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어디로 가나?

주택가격 어디로 가나?

0 개 3,858 KoreaTimes
12월말 기준 QV의 전국 주택가치가 지난 1년간 9.2% 상승했다. 전국 평균 매매가격은 $348,886불로 소폭 상승했다. QV사의 Gelnda Whitehead 대변인은 “비록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지만 초여름을 맞이하여 주택시장이 활발하게 움직였다. 수요와 공급은 균형세를 이루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12월 기준 부동산협회 (REINZ)에 따르면 주택 중위가 (median sales price)도 $33만불로 꾸준했으며 판매일수도 2006년 중 최단을 기록하는 등 강세를 이어갔다. 판매 건수도 8,245건으로2005년 12월의 6,906 보다 많았다.

주택가격, 어디로 가나?
뉴질랜드는 연소득과 비교해 볼 때 세계에서 주택가격이 가장 비싼 나라에 속한다. 연소득으로 주택을 장만하는 기간은 호주 6.6년, 뉴질랜드 6년, 영국 5.5년, 미국 3.7년이다. 주택 중위가와 평균임금의 비율은 NZ의 경우 7.13으로 미국(4.23),  영국(5.98), 호주(6.12)보다 높다.

최근 주택 중위가는 $33만불 수준으로 5년전보다 72% 상승한 반면 임금은 4년간 14%만 상승했다. 15세 이상 인구 중 연소득이 $2만불 이하인 비중은 43%에 달하며 15%만이 년 $5만불 이상을 벌고 있다. 주택가격이 가파르게 올랐던 70년대에는 임금 역시 비슷한 속도로 증가해 주택구매력이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택가 상승속도를 소득이 따라잡지 못하면서 주택구매력이 감소하고 있다.
이는 최근 Massey대학의 조사와도 일치한다. 주택가격과 주당소득을 비교한 이 조사에 따르면 주택구매력(Home Affordability) 지수는 지난 4년간 매 분기 하락하여 현재는 18년전 모기지 금리가 15.5%에 달했을 때와 비슷한 최악의 수준이다.
또한, 가계의 가처분 소득에서 모기지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지난 13년간 꾸준히 상승해 현재 13%에 달한다. 이는 호주의 11%보다 높은 수치이다. 소득에 비해 너무 오른 주택가격과 이자비용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주택가격이 조만간 조정을 받아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부동산 계속 오른다?  ↗
한편 Economist지에 따르면 NZ은 지난 10년간의 주택가격 상승율을 비교해볼 때 17개국 중 12위를 차지하는 등 주택가격이 과대평가된 것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10년간 주택가격 상승율
순위        국가        상승율
1        남아공           327%
2        아일랜드        252%
3        영국              192%
5        호주              132%
10        미국             100%
12        NZ                94%
16        일본             -32%
17        홍콩             -44%

일부 전문가들은 2006년 7월경 주택가격이 주춤하면서 판매 건수가 감소했을 때가 바로 슬럼프가 아니었나 라고 보고 있다. 워낙 작은 규모의 하강이라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다. BNZ은행의 Tony Alexander수석은 “아주 예상치 못한 사건이 벌어지지 않는 한, 이민자 유입 증가와 고용활황에 힘입어 주택가격 하락은 없을 것이며 그러나 그 증가세는 작년의 9.2%에서 5%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견해는 Deutsche은행의 Darren Gibbs수석과 UBS의 Robin Clemens도 동의하는 부분이다. 이들 은행들은 순증 이민자 증가가 주택가격을 꾸준히 떠받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ASB은행의 분기별 주택신뢰도 조사도 일반인들의 주택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한다. 1월말 분기 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54%로 작년 10월말 분기의 36%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주택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0% (10월말 16%)로 감소했다.

‘지금이 주택구입의 적기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일반인들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주택신뢰도 역시 2005년 초 하락한 후 2006년 초반부터 다시 회복되고 있다. (그래프 참조) 주택가 하락 예상이 계속 빗나가면서 이제는 구매자들이 오히려 자신감을 회복하는 형상이다.
17,500명의 회원을 가진 부동산협회의 Murry Cleland씨는 “올해도 작년과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이 주택시장 상승세가 이이질 것이다. 단, 금리가 한 차례 더 오르면 사람들이 융자신청시 좀 더 신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10년 추세로 본 부동산 →
그러나 The Economist紙의 분석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난 10년을 두 기간으로 양분할 경우, 처음 5년간 97년에서 2001년까지 주택 중위가는 $160,000불에서 $179,000불로 불과 11.9% 상승(년 2.4% 상승)에 그친 반면 2002년에서 2006년까지 최근 5년간의 주택 중위가는 $179,000불에서 $330,000불로 84.4% (년 16.9%)나 상승했다. 1998년, 2000년, 2001년에는 물가를 감안한 실질 주택가격이 하락하기도 했다.

10년간 주택 중위가 (단위 천불)
이처럼 늘 주택가격이 고성장을 구가해 왔던 것은 아니다. 지난 10년 추세를 보더라도 최근 5년간 뜨거웠던 주택시장이 안정세로 돌아설 시기가 무르익었음을 알 수 있다.

교과서적인 결론….
지금은 투자용 주택 구입시 단기간의 시세차익을 노리기 보다는 꼼꼼하게 수익율을 따져본 후 투자 결정을 내려야할 시기이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커다란 악재가 없는 한 부동산 시장의 하락은 없을 것이나 그 성장율은 둔화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주학성
도체스터 금융 아시안 금융부 매니저
308-4973    
www.dorchesterkorea.co.nz


[교민] 박세준(13)군 Jenny Lee양 피아노대회 우승

댓글 0 | 조회 3,308 | 2007.05.09
지난달 4월 개최되었던 North Shore Performing Arts Competition에서 교민 박세준(13)군과 Jenny Lee(12)양이 3부문에서 … 더보기

[사회] 뉴질랜드 국가 경쟁력 16위..한국은 23위

댓글 0 | 조회 2,685 | 2007.05.09
국가경쟁력연구보고서(IPS)에 따르면 2007년도 뉴질랜드 국가 경쟁력이 16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66개국을 조사대상으로한 이번 연구보고서에서 네덜란드가 1위… 더보기

[교민] 태권도 뉴질랜드, 뉴질랜드올림픽위원회 정식 가입

댓글 0 | 조회 2,739 | 2007.05.08
지난 1일(화) 오전 뉴질랜드의 수도 웰링톤 테파파 박물관 회의실 에서 열린 뉴질랜드올림픽 위원회(NZOC) 총회에 태권도 뉴질랜드(회장:김태경)가 총회에 참석했… 더보기

[사회] 뉴질랜드 자동차 소유 세계 3위

댓글 0 | 조회 2,616 | 2007.05.08
뉴질랜드 사람들은 얼마나 차를 좋아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The Nielsen company가 발행한 2006 파노라마 연구에서 뉴질랜드 차소유… 더보기

[356] 수돗물, 그냥 마셔도 되나? - 1

댓글 0 | 조회 3,954 | 2007.05.07
"뉴질랜드에 사는 즐거움 중 하나는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여유를 즐길 수 있다는 것!" 이라는 내용의 글을 어디선가 본 일이 있다. 그래서 필자 역시 천혜의 자연… 더보기

[부동산] 수수료 전쟁 "최대 $15,000 이상 절감.."

댓글 0 | 조회 3,611 | 2007.05.07
6일자 뉴질랜드 헤럴드지는, 부동산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최근 신종 판매 기법을 도입한 마케팅 회사의 등장으로 전통적 방식을 고수하는 부동산 에이전트들… 더보기

[보건] 뇌수막염, 내년부터 예방접종 무료

댓글 0 | 조회 2,879 | 2007.05.07
내년부터 정부는 뉴질랜드 내 모든 유아들을 대상으로 6천 8백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뇌 수막염 예방접종을 무상으로 실시한다. 보건부 장관 Pete Hodgson … 더보기

[사건] 광란의 파티

댓글 0 | 조회 3,372 | 2007.05.06
5월 5일(토요일)인 어제 크라이 처치에서는 광란의 생일파티로 인해 2명의 여자가목숨을 잃고 8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파티는 20대인 세입자의 생일 파… 더보기

[사건] 2세 어린소녀 총에 맞아 사망.

댓글 0 | 조회 3,047 | 2007.05.06
왕가누이 푸리리거리(Puriri St)에서 2세의 어린소녀가 총에 맞아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였다고 헤럴드온 선데이에서보도하였다. 지난 5일(토) 사고나기 전까지 … 더보기

[사건] 오리사냥이 사람사냥으로 될뻔...

댓글 0 | 조회 2,702 | 2007.05.06
지난 5일(토) 오전 와아카토 모린스빌 북쪽지역에서 20분 거리에 있는 야생공원 파테통가 라군(Patetonga Lagon)에서오리샤냥을 하던중 한 남성이 얼굴과… 더보기

[사회] LION 맥주, 7월부터 인상

댓글 0 | 조회 2,809 | 2007.05.05
뉴질랜드 맥주 제조회사 Lion Nathan이 자사에서 생산하는 맥주 가격을 7월초부터 전면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관리본부장 피터킨은 원료비 상승, 소비세 인상… 더보기

[통신] IPTV, 뉴질랜드시장부터 먼저 뜬다

댓글 0 | 조회 4,922 | 2007.05.04
한국내 IPTV 시장이 법제화 문제로 발목이 잡힌 동안 해외 동포 시장이 IPTV 신규수요로 먼저 떠올랐다. 유빌리온·글로벌비젼 등 중소 IPTV 관련업체는 최근… 더보기

[경제] 건축법 개정, "집 짓는데 $5,000 더 든다."

댓글 0 | 조회 3,007 | 2007.05.04
지난 3일, 주택의 단열 설비에 관한 건축법 조항이 개정됨에 따라 새 집을 짓는데 약 $3,000에서 최대 $5,000 정도의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올해 1… 더보기

[IT] 오클랜드시, 2010년까지 초고속 통신망 구축

댓글 0 | 조회 2,799 | 2007.05.04
초고속 인터넷 망의 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통신 분야 민간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자 오클랜드 시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섰다. 오늘(4일… 더보기

이민컨설턴트자격증법 통과!

댓글 0 | 조회 3,800 | 2007.05.04
지난 5월 1일 이민컨설턴트 자격증법(Immigration Advisers Licensing Act)가 국회를 통과했다. 2005년 하반기부터 거론되기 시작하던 … 더보기

기술이민 채택현황(2007년 4월 26일)

댓글 0 | 조회 3,219 | 2007.05.04
지난 4월 26일 기술이민 의향서 채택이 있었다. 총 805건(1,747명)이 채택이 되었으며 점수별 분포현황은 아래와 같다. 한국인 신청자는 2.1%를 차지했으… 더보기

[환율] 키위 달러 내림세 "3주만에 최저"

댓글 0 | 조회 3,317 | 2007.05.04
미국 경제가 호전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미화대비 뉴질랜드 달러가격이 내림세를 보여 최근 3주 만에 최저가를 기록했다. 지난 3일 달러당 US74c였던… 더보기

[소비자] 신용카드 미납수수료 "타당성 조사 중"

댓글 0 | 조회 2,653 | 2007.05.04
지난 3일, 상업위원회는 은행이 부과하고 있는 신용카드 연체수수료가 타당한지의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협회의 대변인은 신용카드 계약약관과 '수수료 부과… 더보기

[사건] 8세 소년 공격한 개주인 법정 출두

댓글 0 | 조회 2,543 | 2007.05.03
시민들이 개의 공격으로 중상을 입고, 사망하는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지난 주말 오클랜드에서 세 명의 주민을 공격한 개들의 주인이 오늘(3일) 법정… 더보기

[교민] 재외동포기념일(“세계한인의 날”) 제정

댓글 0 | 조회 2,565 | 2007.05.03
대한민국 정부는 매년 10월 5일을 재외동포를 위한 기념일인 “세계한인의 날” 로 공식 제정키로 4.24(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으며, 대통령재가 및 관보게제 … 더보기

[정치] 노동당, 국민당 대표의 반체벌법안에 대한 수정안 전격 수용

댓글 0 | 조회 2,456 | 2007.05.03
국민당 John Key 대표는 반체벌법안과 관련, 노동당이 자신이 제안한 수정내용을 반영하여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가벼운 사랑의 매를 대었다는 이유로 범법자로 몰리… 더보기

[사회] 구조 헬기 지원에 동참요청

댓글 0 | 조회 2,372 | 2007.05.02
뉴질랜드 구조 헬기 관계자들은 인명구조 지원의 한 방편으로 오는 5월11일(금) 진행될 Westpac 헬기 지원 거리 모금 행사 (Westpac Chopper S… 더보기

[교민] 유시청 한인회장 후보, 공약발표회

댓글 0 | 조회 3,209 | 2007.05.02
오늘(2일) 오전 10시, 오클랜드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제9대 재뉴한인회장 선거 단독 출마자 유시청 후보가 후보자 인사 및 공약 발표회를 가졌다. 후보자의 약력과… 더보기

[교민] 스퀴시 2007년 해외동포 전국체육대회에 채택

댓글 0 | 조회 2,953 | 2007.05.02
2006년도 전국 체육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성황리에 경기를 치루었던 스쿼시가 2007년도 부터는 해외 동포 종목에도 채택이 되어 올해 광주에서 개최되는 20… 더보기

[사회] 일광절약시간제, 올해부터 3주 연장

댓글 0 | 조회 2,982 | 2007.05.01
서머타임으로 알려진 일광절약 시간제(Daylight Saving Time : DST) 시행 기간이 종전의 24주에서 27주로 3주 연장된다. 어제(4월 30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