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2] 겨울철 난방 A to Z

[352] 겨울철 난방 A to Z

0 개 4,261 KoreaTimes
가을이다. 슬슬 난방을 준비해야할 시기다. 뉴질랜드의 겨울은 한국만큼 매섭지 않지만 웬지 으슬으슬 춥다. 집집 마다 설치 된 한국의 도시가스 보일러가 부럽고, 그 옛날.... 보온 밥솥이 필요없을 만큼 뜨끈했던 아랫목이 유난히 그리워지는 뉴질랜드의 겨울. 이번 호에는 뉴질랜드에서 첫 겨울을 맡게 되는 유학생들이나, 이민자 가족들, 집 수리나 구매를 앞두신 분들을 위해 다양한 난방 옵션을 소개하고자 한다.

무엇을 고를까?

난방기구를 고를 때 가장 고려해야 할 것은 현재 살고 있는 집이 자가 소유인지 렌트인지의 여부다. 자신의 집이라면 투자가 좀 되더라도 중앙 난방식 히팅 아이템을 설치하는 것이 좋고, 렌트해서 살고 있다면 굳이 큰 투자를 할 것 없이 포터블 히터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식구의 수와 집의 크기 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전기 히터 (Electric heater)

전기는 일반 가정 70퍼센트 정도가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연료다. 전기로 작동하는 이동식 히터는 최저 10불대에 구매가 가능할 만큼 싼 것들도 많다. 문제는 가격이 싼 만큼 전기는 많이 소모할 수 있다는 사실. 평균 킬로 와트당 20센트 정도의 비용이 발생한다. 때문에 전기 히터는 거실이나 주방 등 난방 범위가 넓은 곳에는 적합하지 않고, 책상 옆이나 침실 에서 잠깐씩 보조적인 난방 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열이 잘 되는 현대식 주택이라면, 전기 파넬이나 오일 히터를 추천한다. 하지만 지붕이 높고 집이 오래 되서 단열 상태가 좋지 않다면 열이 빨갛게 발생하는 방사성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방사성 히터는 침실이나 어린이가 있는 공간엔 놓지 않는 것이 좋다.

주로 밤 시간에만 히터를 많이 쓰는 가정이라면, 야간 전력용 히터를 구매해서 전기요금 할인을 받는 방법도 있다. 집을 새로 짓거나 리노베이션 하신다면 바닥에 난방재를 까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국식 보일러 처럼 콘크리트 패드 안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세라믹 히팅 타일을 까는 등 초기 투자를 해 주면 난방비가 엄청나게 줄고, 집의 값어치도 높일 수 있다.

또, 바닥 히팅 전력은 분리된 미터기로 계산되며 좀 더 저렴하다. (전기 회사에 확인해 보시길)


히트 펌프(Heat Pump)

열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는데, 히트펌프는 반대로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열을 끌어 올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히트 펌프는 대게 난방과 냉방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여름에 에어컨을 필요로 하는 집에는 효율적이다. 이 난방기구는 집 크기에 따라 적합한 용량을 써야 하며, 3상 전력 공급이 가능한 주택에만 설치할 수 있다. 전기로 난방하는 방식 중에 난방 비용이 가장 저렴하지만 설치에 다소간의 비용이 발생한다.


가스 히터 (Gas heater)

뉴질랜드의 천연 가스 매장량은 아직 든든하다. 설사 가스가 고갈된다고 하더라도 LPG (액상 천연가스) 라는 대체 물질이 있다. 때문에, 가스 히터 난방비는 전기히터보다 싸고, 전기 히트 펌프보다는 조금 비싼 킬로와트당 7~17센트 선이다. LPG는 15~22센트 선으로 전기 히터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가스 난방을 위해서는 LPG 통을 빌리거나, 천연가스를 설치 하는 등에 따르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므로, 렌트 거주자들은 고려할 필요가 없는 난방법이다. 또, 카본 다이옥시드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환기를 자주 시키지 않으면 건강에 유해하다.


디젤 (Diesel)

최근 들어 디젤 가격이 다시 오르고 있지만, 다른 에너지 가격도 역시 많이 오르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디젤은 비용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디젤을 연료로 한 중앙난방 기구나, 장작 버너에 디젤을 추가제로 사용하는 비용은 매우 저렴한 편이다.


나무 버너 (Wood Burner)

주변에 공짜로 쓸 수 있는 나무가 많거나 싸게 구입할 수 있다면, 그리고 나무를 쌓아 둘 수 있는 공간이 넉넉하다면... 아직까지는 나무 이상 저렴한 난방법이 없다. 하지만, 공간이 넉넉하지 않고 벽난로도 새로 설치해야 한다면 장작 난로 대신 펠렛 (Pellet) 버너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펠렛은 톱밥을 압축한 장작 대체품으로, 난방비는 우드 버너와 비슷하지만, 공간을 훨씬 덜 차지 한다. 또 펠렛용 난로에는 타이머와 온도 조절기가 달려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초기 투자비용이 적으면서, 유지비용도 적게 드는 난방 기구를 찾기는 힘들다. 평균적으로, 50달러 안팎의 오일 칼럼 히터를 사면 킬로 와트당 20센트 정도가 들고, 2~3천 달러가 소요되는 가스 버너나 우드 히터에 투자하면 킬로와트당 10센트 정도의 유지비가 든다. 또, 만 불 정도 소요되는 중앙 난방 장치에 투자하면 유지비는 킬로와트당 1~2센트 정도로 뚝 떨어진다.


참고자료 : 월간 CONSUMER
이연희 기자 (reporter@koreatimes.co.nz)

[교민] 박세준(13)군 Jenny Lee양 피아노대회 우승

댓글 0 | 조회 3,308 | 2007.05.09
지난달 4월 개최되었던 North Shore Performing Arts Competition에서 교민 박세준(13)군과 Jenny Lee(12)양이 3부문에서 … 더보기

[사회] 뉴질랜드 국가 경쟁력 16위..한국은 23위

댓글 0 | 조회 2,685 | 2007.05.09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IPS)에 따르면 2007년도 뉴질랜드 국가 경쟁력이 16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66개국을 조사대상으로한 이번 연구보고서에서 네덜란드가 1위… 더보기

[교민] 태권도 뉴질랜드, 뉴질랜드올림픽위원회 정식 가입

댓글 0 | 조회 2,739 | 2007.05.08
지난 1일(화) 오전 뉴질랜드의 수도 웰링톤 테파파 박물관 회의실 에서 열린 뉴질랜드올림픽 위원회(NZOC) 총회에 태권도 뉴질랜드(회장:김태경)가 총회에 참석했… 더보기

[사회] 뉴질랜드 자동차 소유 세계 3위

댓글 0 | 조회 2,616 | 2007.05.08
뉴질랜드 사람들은 얼마나 차를 좋아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The Nielsen company가 발행한 2006 파노라마 연구에서 뉴질랜드 차소유… 더보기

[356] 수돗물, 그냥 마셔도 되나? - 1

댓글 0 | 조회 3,954 | 2007.05.07
"뉴질랜드에 사는 즐거움 중 하나는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여유를 즐길 수 있다는 것!" 이라는 내용의 글을 어디선가 본 일이 있다. 그래서 필자 역시 천혜의 자연… 더보기

[부동산] 수수료 전쟁 "최대 $15,000 이상 절감.."

댓글 0 | 조회 3,611 | 2007.05.07
6일자 뉴질랜드 헤럴드지는, 부동산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최근 신종 판매 기법을 도입한 마케팅 회사의 등장으로 전통적 방식을 고수하는 부동산 에이전트들… 더보기

[보건] 뇌수막염, 내년부터 예방접종 무료

댓글 0 | 조회 2,879 | 2007.05.07
내년부터 정부는 뉴질랜드 내 모든 유아들을 대상으로 6천 8백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뇌 수막염 예방접종을 무상으로 실시한다. 보건부 장관 Pete Hodgson … 더보기

[사건] 광란의 파티

댓글 0 | 조회 3,372 | 2007.05.06
5월 5일(토요일)인 어제 크라이 처치에서는 광란의 생일파티로 인해 2명의 여자가목숨을 잃고 8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파티는 20대인 세입자의 생일 파… 더보기

[사건] 2세 어린소녀 총에 맞아 사망.

댓글 0 | 조회 3,047 | 2007.05.06
왕가누이 푸리리거리(Puriri St)에서 2세의 어린소녀가 총에 맞아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였다고 헤럴드온 선데이에서보도하였다. 지난 5일(토) 사고나기 전까지 … 더보기

[사건] 오리사냥이 사람사냥으로 될뻔...

댓글 0 | 조회 2,702 | 2007.05.06
지난 5일(토) 오전 와아카토 모린스빌 북쪽지역에서 20분 거리에 있는 야생공원 파테통가 라군(Patetonga Lagon)에서오리샤냥을 하던중 한 남성이 얼굴과… 더보기

[사회] LION 맥주, 7월부터 인상

댓글 0 | 조회 2,809 | 2007.05.05
뉴질랜드 맥주 제조회사 Lion Nathan이 자사에서 생산하는 맥주 가격을 7월초부터 전면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관리본부장 피터킨은 원료비 상승, 소비세 인상… 더보기

[통신] IPTV, 뉴질랜드시장부터 먼저 뜬다

댓글 0 | 조회 4,922 | 2007.05.04
한국내 IPTV 시장이 법제화 문제로 발목이 잡힌 동안 해외 동포 시장이 IPTV 신규수요로 먼저 떠올랐다. 유빌리온·글로벌비젼 등 중소 IPTV 관련업체는 최근… 더보기

[경제] 건축법 개정, "집 짓는데 $5,000 더 든다."

댓글 0 | 조회 3,007 | 2007.05.04
지난 3일, 주택의 단열 설비에 관한 건축법 조항이 개정됨에 따라 새 집을 짓는데 약 $3,000에서 최대 $5,000 정도의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올해 1… 더보기

[IT] 오클랜드시, 2010년까지 초고속 통신망 구축

댓글 0 | 조회 2,799 | 2007.05.04
초고속 인터넷 망의 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통신 분야 민간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자 오클랜드 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섰다. 오늘(4일… 더보기

이민컨설턴트자격증법 통과!

댓글 0 | 조회 3,800 | 2007.05.04
지난 5월 1일 이민컨설턴트 자격증법(Immigration Advisers Licensing Act)가 국회를 통과했다. 2005년 하반기부터 거론되기 시작하던 …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4월 26일)

댓글 0 | 조회 3,219 | 2007.05.04
지난 4월 26일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다. 총 805건(1,747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2.1%를 차지했으… 더보기

[환율] 키위 달러 내림세 "3주만에 최저"

댓글 0 | 조회 3,317 | 2007.05.04
미국 경제가 호전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미화대비 뉴질랜드 달러가격이 내림세를 보여 최근 3주 만에 최저가를 기록했다. 지난 3일 달러당 US74c였던… 더보기

[소비자] 신용카드 미납수수료 "타당성 조사 중"

댓글 0 | 조회 2,653 | 2007.05.04
지난 3일, 상업위원회는 은행이 부과하고 있는 신용카드 연체수수료가 타당한지의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협회의 대변인은 신용카드 계약약관과 '수수료 부과… 더보기

[사건] 8세 소년 공격한 개주인 법정 출두

댓글 0 | 조회 2,543 | 2007.05.03
시민들이 개의 공격으로 중상을 입고, 사망하는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지난 주말 오클랜드에서 세 명의 주민을 공격한 개들의 주인이 오늘(3일) 법정… 더보기

[교민] 재외동포기념일(“세계한인의 날”) 제정

댓글 0 | 조회 2,565 | 2007.05.03
대한민국 정부는 매년 10월 5일을 재외동포를 위한 기념일인 “세계한인의 날” 로 공식 제정키로 4.24(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으며, 대통령재가 및 관보게제 … 더보기

[정치] 노동당, 국민당 대표의 반체벌법안에 대한 수정안 전격 수용

댓글 0 | 조회 2,456 | 2007.05.03
국민당 John Key 대표는 반체벌법안과 관련, 노동당이 자신이 제안한 수정내용을 반영하여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가벼운 사랑의 매를 대었다는 이유로 범법자로 몰리… 더보기

[사회] 구조 헬기 지원에 동참요청

댓글 0 | 조회 2,372 | 2007.05.02
뉴질랜드 구조 헬기 관계자들은 인명구조 지원의 한 방편으로 오는 5월11일(금) 진행될 Westpac 헬기 지원 거리 모금 행사 (Westpac Chopper S… 더보기

[교민] 유시청 한인회장 후보, 공약발표회

댓글 0 | 조회 3,209 | 2007.05.02
오늘(2일) 오전 10시, 오클랜드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제9대 재뉴한인회장 선거 단독 출마자 유시청 후보가 후보자 인사 및 공약 발표회를 가졌다. 후보자의 약력과… 더보기

[교민] 스퀴시 2007년 해외동포 전국체육대회에 채택

댓글 0 | 조회 2,953 | 2007.05.02
2006년도 전국 체육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성황리에 경기를 치루었던 스쿼시가 2007년도 부터는 해외 동포 종목에도 채택이 되어 올해 광주에서 개최되는 20… 더보기

[사회] 일광절약시간제, 올해부터 3주 연장

댓글 0 | 조회 2,982 | 2007.05.01
서머타임으로 알려진 일광절약 시간제(Daylight Saving Time : DST) 시행 기간이 종전의 24주에서 27주로 3주 연장된다. 어제(4월 30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