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라드로 폐쇄되고 막힌 '백만 달러 전망' 캠프장

볼라드로 폐쇄되고 막힌 '백만 달러 전망' 캠프장

0 개 1,572 노영례

434a8d633e43a22a2c0ceb643fbae29a_1708123997_0407.png
 

남섬 미드 캔터베리(Mid Canterbury)에 있는 "백만 달러 전망"의 인기 캠핑 장소가 폐쇄되고 볼라드에 의해 막혀 지역 주민들을 화나게 했다고 1News에서 보도했다. 


하카테레 산장(Hakatere Huts)은 애쉬버튼/하카테레 강(Ashburton/Hakatere River) 어귀에 있는 해안 정착지로, 지형의 지리적 구분에 따라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어퍼 하카테레(Upper Hakatere)에는 카운실이 작년에 폐쇄할 때까지 약 60년 동안 캠핑장이 있었다. 2023년 2월에 이 곳에는 차량 진입을 차단하고 피크닉 장소로 안내하기 위해 나무 기둥이 설치되었고 피크닉 테이블도 새로 설치했다. 


캠핑은 이제 로어 하카테레(Lower Hakatere)로 제한된다.


하카테레 산장 대표는 아무런 협의도 없었기 때문에 볼라드 때문에 주민들이 놀랐다고 말했다.


주민 게리 클랜시, TJ Jonker, Fritha Tagg는 캠프장을 다시 열거나 최소한 볼라드를 제거하기 위한 캠페인을 주도하고 있다. 볼라드(나무 기둥)는 현장의 미적 측면에 맞지 않으며 농장이나 감옥에 더 적합하다고 Jonker는 말했다.


카운실은 불만 사항, 안전 문제, 정착지에서의 캠핑이 자체 자금 조달이 되기를 바라는 운영상의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캠핑객이 캠핑하는 장소 제한

카운실 사업 지원 그룹 관리자 리앤 맥도날드는 지난해에 오두막 주민들과 설치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캠프장 관리인이 떠났고 그들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유지 관리 및 청소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캠프 참가자들이 캠프를 하는 장소를 제한해야 한다고 그녀는 말했다.


주민들을 만났을 때, 이 지역에서 캠핑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받는 최소한의 수입이 관리인의 비용을 충당하지 않으며 모든 청소나 유지 관리 비용은 주로 일반 요금 납부자로부터 조달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게리 클렌시는 자체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그가 지역에서 살펴본 다른 보호 구역, 캠핑 및 피크닉 장소를 기반으로 믿을만한 주장이라고 믿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해안 침식도 결정 요인으로 언급됐지만 절벽 근처에 대형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17년에 후퇴 울타리가 설치됐다고 게리 클랜시는 말했다.


그는 야영을 할 수는 없지만 소풍을 갈 수 있고 사람들이 볼라드 없이 잔디 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있는데 왜 그 곳만 안 되는지 의문을 표하며, 방문자들은 백만 달러짜리 전망을 위해 여기에 왔는데 지금은 여기에서 아무도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Fritha Tagg는 볼라드, 주차장, 기복이 심한 지형으로 인해 노인과 이동성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피크닉 테이블을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녀는 소풍을 가거나 차를 마시거나 잠시 앉아서 경치를 감상하러 오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지금은 그럴 수가 없다며, 볼라드는 누군가가 가까이 주차하는 것을 못하게 한다고 말했다.



TJ Jonker는 방문객에게 변경 사항을 알리는 표지판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카운실 사업 지원 그룹 관리자 리앤 맥도날드는 해당 지역의 각 지역이 고유한 적절한 솔루션으로 고유하게 처리되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볼라드가 주로 캠핑을 못하게 하고 캠핑객을 낮은 층으로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었고, 또한 당일 방문객들이 피크닉 장소와 상층부 전망을 즐길 수 있는 피크닉 장소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사람들이 현장에 주차할 수 있고 여전히 주차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리앤 맥도날드는 볼라드가 피크닉 장소를 아이들이 있는 가족을 위한 안전한 공간으로 만든다고 말했다. 그녀는 캠핑객을 Lower Hakatere로 안내하는 추가 표지판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캠핑장을 복구하거나 최소한 볼라드를 철거하라는 내용의 청원을 카운실에 제출하고 장기계획을 제출할 계획이다. 장기 계획에서는 Lower Hakatere의 오래된 화장실을 $240,000의 새 화장실로 교체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카운실의 리앤 맥도날드는 캠핑객들이 하부 하카테레 캠프장을 사용하도록 장려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정화조 화장실을 캠핑 지역에 더 가깝고 침식되는 해안선에서 떨어진 새로운 건식 저장소 시설로 교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고 전했다.


낡은 탈의실은 철거할 예정이었지만 주민들과 논의한 끝에 대피소로 용도를 변경하기로 했다고 그녀는 말했다.

ASB 및 Kiwi Bank, 모기지 금리 일부 인하

댓글 0 | 조회 2,758 | 2024.03.11
뉴질랜드의 주요 호주 은행 중 하나인 ASB는 2주 만에 세 번째로 단기 모기지 금리를 인하했다. 일부 정기예금 금리도 인하되었다.ASB 은행의 6개월 금리는 7… 더보기

시드니발 라탐항공, 강한 흔들림에 최대 50명 부상

댓글 0 | 조회 2,063 | 2024.03.11
월요일 오후 시드니에서 출발해 오클랜드 국제공항에 도착한 라탐항공 탑승객 수십 명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LATAM 항공은 성명을 통해 시드니-오클랜드 노… 더보기

Te Matatini 2025, 카파 하카 10개 그룹 참가 자격 얻어

댓글 0 | 조회 821 | 2024.03.11
금요일부터 주말 동안 열린 지역 대회에서 10개 그룹이 내년 마타티니 출전 자격을 얻었다. 테 아라와(Te Arawa)와 테 카후이 마웅아(Te Kāhui Mau… 더보기

소음 제거 기술, 귀에 이로운 것보다 더 많은 해를 끼칠 수 있어

댓글 0 | 조회 2,257 | 2024.03.10
이어폰, 헤드셋 등소음 제거 장치는 내장 마이크를 사용하여 주변의 음파를 분석하고 반대 음파를 생성하여 주변 소리를 줄여주는 기술로 이미 130억 달러 가치의 시… 더보기

뉴질랜드 암 생존율, 호주보다 11% 낮아

댓글 0 | 조회 2,152 | 2024.03.10
뉴질랜드에서 매년 암으로 사망하는 약 1,000명이 호주에 있었다면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RNZ에서 보도했다.뉴질랜드 의학저널(New Zealand Medical … 더보기

주유 후 요금 안 내고 도망가는 차 급증

댓글 0 | 조회 3,337 | 2024.03.10
최근 몇 년 동안 주유 후 휘발유 값을 지불하지 않고 차를 몰고 떠나는 사람들의 수가 급증했다고1News가보도했다. 1News가 공식 정보법(OIA)에 따라 받은… 더보기

GP 클리닉 절반, 등록할 환자 선택

댓글 0 | 조회 3,734 | 2024.03.09
전체 GP 진료소의 약 절반이 등록할 환자를 고르고 선택하는 "크림 스키밍(Cream-Skimming)"하고 있는 것으로 새로운 연구 결과에서 밝혀졌다.금요일 뉴… 더보기

오클랜드 매시 주택에서 남성 사망, 경찰 조사

댓글 0 | 조회 2,841 | 2024.03.09
3월 8일 금요일 오클랜드 매시에서 한 남성이 사망한 후 경찰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경찰은 금요일밤 9시 20분쯤 남성이 사망한 주택으로 호출되었으며, 도착한 현… 더보기

최장수 의원 조나단 헌트, 85세로 타계

댓글 0 | 조회 1,132 | 2024.03.09
전 하원의장이자 뉴질랜드 최장수 의원 중 한 명인 조나단 헌트(Jonathan Hunt)가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조나단 헌트는 1966년 당시 노동당 지도자였… 더보기

어린이와 청소년 대중교통 할인 지원, 5월 1일부터 중단

댓글 0 | 조회 1,983 | 2024.03.09
정부는 다음 달 말까지 어린이를 위한 무료 대중교통 지원과 25세 미만 청소년을 위한 반값 요금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다.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번 조치로 인해 영… 더보기

오클랜드 보행자, 뺑소니 사고로 사망

댓글 0 | 조회 2,250 | 2024.03.09
금요일밤 오클랜드에서 보행자가 사고를 내고 현장에서 도망친 뺑소니 차량에 치여 사망했다.경찰은 3월 8일 금요일밤 10시경 파파토에토에에 있는 그레이트 사우스 로… 더보기

렌트비 $600 로토루아 스파 롯지: 쥐, 곰팡이 등등

댓글 0 | 조회 2,173 | 2024.03.09
"바닥에 구더기가 있고 욕실 벽과 바닥에 사람 배설물이 묻어 있으며, 쥐는 너무 흔하게 눈에 보였다" 지역 민주주의 리포트(Local Democracy Repor… 더보기

황가누이 갱단 패치 금지법, '사람들이 정상적으로 살기를...'

댓글 0 | 조회 2,135 | 2024.03.08
경찰은 갱단원을 단속하고 거리에서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의회의 갱단 조례를 사용했다고 2009년 황가누이에서 조례를 만든 사람이 말했다.마이클 로스 전 시장은 황… 더보기

1,230만 달러 로또 당첨 남성, '버킷리스트' 자동차 구입 계획

댓글 0 | 조회 4,160 | 2024.03.08
오타고의 한 남자는 지난 토요일 파워볼 추첨에서 1,230만 달러를 획득한 후 자신의 "버킷 리스트" 자동차를 구입할 계획이라고 TVNZ에서 보도했다.부부는 잭팟… 더보기

타우랑아, 76세 연금 수급자 3년간 집 구하고 있어

댓글 0 | 조회 3,181 | 2024.03.08
76세의 르넷 헤인즈는 타우랑아(Tauranga)에 사는 연금 수급자로서 한 가지 기거할 집을 구하고 있다고 TVNZ에서 보도했다.르넷은 솔직히 말해 자신이 인생… 더보기

TVNZ, "시사 프로그램 Sunday 폐지 제안" 확인

댓글 0 | 조회 1,003 | 2024.03.08
TVNZ는 비용 절감 조치의 일환으로 수상 경력이 있는 장편 시사 프로그램인 Sunday를 폐지할 것을 제안한다고 확인했다. Sunday는 뉴질랜드 TVNZ 1에… 더보기

TVNZ, 최대 68명 구조 조정 "직원들 충격에 빠져"

댓글 0 | 조회 1,348 | 2024.03.08
TVNZ는 방송사가 수익 감소에 대응함에 따라 최대 68명의 역할을 구조 조정할 것을 제안했으며, 영향을 받은 프로그램 중 하나의 책임자는 계획된 변화가 파괴적이… 더보기

2023년 가장 불만 제기를 많이 받았던 기업은?

댓글 0 | 조회 2,878 | 2024.03.07
상무위원회의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대형 슈퍼마켓 체인은 작년에 뉴질랜드인으로부터 가장 많은 불만을 제기받았던 사업체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다.공식 정보법에 따라… 더보기

팬데믹 거치면서 늘어난 국내 여행 지출

댓글 0 | 조회 1,494 | 2024.03.06
지난 2019년 6월부터 2023년 6월의 4년 동안에 뉴질랜드 각 가정의 여행 패턴이 크게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에… 더보기

태즈먼 외딴 해변 “세계에서 아름다운 해변에 이름 올려”

댓글 0 | 조회 2,051 | 2024.03.06
뉴질랜드 남섬의 외딴 해변 한 곳이 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 중 하나로 선정됐다.태즈먼의 ‘아와로아(Awaroa) 해변’이 최근 영국의 럭셔리 여행 간행물… 더보기

거대한 게 화석 “16년 만에 공식 인정받았다”

댓글 0 | 조회 1,473 | 2024.03.06
한 화석 수집가가 발견한 ‘게 화석(crab fossil)’이 16년 만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부여받았다.평소 화석에 관심이 많았던 칼 로벤하이머(Karl Raub… 더보기

순식간에 지붕 날려버린 토네이도

댓글 0 | 조회 2,394 | 2024.03.06
엄청난 돌풍으로 한 주택의 지붕이 뜯겨 날아가는 모습이 영상에 생생하게 찍혔다.사건은 3월 4일 오전 8시 45분경에 남섬 서해안 중심 도시인 그레이마우스 북쪽에… 더보기

지난 여름 일조량, 넬슨 618시간 전국에서 최장

댓글 0 | 조회 1,002 | 2024.03.06
지난 여름은 덥고 건조했으며, 뉴질랜드의 많은 지역에서 기온은 평균 이상, 강수량은 평균 이하였다.국립 수자원 대기 연구소(NIWA)의 여름 기후 요약이 화요일에… 더보기

1월 주택건축 1,991건에 불과, 1년 전보다 28% 감소

댓글 0 | 조회 1,363 | 2024.03.05
지난 1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이뤄진 신규주택 건축허가는 총 1,991건에 불과했으며 2023년 1월보다는 28%가 줄어들었다.지난주 나온 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더보기

국민들 “생활비 소비 형태가 바뀌었다”

댓글 0 | 조회 3,986 | 2024.03.05
(도표) 각 부문별 가계 지출 비율의 변동(2019. 6~2023. 6, 단위: %) 전체적인 생활비가 많이 늘어난 가운데 국민들의 지출 패턴도 상당히 달라진 것…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