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같이 만나는 사진 속의 인물(Ⅱ)

매일 같이 만나는 사진 속의 인물(Ⅱ)

0 개 2,979 Koreapost
한박사님.jpg

이민 초기에 뉴질랜드 남 섬의 북쪽 끝에 위치한 넬슨을 방문한 적이 있다. 넬슨 칼리지에서 국제적인 모임이 있었는데 그 칼리지를 가는 길에 러더퍼드(Rutherford)라는 도로 이름이 나왔다. 또한 넬슨칼리지에는 러더퍼드 동상이 있다. 러더퍼드가 넬슨 칼리지 출신이라는데 대해 이 학교 출신들은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다른 키위가 설명해주었다. 러더퍼드가 어떤 인물이기에……

100달러.jpg

스웨덴의 화학자 겸 발명가였던 노벨(Alfred Bernhard Nobel)의 유언에 따라 1896년에 노벨재단이 설립되었고 노벨의 사망일인 12월 10일을 기해 매년 노벨상을 시상하고 있다. 노벨상은 수상자는 물론 수상자의 국가에 최고의 영예를 안겨주고 있다. 세계평화,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문학, 경제학의 6가지 분야에서 세계인류에 이바지한 인물을 매년 선정하여 시상한다.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은 화학, 물리학, 생리/의학, 문학, 평화 부문에서 18명의 수상자를 배출했지만 한국은 2000년에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수상한 노벨평화상이 유일하다. 

러더퍼드(Ernest Rutherford, 1871-1937) 박사는 뉴질랜드 넬슨에서 출생하고 캔터베리 칼리지에서 물리학을 배웠다. 1894년 그의 졸업논문에서 발표한 ‘고주파 전류에 의한 철의 자화(磁化)’는 마르코니에 앞선 전파의 검파방식을 보인 주목할 만한 연구였다. 영국 케임브리지에 유학하고 계속 연구를 거듭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우라늄 방사선 연구에서 알파선과 베타선을 발견했다. 이러한 공로로 1908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으니 그 후 100년 이상이 지나도록 한국은 아직까지 학술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전무한 현실과 비교된다. 뉴질랜드 화폐 중 최 고액권인 100달러 지폐에 그의 초상화가 들어 있음은 당연한 일이리라. 뉴질랜드는 러더퍼드 박사 이후로도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여 왔다.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이는 1908년 3월 8일 미국에서 섬유노동자들이 정치적 평등권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한 날을 기념하여 정한 날이다. 19세기 들어 영국과 미국에서 여성의 선거권 쟁취 투쟁이 있었으나 전국적인 차원에서 여성 선거권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는 뉴질랜드로 1893년의 일이다. 

케이트.jpg

세계 최초, 최고인 업적을 이루는 것은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가치를 창출해내는 것이 된다. 뉴질랜드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한 일은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민주주의의 종주국인 영국이 1918년에, 미국이 1920년에야 여성 투표권이 실시되었음을 볼 때 뉴질랜드가 얼마나 선진 국가였나를 짐작할 수 있다. 

뉴질랜드 10달러 지폐에 등장하는 케이트 셰퍼드(Kate Sheppard, 1848-1934)는 19세기 말에 뉴질랜드 전국 부인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이 되었다. 1888년부터 여성의 투표권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작성하여 여성들의 서명을 받아 의회에 제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모든 역사적인 일들이 한 번에 쉽게 이루어질 리는 만무하다. 서명자의 수를 계속 늘려가면서 세 번에 걸쳐 의회의 문을 두드렸지만 실패하였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3만 2천 명의 서명을 받아 다시 제출한 결과 1893년 9월에 의회에서 가까스로 여성에게 투표권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에 이르렀다. 3만 2천명의 서명은 당시 여성 인구 중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절대적인 비율에 해당한다. 

뉴질랜드는 와이탕이(Waitangi) 조약이 체결된 이래 174년 동안 선주민(先住民)이었던 마오리 족과 평화적으로 공존하며 다른 신대륙의 경우와는 다른 융합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미국이 원주민이었던 아메리칸 인디언, 호주가 애보리진들을 배타적으로 따돌리고 나라를 건설했던 경우와 비교된다. 
뉴질랜드의 50달러 지폐에 마오리 지도자였던 아피리나 느가타(Sir. Apirina Turupa Ngata)의 사진이 실려 있다. 그는 마오리 족 중 처음으로 정규 대학을 졸업하였고 1905년에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세 차례에 걸쳐 장관을 역임하였다. 또한 조사와 저술활동을 통하여 마오리 족의 정착과 권익신장 등을 위한 업적을 쌓아 나갔다. 

지폐에 여성의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한국에서는 최근에야 5만 원 권을 발행하면서 신사임당의 인물 사진이 등장했을 정도이다. 그러나 뉴질랜드에서는 영국 여왕은 차치하더라도 일찍부터 케이트 셰퍼드가 지폐의 인물로 채택되었다. 뉴질랜드다운 일면을 보는 것 같다. 

한 일 수 (경영학박사, 전 뉴질랜드한인사 편찬위원장)

KOWIN NZ 2014 정기세미나 개최.

댓글 1 | 조회 1,258 | 2014.06.28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뉴질랜드지부에서는7월12일(토요일)에 전문상담사를 초빙하여“부모들의 건강한 삶,자녀들의 성공적인 생활”의 제목으로2014년 정기세미나를 개최… 더보기

‘커뮤니티 인턴십 프로그램’ 신청 접수

댓글 0 | 조회 1,765 | 2014.06.27
지역사회 단체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2015 커뮤니티 인턴십 프로그램’ (Community Internship Programme. CIP) 접수가 시작됐다. 커… 더보기

와이카토 “홍역 계속 더 유행하고 있다”

댓글 0 | 조회 1,968 | 2014.06.27
해밀턴을 중심으로 한 와이카토 지역에서 홍역(measles)이 계속 유행하고 있어 지역 보건 당국이 주민들에게 더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지난달부… 더보기

“식품의 건강 유익 수준 알려주는 별 표시 등급제 실시된다”

댓글 0 | 조회 1,279 | 2014.06.27
포장식품이 건강에 얼마나 유익한가를 나타내주는 별 표시 모양의 등급제도가 국내에 도입된다. 6월 27일(금) 니키 카예(Nikki Kay) 식품안전부(Food S… 더보기

국민당 “전당대회서 세금감면 발표 안 하겠지만…”

댓글 0 | 조회 1,259 | 2014.06.27
국민당이 9월 총선을 앞두고 이번 주말에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세금감면과 관련된 정책을 발표하지는 않겠지만 선거운동 기간 중에는 이에 대한 정책을 발표할 가능성도 … 더보기

New drug detector dog for Auckland Airport

댓글 0 | 조회 1,098 | 2014.06.27
Customs Minister Nicky Wagner today welcomed the addition of a new drug detector dog at Au… 더보기

뉴질랜드의 톱 호텔 및 휴양 아파트는 어디?

댓글 0 | 조회 2,195 | 2014.06.27
180,000명 이상의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평가한 뉴질랜드의 톱 호텔 및 휴양 아파트가 발표되었다. 여행 사이트인 Wotif 가 발표한 가장 좋은 10곳의… 더보기

퀸스타운에 컨벤션 센터 건설하는 계획 진행..

댓글 0 | 조회 995 | 2014.06.27
퀸스타운 시의원들이 도시의 상업 중심지에 컨벤션 센터를 건설하는 계획을 진행시키기로 투표했다 공개 회의에서 5300 만 달러의 이 시설물에 대한 계획이 근소한 차… 더보기

타우랑가 항구 10년 협정으로 큰 선박 수용 가능..

댓글 0 | 조회 1,457 | 2014.06.27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항구가 하나의 주요한 수입-수출 협정을 발표했으며 수출의 빠른 운반을 확실시 할 것 이라고 말했다 타우랑가 항구는Fonterra 와 Silv… 더보기

111 구조전화 건 장소 정확히 알아낼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중.

댓글 0 | 조회 1,062 | 2014.06.27
111 응급 서비스에 구조전화를 건 장소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발 중이다. 111 응급 서비스는 부족한 정보로 인해 누가 전화를 했는지 알… 더보기

대부분 뉴질랜드인 Team NZ에 더 많이 보조하는 것 원치 않아.

댓글 0 | 조회 1,136 | 2014.06.27
One 뉴스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뉴질랜드인은 내년도 아메리카 컵을 대비하여 Team NZ에 더 많이 보조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2%… 더보기

NZ함정 “‘하와이 진주만 입항한다”

댓글 0 | 조회 1,287 | 2014.06.26
그동안 미국 군항에 기항이 불가능했던 뉴질랜드 군함이 하와이의 진주만에 기항하게 됐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환태평양 합동군사 훈련인 ‘림팩(Rimpac)’에… 더보기

낙석으로 또 막힌 남섬의 국도 6호선

댓글 0 | 조회 1,027 | 2014.06.26
최근 내린 집중호우로 대규모 낙석이 발생해 남섬 오타고 지역의 국도 6호선 중 일부 구간이 다시 통제되고 있다. 도로관리 당국인 NZTA에 따르면, 6월 26일(… 더보기

“독특한 얼굴 문신한 강도범을 잡아라”

댓글 0 | 조회 1,633 | 2014.06.26
한 지역 병원의 부속 예배당에 침입해 담당 목사에게 상해를 입히고 도주한 강도를 경찰이 뒤쫓고 있다. 6월 26일(목) 아침, 타라나키 베이스 병원의 예배당의 사… 더보기

경찰 추격 받던 오토바이 운전자 사망

댓글 0 | 조회 1,518 | 2014.06.26
경찰의 추격을 받던 2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다른 차량과 충돌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6월 26일(목) 정오 무렵 크라이스트처치의 동쪽 해변 마… 더보기

북섬 남부 지역에서 2차례 지진 발생

댓글 0 | 조회 1,537 | 2014.06.26
6월 26일(목) 아침부터 북섬 남단 지역에서 두 차례 지진이 발생해 주민들이 크게 놀라기는 했으나 아직까지 별다른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아침 7시… 더보기

북쪽지역 Local Board Plan에 대한 설명회 개최.

댓글 0 | 조회 1,361 | 2014.06.26
Upper Harbour local board, Kaipatiki local board, Devonport-Takapuna local board에서 Local B… 더보기

Bowel cancer detected in 160 people through s…

댓글 0 | 조회 1,171 | 2014.06.26
New data shows that more than 160 people who have taken part in the Waitemata bowel screen… 더보기

재정 흑자 약속하며 노동당 대안 예산 공표.

댓글 0 | 조회 888 | 2014.06.26
뉴질랜드의 고소득자들이 향후 노동당 정부하에서는 세금 인상에 직면한다 데이빗 컨리프 노동당 당수와 그의 재정 대변인 데이빗 파커는 어제 25일 재정 흑자를 약속하…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카운실 주택 보유세 평균 7.5% 인상.

댓글 0 | 조회 1,148 | 2014.06.26
7월 1일부터 크라이스트처치 카운실은 주택 보유세를 평균 7.5% 인상하기로 결정하였고2014/15년도 총 세입 계획은 3억5천백8십만 달러이다. 주택허가서비스 … 더보기

불법 설치된 가스 스토브에 화재 사망- $5000불 배상금 판결.

댓글 0 | 조회 1,355 | 2014.06.26
주방에 불법으로 설치된 가스 스토브에 화재가 나면서 세입자가 사망한 사건과 관련하여 집 주인에게 6개월의 가택연금과 $5,000 불의 배상금 판결이 내려졌다. 지… 더보기

경찰차 많은 수가 노후하고 WOF에도 통과하지 못해

댓글 0 | 조회 1,293 | 2014.06.26
경찰차 중에서 많은 수가 노후하였고 주행거리가 길며 WOF에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현재 71대는 WOF에 통과하지 못하였고 차량 3,167대의 … 더보기

존 키 수상의 전기 26일 오전 출간

댓글 0 | 조회 760 | 2014.06.26
비공식적인 존 키 수상의 전기가 오늘 26일 오전 출간된다 존 키 수상의 전기는 뉴질랜드 작가 존 러컨에 의해 쓰여졌다. 존 키 수상은 NZ Herald 와의 인… 더보기

겨울철 도로의 살인자 “블랙 아이스 조심!”

댓글 0 | 조회 2,287 | 2014.06.25
6월 24일(화) 아침에 크라이스트처치 인근에서 사망자가 발생한 교통사고의 원인이 빙판길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운전자들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크… 더보기

데어리 10대 초반 강도범들 재판 열려

댓글 0 | 조회 1,778 | 2014.06.25
지난 6월 10일 서부 오클랜드의 핸더슨에 있는 한 데어리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에 대한 공판이 6월25일(수) 아침에 열렸다. 당시 사건은 소년 두 명이 금품을 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