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바마, “양국 관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키-오바마, “양국 관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0 개 1,312 서현
사본 -5540772-3x2-700x467_1[1].jpg
r[1].jpg
미국을 공식 방문한 존 키 뉴질랜드 총리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의 우호관계를 재확인했다.

 

키 총리와 오바마 대통령은 6 20(, 미국 현지시간) 백악관 내의 오벌 오피스에서 80분간에 걸친 회담을 가졌으며 양국 정상은 주로 미국 주도의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 후 키 총리는 양국 관계가 이보다 더 좋아질 수는 없을 것이다라는 표현으로 더욱 돈독해진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우호관계에 만족감을 나타냈는데, 두 사람은 지난 연초에도 하와이에서 휴가 중 동반 골프를 즐긴 바 있다.

 

이처럼 두 정상이 가까워진 데는 1961년 생으로 나이는 물론 생일도 각각 8 4(오바마) 8 9()로 비슷할 뿐만 아니라, 지난 2008 11월에 오바마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 그리고 존 키는 이때부터 총리로 처음 업무를 시작했던 개인적 인연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번 만남에서도 키 총리는 오바마 가족을 위해 뉴질랜드 산으로 ‘Untouched World’ 상표가 달린 양모 스웨터들을 선물했으며 오바마는 자신의 친필 사인이 새겨진 골프채(퍼터)와 골프공을 선물했는데, 오바마 대통령은 임기가 끝나는 2016년 말 이전에 뉴질랜드 방문을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방문 길에 키 총리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과도 점심을 같이 하며 환담을 나눴으며 현재 유엔에서 일하고 있는 헬렌 클락 전 뉴질랜드 총리와도 만남을 가졌다.

 

방미 초에 9.11 테러 현장도 찾았던 키 총리는 나중에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6 17() 클린턴 전 대통령이 즐겨 찾는 식당에서 그를 만났으며 클린턴 전 대통령이 뉴질랜드에 대해 아주 긍정적이었다는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사본 -john_key_and_bill_clinton_E1[1].jpg

 

사본 -john_key_and_bill_clinton_E1[1].jpg
키 총리의 이번 방미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뉴질랜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상임 이사국에 선출되도록 하는 것이었는데, 현재 이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나라는 터키와 스페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목적에 따라 키 총리는 현재 유엔의 서열 3위 자리인 유엔개발기구(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의 대표인 클락 전 총리도 만났는데, 클락 전 총리는 당시 만남에서 뉴질랜드의 투표 승리 전략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며 현재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라크 사태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키 총리와 오바마 대통령 간의 회담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됐는데, 키 총리는 테러에 대항하고 또한 이라크 정부의 요청이 있다면 미국이 이라크 반군을 공습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맑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전해 들은 뉴질랜드의 녹색당은 이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공습은 국제법과에 의해 허용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이 없는 한은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해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이란?
TPP(Trans-Pacific Partnership or 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 또는 환태평양전략적경제동반자협정이라고도 불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의 통합을 목적으로 2005 6월 뉴질랜드, 싱가포르, 칠레, 브루나이 4개국 체제로 출범한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으로, 2006 1월까지 회원국간 관세의 90%를 철폐하고, 2015년까지 모든 무역 장벽을 철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협정에는 상품 거래, 원산지 규정, 무역 구제조치, 위생검역, 무역에 있어서의 기술 장벽, 서비스 부문 무역,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및 경쟁정책 등 자유무역협정의 거의 모든 주요 사안이 포함되어 있다. 2008 2월 미국이 이 협정에 참여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였고, 그해 8월 호주, 베트남, 페루가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2010 10월 말레이시아가 참여를 선언하였다. 2010년 현재 협상을 벌이고 있는 다섯 나라 외에도 캐나다, 일본, 필리핀, 대만, 한국 등이 협정 참여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TPP
는 창설 초기 그다지 영향력이 크지 않은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이었으나 미국이 적극적으로 참여를 선언하면서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TPP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통합에 있어 가장 강력한 수단이며,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과 미국을 연결해 주는 고리라고 평가한 바 있다. 미국이 적극적으로 협정 가입을 추진하고, 아시아 국가들의 동참을 유도하고 있는 것은 눈부신 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크게 작용한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발췌>




CHCH 지진 기념물 “에이본 강변에 설치된다”

댓글 0 | 조회 829 | 2014.07.13
지난 2011년 2월 22일에 발생했던 크라이스트처치 지진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장소와시설물이 시내 중심부를 흐르는 에이본 강가에 설치된다. 제… 더보기

KOWIN NZ 2014 정기세미나 성공적으로 개최.

댓글 0 | 조회 1,227 | 2014.07.13
한민족여성네트워크 뉴질랜드지역본부(회장 오미경)는 7월12일에 “부모들의 건강한 삶, 자녀들의 성공적인 생활”에 대한2014년 정기세미나를 Takapuna의 SM… 더보기

노스랜드 “폭풍과 집중호우로 만신창이”

댓글 0 | 조회 3,191 | 2014.07.12
북섬 북부지역을 강타한 폭풍우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12일 아침부터 날이 개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피해 조사와 복구가 시작됐다. 노스랜드의 푸히푸히 … 더보기

오클랜드, 정전사태로 주민들 불편

댓글 0 | 조회 2,322 | 2014.07.12
강한 북동풍이 부는 가운데 집중호우로 인해 오클랜드 지역에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전력공급사인 벡터(Vector) 관계자에 따르면… 더보기

너무도 아쉽게 끝난 타스만 카약 횡단

댓글 0 | 조회 1,768 | 2014.07.11
뉴질랜드 해안에 거의 도착해 성공한 것처럼 보였던 타스만 해협 단독 카약 횡단이 악천후 속에 아쉽게도 좌절됐다. 뉴질랜드 해사 당국에 따르면 7월11일(금)에 스… 더보기

“작년, 남성 141, 여성 5명 테이저건에 맞았다”

댓글 0 | 조회 2,627 | 2014.07.11
2013년 한 해 동안 경찰이 모두 141명의 남성과 5명의 여성에게 고압방전총(테이저건)을 발사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자료는 최근 경찰이 한 남성에게 불법… 더보기

“NZ 찾아 오는 혹등고래 늘어났다”

댓글 0 | 조회 1,266 | 2014.07.11
뉴질랜드 인근을 경유하는 혹등고래(humpbac)의 숫자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사실은 매년 남섬과 북섬 간에 놓인 쿡 해협에서 이때쯤에 새끼… 더보기

The Baby Show is back from 22 to 24 August 20…

댓글 0 | 조회 1,528 | 2014.07.11
The Baby Show is back at Auckland’s ASB Showgrounds from 22 to 24 August 2014 with a huge … 더보기

창작 산업, 지역 경제에 미치는 규모 3억5천만달러 이상

댓글 0 | 조회 1,063 | 2014.07.11
매년 창작 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규모가 3억5천만달러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WeCreate.org.nz 에 따르면 책, 음악, TV, 영화분야는 산림업… 더보기

노스랜드 범죄 집중 단속 기간중 30명 구속..

댓글 0 | 조회 1,280 | 2014.07.11
노스랜드의 범죄 집중 단속 기간인 지난 두 달 동안 30명이 넘는 마약, 절도 사범이 구속되었다. 카이코헤, 다가빌, 오포노니 오마페레를 포함한 단속 지역에서 체… 더보기

모든 수입 차량, 전자식 안전성 제어장치 도입될 예정

댓글 0 | 조회 1,952 | 2014.07.11
모든 수입 차량에 전자식 안전성 제어장치(electronic stability control)가 도입될 예정이다. 도로 안전 전문가들은 안전벨트 이후 가장 확실한… 더보기

노동당이 승리한다면 전력회사들 수억달러....

댓글 0 | 조회 1,422 | 2014.07.11
만약 노동당이 다가 오는 선거에서 승리하면 소비자들의 전기사용료를 줄이기 위해 전력 회사들이 수억 달러를 사용해야만 할것 같다 노동당은 개당 $170 의 비용이드… 더보기

신형 보잉 787-9 기 오늘 11일 오클랜드에 도착 예정.

댓글 0 | 조회 1,277 | 2014.07.11
에어 뉴질랜드가 신형 보잉 787-9 기를 뉴질랜드로 가져오고 있다 보잉 787-9 기는세계에서 가장 첨단 기술의 상용 항공기로 불리고 있으며, 더욱 운영비가 저… 더보기

많은 사람이 호텔과 모텔, 백패커, 할리데이 파크에 머물어..

댓글 0 | 조회 1,625 | 2014.07.11
뉴질랜드 통계청은 다욱 많은 사람들이 호텔과 모텔, 백패커, 할리데이 파크에 머물고 있다고 발표하면서야간 숙박 통계치는 증가를 지속하고 있으며, 새로운 최고치에 … 더보기

폭풍우 속에 일어난 기적과 새 생명 탄생

댓글 0 | 조회 1,626 | 2014.07.10
뉴질랜드의 북부지방이 폭풍우로 큰 피해를 본 가운데 한 여성이 나무에 깔려 큰 일을 당할 뻔 했으나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졌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7월 9일… 더보기

헬멧을 흉기로 쓴 오토바이 운전자

댓글 0 | 조회 1,392 | 2014.07.10
교통위반을 단속하던 경찰관을 헬멧으로 폭행하던 오토바이 운전자가 법정에 출두했다. 이번 사건은 남섬 더니든의 시내 중심가에서 7월 9일(수) 밤 9시 50분경에 … 더보기

CHCH, 3만 가구 정전 “원인은 미스터리”

댓글 0 | 조회 990 | 2014.07.10
무려 3만에 달하는 가입자에게여러 시간 동안 전기공급이 끊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전력회사가 명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주로 크라이스트처치 북부와 북서부를 … 더보기

노스랜드 경찰, 범죄조직 소탕작전 벌여 30명 이상 체포

댓글 0 | 조회 1,174 | 2014.07.10
노스랜드 경찰이 2개월에 걸쳐 관할지역의 범죄 조직에 대한 소탕작전을 벌여 30여명 이상을 체포한 것으로 전해졌다. 7월 10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카이… 더보기

북섬 지역, 곳곳에서 교통사고 빈발

댓글 0 | 조회 1,325 | 2014.07.10
7월 10일(목) 하루 동안 북섬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4명이나 목숨을 잃는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빈발했다. 각 지역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후 나절에만 각기 다른 … 더보기

리쿼스토어 종업원 무차별 폭행한 강도들

댓글 0 | 조회 2,039 | 2014.07.10
한 주류판매점에 괴한들이 난입해 종업원을 무차별로 폭행하고 술을 훔쳐가는 모습이 동영상에 고스란히 찍혔다. 사건은 7월 5일(토) 저녁 8시 30분경 오클랜드 남…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택시 요금 가장 비싸...

댓글 0 | 조회 1,509 | 2014.07.10
17개 도시를 대상으로 공항에서 도심까지의 택시 요금을 조사한 결과 크라이스트처치가 가장 비쌌던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핫하우스라는 조사회사는 한 렌탈 회사의 … 더보기

전자 카드 사용한 소매 소비 완만해..

댓글 0 | 조회 1,043 | 2014.07.10
뉴질랜드 통계청은 전자 카드를 사용한 소매 소비가 2014년 6월에는 완만함을 보였다고 말했다 네일 켈리경기 지표 매니저는 6월의 소비가 3개 소비 산업에서는 증… 더보기

폭풍과 관련된 보험금 지급액 7000 만 달러로 최고 기록.

댓글 0 | 조회 1,348 | 2014.07.10
올해들어 6개월 동안 폭풍과 관련된 보험금 지급액이 7000 만 달러로 최고를 기록했다 뉴질랜드 보험 카운실은 주 크레임이 지난 3월에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있었던 … 더보기

외무부 장관의 사임을 요구한 성폭행 피해자 여성.

댓글 0 | 조회 1,496 | 2014.07.10
웰링톤에서 말레이시아 외교관에게 성 폭행을 당한 피해자인 젊은 여성이 머레이 맥걸리 외무부 장관의 사임을 요구했다 말레이시아 외교관인 무하마드 이스마일은 젊은 웰… 더보기

낙상 환자 진통제 처방 받고 집에 돌아간 후 사망.

댓글 0 | 조회 1,849 | 2014.07.10
낙상 환자가 진통제 처방을 받고 집에 돌아간 후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포리루아의 62세 게리 윌셔스트씨는 연마질을 하던 중 돌이 많은 정원으로 떨어졌다. K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