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리사 리] 김치& 폴리틱스

[멜리사 리] 김치& 폴리틱스

0 개 1,674 NZ코리아포스트
음주관련 법안의 개정

폭음을 하는 것이 우리의 문화의 한 자리로 자리매김 해 왔지만, 더 이상 지속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폭음으로 인한 피해는 음주를 하는 당사자뿐 만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 친구, 직장 동료와 사회에까지 영향을 줍니다.

음주로 인한 사망률은 매년 1천여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주말 동안 응급 병동을 찾는 환자들 10명 중 7명의 원인은 음주입니다.

음주는 범죄를 불러 일으키기도 합니다. 총 발생하는 범법 행위의 30%가 음주와 관련이 있고, 가정폭력의 34%, 살인의 50% 가량이 음주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절대 무시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만 합니다.

많은 국민 여러분들이 현행되는 음주 법안이 충분히 엄격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해 주셨으며, 우리는 국민 여러분들의 우려에 응답하고자 합니다. 국민당의 음주관련법 개정안은, 법률위원회가 제안한 바 있는 153건의 개정안 중 126건을 부분적, 혹은 전부 적용할 것이며, 그 외의 다른 개정안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우리는 범죄, 무질서, 공공 보건 문제 등 음주와 관련된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것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국민당의 개정안은 피해가 발생하는 비율을 0으로 만들 것이며, 특히 젊은이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력할 것입니다. 개정안은 각 지역마다 그 지역에 상주한 주류 상점의 수, 주류 상점이 위치한 곳, 주류 상점의 개장 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도록 각 지역 사회 별 음주 정책에 대한 힘을 실어줄 것입니다.

또한 부모님들이 자녀들의 음주를 제재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힘을 실어줄 것이며, 미성년자에게 주류를 제공하는 것에 더욱 엄중한 규제를 둘 것입니다. 이 개정안은 책임감 있게 적당한 수준의 음주를 즐기는 사람들과 과음으로 인해 주변에 피해를 수반하는 사람들 간의 균형을 유지시켜 줄 것입니다.

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법무부 홈페이지 www.justice.govt.nz를 이용하시거나 국회 홈페이지 www.beehive.govt.nz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뉴질랜드

한반도를 두 동강 낸 끔찍했던 전쟁이 발발 한지도 벌써 60년이 지났습니다. 뉴질랜드는 한국을 돕자는 유엔의 요청에 가장 빨리 육, 해군을 지원한 국가들 중 하나입니다. 한국의 김양 보훈처장과 대한민국 해군의 두 대표들이 뉴질랜드를 방문해 참전 용사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그들의 노고를 기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김양 보훈처장, 노광일대사, 이병권 해군 준장, 나 그리고 수석 항해사들

저는 김양 보훈처장, Judith Collins 뉴질랜드 보훈장관과 함께 공식 헌화식에 참석했습니다. 주뉴질랜드 대사관, 영사관 대표들과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6.25 전쟁에 참여한 국가 대표들 또한 이번 행사에 참석하였습니다.

 Roger Stanley 한국전 참전 뉴질랜드 재향군인회 해밀턴 지부 회장과 내가 해군 장교 후보생들과 손을 잡고 노래를 부르는 모습.

                Tony Parr 뉴질랜드 해군 준장과 내가 해군함 내 행사에 참석한 모습.


 Judith Collins 뉴질랜드 보훈장관과 김양 한국 보훈처장이 Danny Chung 재뉴질랜드 한국 통일위원회 회장에게 감사의 선물을 받는 모습.

저는 요청에 따라 행사 후의 사회를 맡았으며, 모든 참전 용사들의 화합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해군들은 오클랜드 전쟁 기념 박물관에서 문화 공연과 행진, 훈련 현장 등을 선보였고, 이 행사에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수 백명의 인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6.25 전쟁은 자주 잊혀진 전쟁(Forgotten War)이라고 표현되고 있지만, 한국 해군의 뉴질랜드 방문과 John Key 총리의 한국 방문 등과 함께, 한국과 뉴질랜드의 관계는 어느 때 보다도 끈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Mt Albert 지역 소식

 
Frank씨가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Frank씨 부부의 특별한 날을 함께 축하해 주는 것에 대해 감사의 표현을 하고 있는 모습.

Frank Ryan 씨과 Julie Ryan 씨의 제 50주년 결혼 기념일을 축하합니다. 지금과 같이 이혼이 보편화 된 시대에, 이 부부와 같이 오랜 결혼생활을 지속한 부부의 모습은 정말 아름답습니다.



Mt Albert 기차역
기차역의 터널은 지역 비즈니스와 입주자의 입장에서 다소 걱정거리가 되어 오고 있습니다. 걱정을 해소하기 위해 터널을 발전에 대한 노력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다음달의 Kimchi & Politics 뉴스레터에서 이 터널에 대한 진행사항을 다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로 안전에 대한 사안
이전의 뉴스레터에서, 저는 Kiteniu Avenue와 New North Road 가 교차하는 도로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적이 있습니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경찰은 제가 말씀 드린 교차로에서 교통 사고가 일어난 통계는 없었다고 했지만, 이 교차로가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는 위험한 도로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저는 Mt Albert 지역의 안전을 위하여 오클랜드 시의회와 교통안전기사들과 지속적인 교류를 나누고 있습니다. 그들은 도로 안전을 어떤 식으로 발전 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최근 Grant Gillard씨, Vera Gillard씨와 Gillard 약국 직원들에게 있었던 사고에 대한 정신적 피해에 대해 Mt Albert 지역 비즈니스 공동체가 하나로 뭉쳐 지원을 해 준 모습에 대단히 감사하는 바입니다. 저는 저번에 두 사람을 잠시 만난 적이 있는데, 두 사람은 그 사건으로 인해 큰 충격을 받은 모습 이었으나, 용기 있는 표정으로 다시 예전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기회가 되신다면, 이 두 사람의 가게에 잠시 들러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두 사람은 틀림없이 여러분의 방문에 기뻐할 것입니다.


기대하지 못했던 일을 기대하기
마지막으로, 저는 최근 대만을 방문했는데, 남성 의류 매장에서 Eden Park 럭비 의류 브랜드를 발견했습니다.

저는 최근에 동료들과 함께 대만을 방문하여, Charles Tsai 주웰링턴 타이페이 경제문화사무소 소장을 만났습니다. 대만에서 알게 된 대만의 역사, 문화, 국민들의 통찰력을 가지고 귀국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저를 포함한 방문단의 며칠간의 아주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Mt Albert에 이사 온 새로운 주민들에게 환영의 편지를 보내는 Dolly 와 Juliet.

Mt Albert 사무소
언제든지 원하시는 분은 저의 Mt Albert 사무소에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사무소의 직원은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고, 또한 문의에 대답해 드리는 것을 환영합니다. 우리 사무소는 779 New North Rd, Mt. Albert에 위치해 있으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10시~오후 4시까지 열려 있습니다. 사무소를 방문해 주시거나, 09 815 0278번으로 전화를 주시면 되겠습니다.

행사
Kimchi & Politics 뉴스레터에 실릴만한 행사를 아시는 분은,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저의 오클랜드 사무소에 Auckland.MP.MelissaLee@parliament.govt.nz로 이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민부 공무원의 수색 조사 권한 강화된다

댓글 0 | 조회 5,199 | 2010.11.04
비자 발급과 불법 체류 문제와 관련해 이민부 공무원들의 조사와 수색에 대한 권한이 보다 강력해 질 예정이다. 새로 변경된 이민법에 따라, 이민부 공무원들은 11월… 더보기

따돌림 견디다 못한 학생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학

댓글 0 | 조회 5,638 | 2010.11.03
Howick College의 Year 9학년 여학생이 교내에서 따돌림을 당해 전학하는 사건이 발생해 뉴질랜드 교내 집단 따돌림 문제가 불거졌다. 피해 여학생 미카… 더보기

오클랜드 시내서 구급차 충돌 사고 발생.

댓글 0 | 조회 3,525 | 2010.11.03
지난 2일 오클랜드 시내에서 구급차가 승용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2명의 구급요원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오후 6시 30분경 Albert ST와 Custo… 더보기

제 1회 한인 배드민턴 동호인의 밤 개최.

댓글 0 | 조회 2,879 | 2010.11.03
지난 30일(토) 저녁 Waitakere Badminton Association Hall 에서 제1회 한인 배드민턴 동호인의 밤이 개최됐다. 북쪽, 서쪽, 시내 … 더보기

Former Auckland GP Dr Hong Sheng Kong sentenc…

댓글 0 | 조회 2,053 | 2010.11.03
An Auckland GP Dr Hong Sheng Kong was sentenced this afternoon in the Auckland District Co… 더보기

한인회 이민성 장관과의 회의에서 많은 것 건의

댓글 0 | 조회 3,083 | 2010.11.03
오클랜드 한인회 (회장 양희중, 부회장 정애경)는 조나단 콜맨 이민성 장관과 지역구 사무실에서 이민정책의 고충 사항과 교민수의 감소 등 어려운 교민사회의 현안에 … 더보기

퀸즈, 가정폭력방지설명회 11월 8일 실시.

댓글 0 | 조회 2,126 | 2010.11.03
KWNNZ(퀸즈: 한국여성네트워크)는 11월 8일(월) 오전 10시 30분부터 알바니 커뮤니티센터 (575 Albany High School)에서 North Sh… 더보기

뉴질랜드 현지사회가 주목 하는 “ 퀸즈 ( KWNNZ ) “

댓글 0 | 조회 2,370 | 2010.11.03
인권을 다루는 정부 기관인 Human Right Commission (인권 위원회)는 이민자 및 한인 여성 사회를 위해 다양하고 의미 있는 활동을 지속한 퀸즈를 … 더보기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세미나 성료

댓글 0 | 조회 2,180 | 2010.11.03
10월30일(토) 타카푸나 그래마 스쿨 강당에서 한인회가 주최한 '대학입시를 위한 교육정보 세미나'에 200여명의 교민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이날… 더보기

안정적인 투자로 돌아서는 부동산 투자자들

댓글 0 | 조회 2,168 | 2010.11.03
1000명의 부동산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ANZ의 부동산 투자 설문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중 36%에 달하는 이들이 다른 부동산을 구입할 계획이 없다고 … 더보기

뉴질랜드 임금인상 변동 없다.

댓글 0 | 조회 1,781 | 2010.11.02
뉴질랜드의 급료와 임금 인상의 움직임이 변동이 없다.매년 정부 부문의 임금 인상 보고서에 따르면 1999년 이후로 올해의 경우 가장 낮은 임금인상이 일어난 해로 … 더보기

한민족 한글학교 13주년 기념식 가져.

댓글 0 | 조회 2,673 | 2010.11.02
한민족 한글학교가 지난 10월 30일(토) 개년 13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이 날 행사는 전교생이 참가한 개교기념 글짓기 대회와 바른글씨 쓰기 시상식이 거행되어 … 더보기

가볼만한 식당 - 화로

댓글 0 | 조회 5,746 | 2010.11.02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주까지 추적하는 학자금 상환 정책 강화되나

댓글 0 | 조회 5,351 | 2010.11.02
매년 학자금을 대출받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회수되지 못한 대출금도 상당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교육부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학자금 제도가 시… 더보기

린 브라운 오클랜드 시장 취임 연설문 번역

댓글 0 | 조회 1,881 | 2010.11.02
I stand before you today as the Mayor of Tamaki Makaurau - the Mayor of all Auckland. 저는 오… 더보기

치매환자를 상대로 사기친 여성 검거.

댓글 0 | 조회 1,869 | 2010.11.01
타우랑가에서 한 여성이 치매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를 상대로 사기 행각을 벌여오다 적발되었다. 기억을 자주 잊는 습관을 이용하여 약 10000달러 가량을 챙긴 것으… 더보기

오클랜드분관, 기스본 순회영사 실시

댓글 0 | 조회 2,282 | 2010.11.01
오클랜드분관에서는 기스본 지역 지진대비 실태점검 및 거주교민의 민원업무 편의를 위해 11월6일(토) 기스본 지역 순회영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해왔다.기스본 지역… 더보기

오클랜드 통합으로 모든 공공 도서관서 자유로운 대여와 반납 가능

댓글 0 | 조회 2,213 | 2010.11.01
11월 1일 통합 오클랜드의 시작과 함께 공공 도서관 또한 하나로 통합되었다. 오클랜드시의 모든 거주자들과 납세자들은 오클랜드의 Wellsford부터 Waihek… 더보기

한국관광객 , 교통사고로 중환자실에 입원치료 중.

댓글 0 | 조회 4,374 | 2010.11.01
10월31일(일) 오후 2시10분경 로토루아에서 단체 관광 중이던 한국관광객 1명(여성)이 버스 교통사고로 머리 부위에 중상을 입고 로토루아 병원 중환자실(ICU… 더보기

베트남으로 진출해 성공하는 뉴질랜드 기업들

댓글 0 | 조회 5,782 | 2010.10.31
최근 베트남에서 사업 진출에 성공한 뉴질랜드 기업인들의 사례가 주목 받고 있다. 뉴질랜드 와인 업체 Ohau Gravel의 경영자 피터 힐리(Peter Healy… 더보기

뉴질랜드 경찰관 5명 중 1명 체력테스트 통과 못해...

댓글 0 | 조회 1,748 | 2010.10.31
올해 뉴질랜드 경찰관 5명 중 1명이 체력단련테스트에서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약 100명의 경찰관들이 지난 5년동안 경찰에게 요구되는 체력단련검사… 더보기

세계 경제 연구소, 뉴질랜드를 세계 5위의 부유 국가로 평가

댓글 0 | 조회 5,820 | 2010.10.31
세계 경제 연구소 싱크 탱크(Think-tank)가 발표한 세계 부유 국가 랭킹에서 뉴질랜드가 종합 5위로 선정되었다. 뉴질랜드는 세계 110개국 중에서 가장 번… 더보기

건강에 대한 위험경고 클수록, 흡연욕구억제.

댓글 0 | 조회 1,627 | 2010.10.30
담배갑에 명백한 표기를 하고, 건강에 대한 경고를 더 크게 표기할 수록 금연의 영향을 쉽게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타고 대학이 18세에서 30세 까지 292명의… 더보기

통합 오클랜드 의회 신용 등급 AA로 평가

댓글 0 | 조회 1,549 | 2010.10.30
슈퍼 시티라는 명칭으로 출범하는 Auckland Council(오클랜드 의회)이 뉴질랜드의 경제와 금융 허브로서 가지는 위치 평가에서 신용 평가 회사인 Stand… 더보기

에어뉴질랜드 항공 이용 승객 작년보다 증가

댓글 0 | 조회 2,205 | 2010.10.29
에어 뉴질랜드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이 작년과 비교시 9월 한달동안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10년 9월과 작년 9월을 비교한 결과 짧은 여행을 하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