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한국 여인은 다섯 번 운다

뉴질랜드 한국 여인은 다섯 번 운다

0 개 5,543 NZ코리아포스트
다섯 번 울 수 있는 뉴질랜드 한국 여인은 그만큼 성숙되고 사랑스러운 여성이다. 인간은 눈물을 흘리면서 카다르시스를 맛본다.

여성은 눈물을 흘릴 때 아름다워진다고 한다. 내가 중학교 다닐 때 동네 어린 아이가 웅덩이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익사한 사건이 일어났다. 시체로 건져진 아이가 동네로 들려오고 있었다. 그 때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던 초등학교 5학년이었던 한 여학생의 얼굴을 지금도 난 잊을 수가 없다.

눈동자 바깥면의 위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인 눈물은 다른 물질들을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눈물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은 수분과 염분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눈물의 가치를 어찌 물리적 화학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으랴. 그 중에서도 여성의 눈물, 특히 어머니의 눈물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의 응축상태라고 할까?

며칠 후면 이곳에서 또 추석날을 맞이하게 되겠다. 특별한 감흥이 있을까마는 마음이 허전할수록 옛날 생각에 눈물 젖는 것도 어찌할 수 없는 일이다.
인간은 눈물을 흘리면서 일종의 카타르시스(Catharsis)를 맛본다고 한다. 억압된 감정, 억눌린 어떤 정서를 울음을 통하여 정화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드라마나 영화를 감상하면서도 주인공을 통해 대리감정을 느끼고 카타르시스를 맛보는 일이 흔히 있다.

눈물은 인간을 한결 성숙하게 만든다. “눈물과 함께 밤을 지새워 보지 않은 사람하고는 사랑을 논하지 말라”라고 누가 말했던가? 다섯 번 울 수 있는 뉴질랜드 한국 여인은 그만큼 성숙되고 사랑스러운 여성이다.

가느냐마느냐, 엎치락뒤치락하기를 몇 번씩 하면서 회유 반, 공갈 반인 남편의 설득에 떠나게 된 이민 길…….
지금까지 외국 한번 나가보지 않고 살아왔는데 어린것들을 데리고 산 설고 물 설은, 말도 통하지 않는 타향살이를 어떻게 견뎌낸단 말인가? 공항 출국 장소에는 그동안 미운 정, 고운정이 쌓였던 친척 친지들이 나를 에워싸고 있다. 아빠와 철모르는 세 살짜리 아이는 벌써 저만큼 들어가서 빨리 들어오라고 손짓하는데 늙으신 어머님과 눈이 마주치는 순간 여인은 그만 주저앉아 울고 만다. “나는 못 간다, 나는 못 간다.” 품속에 안긴 6개월짜리 아기는 무슨 영문인지도 모르면서 고개를 두리번거리고…….

저녁 내내 비행기는 날고 있는데 창밖을 보니 벌써 아침이 온 듯 망망대해가 펼쳐진다. 도착할 시간이 가까워지자 육지가 보이는데 푸른 초원을 보니 뉴질랜드가 틀림없다. ‘천사들의 고향’이라더니 아름답고 평화스러운 땅이다. 공항에 내리니 날씨는 청명한데 바람은 시원하고 공기는 상큼하다. 이렇게 좋은 곳을 왜 이제야 데리고 왔느냐고 남편을 원망하면서 두 번째 눈물을 흘린다.

모텔에 짐을 풀고 눈을 붙이고 났더니 밤이 되어 어스름하고 비가 내리더니 겨울이라 그런지 을씨년스럽기 그지없다. 어제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에서는 늦은 여름의 더운 날씨였는데……. 이럴 땐 뜨끈뜨끈했던 온돌방이 새삼 그리워진다. 어린 것들은 보채는데 문밖에 가게가 있나, 말이 제대로 통하나, 차가 있나, 길을 아나, 답답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가지고 온 라면도 한 두 끼지 살길이 막막하다는 생각이 들면서 설움이 북받친다.

살림집을 얻어 이삿짐을 정리하고 나니 여유가 생긴다. 길도 익히고 사람들도 사귀면서 이민 생활의 묘미를 찾게 된다. 찌는 듯 하는 더위도 없고 혹독한 추위도 없으며 전국이 초록의 카펫이요 도시 전체가 공원이다. 알고 보니 모든 시스템이 편리하게 갖추어져 있어 매력을 느낀다. 어린 아기는 무럭무럭 자라고 큰 아이는 제 세상을 만난 듯 뛰어 다닌다. 이렇게 좋은 곳에 살면서 고국에 계신 부모님을 생각하니 눈물이 맺힌다.

세월이 흐르면서 가져온 돈은 바닥이 보이기 시작하고 돈 벌이는 막연하니 걱정이 앞선다. 그래도 한국에서는 사모님 소리를 들으며 거들먹거리고 다니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누가 알아주랴. 뉴질랜드가 지상천국이라고 친구며 친척이며 들락거리는데 손님 치다꺼리 하느라고 가슴이 타는 것은 어쩌랴. 그런데도 입장과 생활방식의 차이로 서운한 감정이 생길 때 슬프다.

다섯 번 울 수 있는 한국 여인은 행복하다. 뉴질랜드 한국 여인들이여, 부디 용기를 잃지 말아다오. 인간은 사명을 다 할 때까지는 죽지 않는다. 그대들의 사명은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우리의 후손들이 복된 땅에서 행복을 가꾸도록 터전을 닦는 일이다. 여자는 약하나 어머니는 강하다. 6.25 전쟁 중에도 엄마 있는 자식들은 굶지 않았다. 입에 흙이 들어가는 한이 있더라도 고국에 손을 내밀 수 있으랴. 우리에게 제3의 땅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여기서 성공해야한다.


한일수 (경영학 박사/칼럼니스트)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1럭비월드컵- 잉글랜드, 피지, 프랑스 각각 첫승 거둠.

댓글 0 | 조회 1,405 | 2011.09.11
10일(토) 더니든에 위치한 오타고 스타디엄에서 열린 B조에 속한 아르젠티나와 영국의 럭비월드컵 경기에서 영국이 13대 9로 승리하였다.아르헨티나는 전반에 6대 … 더보기

2011럭비월드컵- 스코트랜드, 루마니아 꺾고 첫 승

댓글 0 | 조회 1,174 | 2011.09.10
스코트랜드가 10일(토) 인버카길의 럭비 파크에서 열린 루마니와의 오픈매치에서 34대 24로 이겼다.10일에 열린 대회 B조 1차전에서 스코트랜드는 루마니와의 시… 더보기

2011 럭비월드컵 개막식의 얼굴들.

댓글 0 | 조회 1,796 | 2011.09.10
9일 2011 럭비월드컵개막식 행사를 위해 많은 시민이 시내에 모였습니다.뉴질랜드를 비롯하여 사모아 통아 등 자기나라를 응원하려는 모습이 아름다워 한 컷 해보았습… 더보기

2011 럭비월드컵 개막식 불꽃놀이 사진

댓글 0 | 조회 1,788 | 2011.09.10
9일 2011 럭비월드컵 개막식을 축하하는 불꽃놀이가 여러군데에서 있었습니다.스카이시티에서 행해진 불꽃놀이 사진을 몇장 올려 봅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 더보기

2011럭비 월드컵- 뉴질랜드 가볍게 첫 승

댓글 0 | 조회 2,612 | 2011.09.10
2011 럭비월드컵이 어제 9일(금) 개막식과 함께 뉴질랜드에서 시작됐다.뉴질랜드 럭비월드컵 대표팀인 올블랙스(All balcks)는 개막전에서 통가를 41대 1… 더보기

Auckland launches Wi-Fi world first

댓글 0 | 조회 1,875 | 2011.09.10
The world’s first fully integrated metropolitan Wi-Fi system, including free roaming Wi-Fi… 더보기

RWC Opening Night

댓글 0 | 조회 813 | 2011.09.10
Rugby World Cup Minister Murray McCully says he’s disappointed poor performance in two are… 더보기

경찰, 어제 마운트알버트 열차 사고 목격자 찾아

댓글 0 | 조회 1,454 | 2011.09.09
경찰은 어제(8일) 오클랜드 마운트알버트지역에서 한 중년여성이 열차에 치여 사망한 사고와 관련, 목격자를 찾고 있다. 이 여성은 마운트알버트 우드워드로드 근처 건… 더보기

재뉴상공회의소, 재뉴 상공인연합회로 변경

댓글 0 | 조회 2,001 | 2011.09.09
재뉴질랜드상공인연합회는 지난 9월 7일 (수요일) 6:30pm Sumo Sushi Restaurant, 55 Albert Street, Auckland City … 더보기

음주운전 재 범자, 새로운 처벌법 촉구

댓글 0 | 조회 1,019 | 2011.09.09
음주운전 재 범자들에 대한 새로운 처벌법을 요구해 주목을 끌고 있다고 뉴질랜드 해럴드 신문이 보도 했다.처벌법 요구의 내용은 운전자의 가족, 주변인, 동 승객도 … 더보기

럭비 월드컵 Queens Wharf 축제 시간 안내

댓글 0 | 조회 1,739 | 2011.09.09
오늘 9일(금) 오후부터 시작되는 Queens Wharf 럭비 월드컵 축제에 수 천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오늘 오후 3시에 Queens Wha… 더보기

개막행사, 만 2천명만 입장 가능.

댓글 0 | 조회 1,022 | 2011.09.09
9일 있을 시내 퀸스 워프의 럭비 월드컵 개막 행사는 3시에 키 워프 부두 문이 열리면서 입장이 가능하고, 만 2천 명이 입장한 이후에는 더 이상 입장을 못하게 … 더보기

세계 글로벌 경쟁력, 뉴질랜드25위

댓글 0 | 조회 2,190 | 2011.09.09
세계 글로벌 경쟁력 평가에서 뉴질랜드는 몇 단계 떨어진 25위에 올랐다고 뉴질랜드 해럴드 신문이 오늘8일(목) 보도 했다. '다보스 포럼'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경… 더보기

천연 건강제품 법안 의회 상정

댓글 0 | 조회 2,268 | 2011.09.09
뉴질랜드 ‘천연건강제품 법안’(Natural Health Products Bill)이 지난 7일(수) 의회에 상정됐다. 이 법안은 양질의 천… 더보기

Relaunch of the Z Energy Wilding Park Tennis …

댓글 0 | 조회 777 | 2011.09.09
The country’s largest tennis centre in Christchurch will be known as the Z Energy Wilding … 더보기

마약 소탕작업으로 300명 이상 체포

댓글 0 | 조회 871 | 2011.09.09
경찰의 전국적인 마약 거래소 소탕 작업으로 300명이상이 체포 됬으며, 마약, 대마초, 현찰 및 총포류가 압수 되었다.2달 동안의 검거작전이 모두 12개 경찰 지… 더보기

몸속에서 터진 마약으로 인해 사망한 여성

댓글 0 | 조회 1,262 | 2011.09.09
위장에 오 백 그람 정도의 마약을 넣고 만 킬로 미터를 날라온 콜롬비아의 한 여성이 배 속에 넣은 스물 여섯 개의 봉지 중 한 개가 터지면서 오클랜드 병원에 들어… 더보기

지진으로 사망한 4명 신원 불확인으로 종료

댓글 0 | 조회 939 | 2011.09.09
크라이스트처치의 2월의 지진으로 CTV 건물에서 사망한 4명의 신원이 영원히 확인되지 않을 것 같다. 골던 마탱가 수석 검시관 직무대리 와 마크 해리슨 경찰 조사… 더보기

9일, 개막식 시민들 많이 모일 듯

댓글 0 | 조회 1,161 | 2011.09.09
9일(금) 오후부터 시작될 럭비 월드컵 개막 행사에 대비하여 시내 지역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3시 30분 이전에 도심 지역을 비워줄 것으로 요청받은 것으로 알려졌… 더보기

여성회 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댓글 0 | 조회 2,400 | 2011.09.08
재뉴한국여성회는 뉴질랜드 한인변호사협회협찬으로 재뉴한국여성회 제4차 법률포럼을 지난 9월 3일 (토) 한인회관 (2 Shea Tce Takapuna)에서 많은 사… 더보기

염태민선수, North Island 유도대회에서 좋은 성적 거두어

댓글 0 | 조회 2,186 | 2011.09.08
하종호 교민(현, 뉴질랜드 유도국가대표 코치겸,심판)이 활동한 지난 9월 3/4일 웰링턴에서 열린 North lsland 유도 챔피언쉽 대회에서 한국교민 염태민 … 더보기

경제,재건사업,복지제도가 차기정부의 주요과제 될듯.

댓글 0 | 조회 850 | 2011.09.08
존키 수상은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경제의 운영, 크라이스트처치의 재건 사업, 복지제도의 개혁 등이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될 것 이라고 언급하면서, 다음 3년동안… 더보기

집에서 뱀기른 남자 감옥형

댓글 0 | 조회 1,224 | 2011.09.08
집에서 살아있는 뱀을 기른 한남자가 4개월 의 감옥형에 처해졌다.38세의 나탄 부시 씨는 팔머스톤 북부 지방법원 에서 뱀 한마리를 불법으로 취득한 죄를 인정했다.… 더보기

9일 럭비월드컵 개막행사 수 만명의 시민들 모일듯.

댓글 0 | 조회 1,411 | 2011.09.08
9일 워터 프론트에서 럭비 월드컵 개막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수 만 명의 럭비팬과 시민들 그리고 관광객들이 모여 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오클랜드 카운실은 사상 … 더보기

반기문총장, 여성 정치인 진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

댓글 0 | 조회 1,012 | 2011.09.08
16개 회원국 중 14개 국가들의 정상이 참여하고 있는 남테평양 포럼에 특별히 참가하고 있는 반 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남태평양 지도자들에게 더 많은 여성 정치인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