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327] 숨겨진 수수료 '아는 만큼 아낀다'

0 개 4,232 KoreaTimes
만약 한달동안 ATM(현금자동 입출금기)에서 인출 또는 송금, Eftpos, 수표발행등으로 45불의 수수료를 냈다면 이는 1년 정기예금에 1,200 불을 맡겼을때의 6개월치(연 8%가정) 이자와 맞먹는 금액이다. 따라서 수수료를 아끼는 것은 곧 돈을 버는 방법인데 비록 작은 금액이라 할지라도 1년 동안 쌓이게 되면 무시 못할 수준까지 이르게 된다.

한 경제전문가는 "각종 송금과 인출로 발생하는 대략 50센트에 불과한(?) 수수료는 은행들의 주수입원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다."라며 "고객입장에서도 은행수수료를 절약하는 것이 재테크의 하나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10년-20년동안 오직 한곳의 은행에서만 거래를 하는 경향이 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오랫동안 거래를 하면 VIP멤버가 될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신규가입자들이 기존가입자들보다 훨씬 좋은 조건의 은행거래를 하고 있는 경우 가 자주 목격되는데 일년마다 자신의 능력에 맞는 최고 조건의 은행을 찾아 옮겨 다니는 것도 한번쯤 고려해 볼 만한 부분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신이 장기간 거 래한 은행이 있다면 반드시 VIP고객에게 준한 수수료가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수수료는 계속 오른다:최근 은행들은 저마다의 수익구조 다변화를 통해 수수료를 올리거나 또는 신설함으로써 고객들의 부담이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신용카드 거래내역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면 불분명한 수수료로 인해 피해를 보게 된다. 몇달전에 외국여행을 다녀온 'A'모씨는 "거래명세서를 보다가 예상 했던 금액보다 많이 청구된 사실을 확인했는데 처음에는 환율차이로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ASB은행측에 확인한 결과 수수료는 2.1%(보통 0. 85%)였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즉 1000불을 사용했다면 21불이 수수료인 셈이다.

- 무조건 협상:모기지를 대출 받았거나 노령퇴직 수당자, 18세미만 또는 대학생(최근 졸업한 이들도 포함)이라면 주저말고 은행 문을 두드리자. 이들은 누구나 수수료공포에서 벗어날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Westpac은행은 2만5천불이상의 예금, 대출금 등이 있다면 수수료 할인 또는 면제의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이러한 혜택들은 고객이 먼저 요청하지 않는다면 은행들은 절대로 친절하게 설명해 주지 않는다.                  

- 인터넷뱅킹 가입은 필수:이미 여러차례 언급했던 부분이지만 인터넷뱅킹만큼 수수료를 절약하는 최상의 지름길은 없다. Westpac은행의 경우 폰뱅킹을 이용할 시 50 센트가 부과되지만 같은 거래를 인터넷뱅킹으로 한다면 무료로 가능하다. 게다가 잔고증명서등도 지점에는 5불이 청구되지만 인터넷뱅킹은 무료이다. ASB은행은 지점이나 폰뱅킹으로 청구서를 요청하면 5불, 인터넷뱅킹은 1.5불이다.            
  
이밖에도 수수료를 아끼는 방법으로는 ▲ 필요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계좌는 반드시 없앤다 ▲ 작은 금액은 Eftpos보다 현금을 사용한다 ▲ Eftpos사용시 현금을 인출한다(대부분의 은행에서 무료서비스 실시) 등이 있다. 그리고 은행별 수수료(예금, 송금, 인출) 현황체계를 자세하게 살펴보고 은행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 은행들이 절대 말하지 않는 7가지
1. 채무자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객의 빚이 늘어날수록 은행에서는 오히려 환영할 입장인데  25만불의 모기지나 신용카드빚이 있는 이가 3만불의 계좌가 있는 이보다 더 우수고객이다. 또한 신용카드의 경우 매달 정산이 되지 못한다면 은행의 절친한(?) 친구가 될 수 있다.  

2. 잔액조회등 전화문의는 새상품 판매를 위한 유혹의 시작-본인 계좌를 확인하기 위해 은행으로 전화를 걸면 보통은 새금융상품이나 보험소개를 받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 자신의 금전능력을 넘어서게 되는 것으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3. 은행들은 고객이 먼저 물어보지 않으면 절대로 이자율에 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  

4. 부도수표는 많이 발생할수록 좋다-물론 고객의 입장에서는 고통이지만 은행들은 즐겁다  

5. Direct Debit은 그만-신용카드결재를 Direct Debit으로 한다고 말하면 은행들은 결코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는 이자율 수익을 전혀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6. 고객들을 차별한다-예를 들어 BNZ는 Banking Adviser나 Personal Manager가 만불상당의 변동 모기지상품을 판매했을때 12점, 고정모기지는 8점, 계좌개설은 4점, 개인대출은 10점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최우수 고객은 당연히 누구?

7. 수수료는 반드시 거래금액과 일치하지 않는다

[시정] Waitakere시, 시민 의견접수 공고

댓글 0 | 조회 2,635 | 2007.04.17
Waitakere 시티 카운실은, 올 6월에 마무리 될 예정인 연간 예산안 편성을 앞두고 시민들의 의견을 접수한다. 연간 예산안에는, 다음 회계연도의 재정 계획과… 더보기

[교민] 25일(목) 교민 걷기대회 및 씨름대회

댓글 0 | 조회 3,081 | 2007.04.17
재 뉴질랜드 대한 체육회에서는 체육의 날 선포를 기념하고 많은 교민이 운동에 대한 관심과 건강증진, 그리고 화합과 단합을 목적으로 2007 교민 걷기대회와 씨름대… 더보기

[사회] '마약거래,절도' 범죄에 이용되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2,917 | 2007.04.16
14세 미만의 어린이는 범죄를 저질러도 면책 조항이 적용된다는 현행법을 이용해, 조직폭력배의 범죄에 아동들이 이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 눈길을 끌고 있다. 뉴… 더보기

[사회] 오클랜드 광고판 사라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2,768 | 2007.04.16
오클랜드 시내 광고판 부착 금지 안에 관한 검토 작업의 일환으로 오늘(16일)부터 대중 공청회가 시작된다. 이 조례의 제정을 리드하고 있는 좌익단체인 The Ci… 더보기

[사고] 64세 노인 수영대회 참가 중 사망

댓글 0 | 조회 2,760 | 2007.04.16
어제(15일) 오클랜드 노스쇼어 지역에서 벌어진 수영 대회에서 경기를 마친 64세의 남성이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Milford에서 Takapuna… 더보기

전년도 뉴질랜드 집값 9.8% ↑ "상승세 지속"

댓글 0 | 조회 2,915 | 2007.04.16
QV (Quotable Value : 가치 평가기관)는 작년 국내 전역의 부동산 가격이 전년도와 비교해 평균 9.8퍼센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 상승율은 작년 3… 더보기

[사회] 오클랜드, 화산 분화구에 ‘배설물’ 채워 넣기로

댓글 0 | 조회 3,233 | 2007.04.15
오클랜드 시는 사람들의 몸에서나온 배설물을 화산 분화구에 채워 넣은 뒤 공원으로 만드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뉴질랜드 신문들이 14일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오… 더보기

[보건] 오클랜드 성병 발병율 급증

댓글 0 | 조회 3,604 | 2007.04.13
임질(Gonorrhoea) 환자의 숫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질은 성병의 일종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남녀 모두에게… 더보기

[정부]국민당의 초등학교 교육 개정안 공표

댓글 0 | 조회 2,690 | 2007.04.13
국민당은 이번 주 초등학교 교육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공표했다. 첫째, 국민당정부는 교육계와 협의하여 읽기, 쓰기 그리고 수학에서 전국적인 표준… 더보기

[교민]재뉴대한체육회장배 농구대회 4월21일 개최

댓글 0 | 조회 2,930 | 2007.04.13
재뉴대한체육회장배 농구대회가 4월21일(토) Avondale College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최된다. 접수는 4월 19일까지이며 참가비는 팀당 $… 더보기

[교민]교민 백우현,조인성선수 junior foursomes championsh…

댓글 0 | 조회 3,595 | 2007.04.13
4월11일 왕가파로아 골프 장에서 열린 골프 대회에 교민자녀 백우현,조인성 선수가 nortth harbour 골프회 에서 주최하는 junior foursomes … 더보기

[교민]제 9대 한인회장 선거 공고

댓글 0 | 조회 3,120 | 2007.04.13
5월에 있을 한인 정기총회 및 한인회장 선거에 즈음하여 선거관리 위원회로부터 공문이 왔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선거관리 위원회는 제 8대 한인회로부터 선거관… 더보기

[물가] "Gull 때문에 못 살아", Shell 주유비 5c 인하

댓글 0 | 조회 3,681 | 2007.04.12
주유비의 시장가격 인하를 선도하기로 유명한 기업 Gull이, 또 한 번 운전자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Gull이 오늘 (12일) 오전부터 리터당 주유비를 5c 인… 더보기

[공연] 제2회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댓글 0 | 조회 2,895 | 2007.04.12
오는 4월 14일 저녁 7시 30분, 오클랜드 시 벨몬트(Belmont)에 위치한 Rose Center 에서 제 2회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공연이 열린다. 클래식… 더보기

[사회] 상습구타, 임금착취 '서러운 불법 노동자'

댓글 0 | 조회 2,802 | 2007.04.12
뉴질랜드 해상에서 조업 중이던 한국 어선에서 뛰어내려 현지 농장 등에서 불법 노동을 하다 추방된 여덟 명의 베트남 남성 중 한 명이 어제 (11일) 증인 신분으로… 더보기

[정치]돈낭비에 지나지 않는 ACC의 티브이 광고는 당장 중지되어야

댓글 0 | 조회 2,843 | 2007.04.12
국민당의 ACC담당 대변인 Pansy Wong 의원은 ACC가 그들의 오도성 캠페인광고를 재검토하기로 한 것을 환영하면서도, 그러나 내용 수정보다는 티브이광고 자… 더보기

[교민]기스본 등 자연재해 취약지구 순회 방문,

댓글 0 | 조회 3,186 | 2007.04.11
오클랜드 영사관 담당(박우현)영사는 지난 4. 7‐4.9간 뉴질랜드내 대표적 자연재해 취약지역중 하나인 기스본, 톨라가 베이 등을 방문(차량으로 왕복 … 더보기

[교민] 뉴질랜드 호주 축구 정기전 화기애애하게 마감.

댓글 0 | 조회 3,323 | 2007.04.11
제4회 뉴질랜드 호주 축구 정기전이 지난 4월6일부터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오클랜드에서 열렸다. 첫날, 재 뉴질랜드 대한체육회장 환영 만찬으로 친선의 밤을 시작… 더보기

[교민] 권혁진씨 다시 혼수상태. 가족들 암담....

댓글 0 | 조회 4,374 | 2007.04.10
자식들이 준 용돈을 모아 뉴질랜드 관광 길에 나섰다가 뇌출혈로 쓰러져 수술을 받은 권혁진씨(67세)가 4월 11일 출국을 앞두고 또 다시 혼수상태에 빠졌다. 지난… 더보기

[354] 전기세 도둑을 잡아라!

댓글 0 | 조회 3,318 | 2007.04.10
절전 프로젝트 기구 - Heep (Household Energy End-use Project)가 뉴질랜드의 400여 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해 10년간 전기 사용 추… 더보기

[교민] 오클랜드를 방문한 권순양씨의 슬픈 사연

댓글 0 | 조회 5,171 | 2007.04.07
한국 세명대학교 전산과에서 근무하는 권순양시는 지난 28일 뉴질랜드에서의 긴급한 전화를 받고 급히 뉴질랜드행 비행기를 타야했다. 그의 아버지 권혁진(67세)씨가 … 더보기

[사회] 뉴질랜드 호텔비 세계적으로 저렴

댓글 0 | 조회 2,982 | 2007.04.07
뉴질랜드 호텔비는 세계 여러 국가와 비교해 저렴한 수준이라고 NZ HERALD 지가 보도했다. 뉴질랜드의 작년 평균 호텔비는 하루에 $153. 세계에서 가장 호텔… 더보기

[물가] 주유업체 가격경쟁 심화

댓글 0 | 조회 2,980 | 2007.04.07
주유 업체들의 잇단 가격경쟁으로 소비자들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지난 주 초, Gull이 주유비를 내리면서 시작된 가격 경쟁은 오클랜드에서 시작 돼 뉴질랜… 더보기

[사고] 미성년자 총기사고, '일주일 만에 또?'

댓글 0 | 조회 2,995 | 2007.04.06
14세 소년이 머리에 공기총을 맞고 응급실에 실려 가는 일이 발생했다. 지난 3월 30일 여섯 살 타일라 스콧 양이 10살 난 오빠가 바위에 쏜 공기총의 파편을 …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3월 28일)

댓글 0 | 조회 3,268 | 2007.04.06
지난 3월 28일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습니다. 총 695건(1,486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3.6%를 차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