대형 건설업체와 건설 현장의 책임자들은 건설 현장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백신 의무화 제도의 도입을 정부측에 요청하고 있다.전국적으로 약 30만 명이 건… 더보기

"백신에는 바이러스 들어 있지 않아" 안전 강조

댓글 0 | 조회 2,237 | 2021.10.14
아직도 코비드-19 바이러스와 화이자 백신에 대한 루머가 계속해서 돌면서 접종을 거부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대하여 면역 자문 센터의 NIkki T… 더보기

시모어 당수, 자가 격리에 대한 과감한 정책 필요

댓글 0 | 조회 2,124 | 2021.10.14
자가 격리와 관련된 정부의 움직임에 대하여, 액터당(ACT)의 데이비드 시모어 당수는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 과감한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시모어 당수는 뉴질랜… 더보기

커뮤니티 확진자 폭증 대비, 격리 시설 대신 자가 격리...

댓글 0 | 조회 3,192 | 2021.10.14
COVID-19 커뮤니티 감염자들은 곧 MIQ 검역 시설로 이동되기 보다는 집에서 격리 치료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악의 경우를 가상하여, 오클랜드와 노스랜드 지역… 더보기

10/13 새 확진자 55명, 와이카토 레벨 3- 5일 더 연장

댓글 0 | 조회 6,482 | 2021.10.13
[2:08pm 최종 업데이트] 10월 13일 오후 1시 브리핑에는 크리스 힙킨스 COVID-19 대응부 장관과 애슐리 블룸필드 보건부 차관이 나왔다.오늘 새 커뮤… 더보기

최근 확진자 80% 백신 미접종자, 12세 미만은 342명

댓글 0 | 조회 2,792 | 2021.10.13
이번 델타 변이 발병의 확진자 사례들에 대한 조사에서, 80% 정도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들로 나타났으며, 이 중 342명은 12세 미만으로 접종을 받을 … 더보기

백신 접종이 일상 회복의 길, "Super Saturday"

댓글 0 | 조회 1,830 | 2021.10.13
아던 총리는 백신 접종이 취약한 사람들과 어린이들을 보호하고 보다 규제가 적은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최선이라고 강조했다.이번 토요일 전국적으로 백신 접종의 날… 더보기

최근 커뮤니티 발병 이후, 8천 5백 명 추가로 복지 수당 받아

댓글 0 | 조회 2,796 | 2021.10.13
델타 변이 발병 이후, 8천 5백 명이 추가로 복지 수당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회개발부 MSD의 자료에서 나타났다.실직 현상이 작년 3월의 락다운과 같은 수준에 … 더보기

슈퍼 토요일, 백신 접종 시 대중 교통 무료

댓글 0 | 조회 1,866 | 2021.10.13
오클랜드 시민들은 백신 접종을 하러 가거나 하고 난 후 집으로 돌아올 때 버스 요금을 내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지난 몇 주 전부터 백신 접종 약속… 더보기

오클랜드 중소 상인들, 재무부가 "암담한 현실 못봐"

댓글 0 | 조회 2,576 | 2021.10.13
오클랜드의 중소 영세 상인들은, Grant Robertson 재무부 장관이 이들이 처한 암담한 현실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Robertson 장관은… 더보기

남북섬 중간에서 규모 5.3 지진, 별 피해는 없어

댓글 0 | 조회 1,658 | 2021.10.12
남섬과 북섬 사이의 바다 밑에서 규모 5.3 지진이 발생했으나 진원의 깊이가 깊었으며 별다른 피해 보고도 없었다. 지진은 10월 12일(화) 오후 2시 55분에 … 더보기

봉쇄령 속에서 주문 폭주한 도넛 업체

댓글 0 | 조회 5,723 | 2021.10.12
봉쇄령으로 자영업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 중에도 오히려 매출이 크게 늘어난 한 업체가 주목을 끌었다. 화제의 업체는 오클랜드에서 도심과 와이라우(Wairau), … 더보기

델타 바이러스로 8월 출입국자 급감

댓글 0 | 조회 2,162 | 2021.10.12
델타 바이러스 확산으로 한동안 일부 국가들을 대상으로 열렸던 국경이 다시 막히면서 지난 8월의 출입국자가 크게 감소했다. 최근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 더보기

카드 지출액, 9월에 조금 늘었다

댓글 0 | 조회 1,317 | 2021.10.12
8월에 내려졌던 전국적인 봉쇄령으로 인해 감소했던 카드 지출액이 9월에는 소폭 늘어났다. 이번 주에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에 오클랜드를 제외한 지… 더보기

엉터리 거세 작업으로 황소에게 고통 안긴 남자들

댓글 0 | 조회 1,775 | 2021.10.12
황소를 거세시키는 작업을 제멋대로 실시해 고통을 안겨줬단 남성 2명에게 벌금형이 부과됐다. 지난 9월 말에 타우랑가 지방법원에서는 존 톰슨(John Thomson… 더보기

호주로 떠나는 이민자 소폭 늘어나

댓글 0 | 조회 3,160 | 2021.10.12
작년 초부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호주에서 국내로 들어온 이민자수가 나가는 이민자보다 더 많았지만 작년 말부터 이러한 추세가 일부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