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우호증진의 세월 한-뉴 수교 50년

[독자기고] 우호증진의 세월 한-뉴 수교 50년

0 개 2,133 KoreaPost
한-뉴 관계 50년은 한국이 격동의 세월을 겪었던 시기와
일치한다. 뉴질랜드는 한국을 위해 많은 것을 베풀었고 우리는
이곳에 이주해 와 살고 잇다. 양국의 발전을 위하여……

한민족의 역사상 지난 반세기 동안만큼 엄청난 변화를 수반 했던 시기는 없었다. 그 변화의 중심에 우리가 생애를 살아왔고 한-뉴 관계가 계속되어 왔으며 한국을 떠나 뉴질랜드에 살고 있음은 보통 우연한 일이 아니다.

조선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에도 호주나 뉴질랜드는 한국인으로부터 머나먼 남쪽 나라에 불과했다. 그러나 뉴질랜드는 한국 정부가 수립되자 우방으로서 1949년에 한국 정부를 공식 승인해주었고 1950년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UN의 결의에 따라 연 6천명의 병사를 파병해주었다.

1962년까지 뉴질랜드 거주 한국인은 거의 없었다고 본다. 다만 1953년에 당시 한국은행 국고 부장이었던 한상원 씨가 6개월간 뉴질랜드에 파견되어 중앙은행 제도를 연구하고 돌아갔고 1950년대 중 후반에 걸쳐 7명의 한국 간호사들이 뉴질랜드에 와서 연수를 마치고 돌아간 일이 있을 뿐이었다.

1962년 2월에는 6살 된 김성미가 양녀로 입양되어 웰링턴 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그 때까지 뉴질랜드에 있던 한국인은 50여명이었으나 거의 모두가 원양어선 선원으로 임시 체류자들이었다. 1962년 3월 26일에 한-뉴 외교관계가 수립되었다. 당시는 5.16 이후 군사정권 시절에 경제발전을 최우선의 과제로 추진하던 때였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에 따라 뉴질랜드와도 기술협력, 통상 증진의 길을 모색하게 된 것이다.

1960년-70년대의 한국은 절대빈곤으로부터 탈출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었다. 국가 발전을 위해선 무엇보다도 선진 기술을 습득한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한 때에 뉴질랜드 정부가 콜롬보 플랜에 의한 전액 장학금으로 한국의 인재를 육성해준 일은 어느 원조보다도 값진 것이었다. 1988년 콜롬보 플랜이 종료될 때까지 263명의 한국 유학생들이 장·.단기로 연수를 마치고 돌아간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1967년 7월에 한-뉴 무역, 경제, 기술 협력 협정이 체결되었다. 1968년 9월과 10월에는 박정희 대통령과 뉴질랜드의 Holyoake 총리가 상호 교환 방문을 하였다. 이를 계기로 1968년 10월에 한-뉴협회가 창립되었으며 뉴질랜드 총리 방한을 환영하는 리셉션을 코리아하우스에서 베풀기도 했다.

1971년 6월과 7월에는 주한 뉴질랜드대사관과 주뉴 한국대사관이 개설되었다. 당시 뉴질랜드는 전 세계 두 번째 가는 부자 국가였으며 뉴질랜드의 농·축 산업은 엄청난 흑자를 기록해 1973년 9월의 뉴질랜드 1달러는 1.48 US달러에 이르렀다. 1950년대 이래 뉴질랜드의 경제 호황의 계기는 한국전쟁이 기여하기도 했다. 전쟁 당시 폭발적인 양모 수요와 가격 폭등으로 뉴질랜드 양모 산업이 비약적으로 번창한 것이다.

1973년 10월에는 오클랜드무역관이 개설되었다. 1970년 초만 하더라도 한-뉴 총 무역 규모는 200만 달러에도 미치지 못했는데 2006년도에 이미 25억 달러가 넘도록 성장했으며 상품 교역 외에 관광객, 유학생까지 감안하면 한국은 무시할 수 없는 뉴질랜드의 경제 파트너가 되었다.

1972년부터 한국인은 뉴질랜드 녹용 산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당시 사슴 고기를 독일로 수출하기는 하였지만 녹용이나 다른 부산물은 폐기물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폐기물이 한국인에 의하여 상품화되었고 뉴질랜드 녹용 총 수출량의 절반을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1974년 10월에는 재뉴 한인회가 웰링턴에서 창립되었다. 1991년부터는 각 지역한인회가 태동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인회창립 당시 대사관, 무역관 직원과 그 가족 및 원양어선 선원, 유학생 등 장·단기 체류자를 포함하여 70명 정도의 한인 구성원이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1988년도에 뉴질랜드 정부의 투자이민에 의한 유색 인종에 대한 이민 문호 개방, 1992년도의 일반이민 제도 시행으로 한인 인구는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2001년부터 장기사업비자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더욱 한인 사회가 팽창하여 한 때는 4 만여 명에 이르렀다. 오늘날에는 3만 여명의 한인으로 뉴질랜드 한인 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한인들은 1976년부터 한국 태권도를 뉴질랜드에 보급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뉴질랜드 태권도 협회장도 한인이 맞고 있다. 이진명(Danny Lee), 고보경(Lydia Ko) 등 세계적인 뉴질랜드 골프 선수를 배출한 것도 한인 사회이다. 또한 전세계 한민족 체전에서 뉴질랜드 한인 팀이 연속 2연패를 달성하여 중국, 미국, 일본 등 거대 한인사회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기도 했다.

오늘날 한국은 세계 경제 10대 강국으로 성장하였다. 뉴질랜드 한인 사회는 한국과 뉴질랜드의 교역, 관광, 교육, 문화교류의 첨병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양국의 공동 발전을 위해서 기여할 일이다.


한 일 수 (경영학 박사/칼럼니스트)

오클랜드 항구 노조와 재소통 원해

댓글 0 | 조회 897 | 2012.04.16
오클랜드 항구측은 항구와 노조사이의 소통을 위해 이번주 초 고용관계 기관에 신청서를 정식으로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구측은 협상이 지난 9월 시작된 이래 회사… 더보기

치치, 임대시장 상황 매우 심각...

댓글 0 | 조회 1,071 | 2012.04.16
믿을 수 없을 만큼 심각한 크라이스트처치의 임대시장 상황이 많은 자포자기한 사람들을 수준 이하의 주거시설에 살도록 내 몰고 있다. 복지수당 수혜자인 레이 안 인치… 더보기

존키 수상, 인도네시아 방문

댓글 0 | 조회 814 | 2012.04.16
존키 수상은 15일 자카르타에 도착했으며, 인도네시아와의 무역을 증진 시키기 위한 임무를 시작한다. 키 수상은 2박 3일의 방문 기간동안, 인도네시아와의 협력을 … 더보기

뉴질랜드, 25-34 세 여성의 노동참여 비율이 가장 낮은 나라

댓글 0 | 조회 849 | 2012.04.16
젊은 세대로서 교육을 받은 뉴질랜드 여성들이 아이들을 돌볼 수가 없어 일자리를 잃고 있다. 많은 대학교육을 받고 훈련된 어머니들이 더욱 융통성있는 직업의 선택으로…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경기 다시 살아나나 ..

댓글 0 | 조회 3,091 | 2012.04.13
오클랜드의 주택 가치가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늘어나면서, 최고치를 보였던 지난 2007년도의 주택 가치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한 해 … 더보기

영화 호빗이 뉴질랜드 관광산업에 큰 활력 줄 수 있어...

댓글 0 | 조회 1,253 | 2012.04.13
빌보 배긴스와 난장이들과 같은 영화 사업이 뉴질랜드 관광 산업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며, 럭비 월드컵 보다 더 많은 관광객들을 뉴질랜드로 유치할 수 있을 … 더보기

GSP시스템 업데이트 안되어 불편...

댓글 0 | 조회 1,208 | 2012.04.13
자동차 길을 안내하는 GSP 시스템을 업데이트하지 않은 운전자들은 새로이 개통되고, 변경되는 모터웨이에서 길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협… 더보기

Fonterra 사, 중국에 1억 달라 투자할 계획...

댓글 0 | 조회 1,089 | 2012.04.13
Fonterra 사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중국에 농장의 중심부를 건설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헤베이 주에 두개 이상의 농장 설립을 위해 1억 달러를 투자할 … 더보기

청각장애인, 자막없는 DVD에 소외감 느껴..

댓글 0 | 조회 878 | 2012.04.13
청각 장애인 협회의 회원들은 영어 자막이 없는 뉴질랜드 현지에서 제작된 DVD 에 대해 소외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청각장애인 국회의원 모조 마더씨는 대부분의 DV… 더보기

수영 중 실종된 피지인, 계속 찾고 있는 중

댓글 0 | 조회 847 | 2012.04.13
약 60여명의 사람들이 지난 8일 타라루아 해변가에서 실종된 한 피지남자에 대한 수색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에로니 씨는 북섬 남부의 아키티오 비치 앞바다에서 2… 더보기

AFFCO 육류 회사와 육류 노조 중재 협상 실패

댓글 0 | 조회 861 | 2012.04.13
12일 있었던 AFFCO 육류 회사와 육류 작업자 노조 사이의 중재 협상이 실패했다. 작업자들은 13일부터 지난 2월 처음으로 공장이 작업자들에게 폐쇄된 이후 가… 더보기

오클랜드 항구와 노조 중재 협상 실패..

댓글 0 | 조회 776 | 2012.04.13
오클랜드 항구와 해양노조의 최근의 중재 협상이 다시 실패했다. 항구측과 노조는 작년 11월부터 노임과 직업의 안전성 문제로 싸움을 벌여왔다. 양측은 12일 예정된… 더보기

레나호 구조 잠수부, 컨테이너 와인 마셔 해고

댓글 0 | 조회 850 | 2012.04.13
타우랑가 근해에 좌초된 레나호 선박에서 화물구조 작업을 하던 2명의 잠수부들이 선박 컨테이너 안에 들어있던 와인을 마셨다가 해고됐다고 뉴질랜드 언론이 보도 했다.… 더보기

뉴질랜드 망명 포기, 중국인 10명 호주에 망명

댓글 0 | 조회 944 | 2012.04.13
뉴질랜드로 망명을 하기 위해 배를 타고 뉴질랜드로 향해 오던 중국인 10명이 기항 중인 호주 다윈에서 호주 정부와 망명 절차를 논의하고 있다고 뉴질랜드 언론이 밝… 더보기

타카푸나 T.N.I.S 한국 학교와 자매 결연

댓글 0 | 조회 1,097 | 2012.04.12
타카푸나에 위치한 Takapuna Normal Intermediate School(T.N.I.S)과 한국, 호연초등학교가 자매결연을 체결 했다. 한국을 방문한 T… 더보기

소수민족청 주최,한인청소년 진로포럼 4월 19일에 개최.

댓글 0 | 조회 978 | 2012.04.12
뉴질랜드 소수민족청의 주최, 한인청소년 진로포럼이 오는 4월 19일에 개최된다. 오클랜드 지역 한인 청소년들의 진로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 교환과 네트워크 형설을… 더보기

[멜리사 리] 악덕 사채업자 근절

댓글 0 | 조회 1,336 | 2012.04.12
저는 소수민족부 정무차관으로서 정부와 함께 민족 공동체(ethnic communities)의 요구에 부응하는 ‘공공부문’(Public Sec… 더보기

치밀하였던 ATM사기, 에포스 기계를 교체해..

댓글 0 | 조회 1,363 | 2012.04.12
카드 사기 사건의 피해자들은 범인들이 조작해놓은 키패드에 자신의 비밀 번호를 사용하면서 눈앞에서 비밀 번호를 범인들에게 노출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약 7백 명의… 더보기

유급 출산 휴가 개정안, 국민당 거부권 행사 할 듯..

댓글 0 | 조회 833 | 2012.04.12
국민당은 노동당의 유급 출산 휴가 연장에 대한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노동당의 비난이 강할지라도 이 법안에 대하여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빌 잉글… 더보기

개 키우는 등록비용 인상 얼마나 낮춰질까?

댓글 0 | 조회 1,475 | 2012.04.12
개를 키우는 등록비용을 올리려는 오클랜드 카운실의 방침이 일반 시민들의 큰 반대에 부딪혀 다시 내려갈 것으로 알려졌다. 카운실은 개 등록 비용으로 디섹스된 개의 … 더보기

레지오넬라 급성폐렴, 최근에 급증..

댓글 0 | 조회 1,033 | 2012.04.12
수천곳의 오클랜드 사업장이 레지오넬라 급성폐렴의 발생을 막기위해 냉방 시스템을 관리할것을 요구 되고 있다. 몇주전 레지오넬라 급성폐렴이 발병한 후 12명이 감염되… 더보기

중국 투자 원한다면, 뉴질랜더 시각 바꿔야..

댓글 0 | 조회 813 | 2012.04.12
한 국제무역 전문가는 뉴질랜드인들의 중국이 이끄는 해외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에 대해 따끔한 경고를 하고 있다. 뉴질랜드 인터내션날 비즈니스 포럼의 회장인 스테… 더보기

조임쇄 분쟁, 차 소유주 승소..

댓글 0 | 조회 756 | 2012.04.12
차량의 바뀌에 조임쇄를 채우는 회사와 분쟁 재판소로가 승소한 한남자가, 정부는 이러한 산업을 통제할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랜 비커리 씨는 남부 오… 더보기

은행의 작은 고장으로 ACC 지급금 지연..

댓글 0 | 조회 764 | 2012.04.12
4000건 이상의 청구인들에게 지불되는 ACC 지급금이 웨스트팩 은행의 작은 고장으로, 은행을 통한 수천건의 야간 지불이 지연 되었다. 웨스트팩은 현재 이러한 지… 더보기

주택 구입 가입성을 악화시키는 도시제한..

댓글 0 | 조회 736 | 2012.04.12
한 생산성 위원회 보고서는 엄하게 적용되는 도시제한을 통해 도시의 규모를 억제하려는 시티 카운실이 주택 구입가능성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에서 지명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