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교민들의 바른 언어 사용을 촉구하며

해외 교민들의 바른 언어 사용을 촉구하며

6 2,768 KoreaPost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한 교민이 다른 교민을 만나 주고 받는 대화를 소개한다.


교민A: 우리 어머니가 어제 모임에 갔다 오시더니 이제 노인회를 열어도 되겠다고 그러시더라구요. 그래서 어머니가 한번 주도해 보시라고 격려해 드렸죠. 오늘은 우리 옆집 키위 할아버지가 우리집에 와서 이러는거에요. “저 앞에 내놓은 쓰레기통 너네거니?” 그래서 내가 아니다, 나는 너네거라고 생각했는데?” 라고 했더니 옆집에 물어본다면서 갔어요.

 

교민 B: 나는 어제 팔목 다친데 재검진 받으러 병원에 갔는데 의사가 이러는거에요. “너 전번에 엑스레이 찍었니? 니 기록에 없는데?” “그때 니가 한번 두고 보자고 해서 안찍었다.” 그랬더니 팔이 어떠니?” 하고 묻길래 니가 만지니까 좀더 아픈것 같다.” 그랬죠. 그런데 나중에 이웃 교민을 만나 얘기하니까 무조건 엑스레이 찍어달라고 요구하라고 그러드라구요.

 

이 대화에서 두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발견한다.

 

우선 두사람 다 다른 한국인과의 대화를 전할때는 보통 쓰는 방식대로 간접화법을 이용하다가 한국인이 아닌 사람과의 대화에는 자동적으로 직접화법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영어를 직접화법으로 번역할때 말투가 완전한 반말이라는 것이다. 한국인이라면 어린아이들 사이에서밖에는 통용되지 않을 수준의 말투이다.

 

언제 어떤 연유로 해서 이런 부자연스러운 전달 방식이 시작되었는지 모르나 이것이 뉴질랜드뿐 아니라 전세계에 걸쳐 교민들 사이에 남녀노소, 학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만연해 있는 실태를 바라보며 여기에 따르는 몇가지 문제점을 재기하고 함께 개선해 나가기를 바라는 차원으로 이글을 쓴다.

 

우리말과 달리 높낮이가 없는 언어를 다 반말로 해석해버리는 것은 한국인의 언어 습관에 전혀 맞지 않을뿐 아니라 상대에 대한 깊은 무례를 범하는 처사이다. 그 외국인의 말이 반말로 해석된것은 그사람의 의도와 전혀 상관 없는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사람이 한국말의 높낮이를 이해한다면 자기말이 상대방에 의해 그렇게 무례한 방식으로 해석된다는것에 또 상대가 자기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말하는것에 대해 상당한 모욕감을 느끼지 않겠는가? 그사람은 자기가 예의를 갖추어 하는 말이 상대방의 문화에 맞게 적합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또 상대방이 자기에게 적합한 예의를 갖추어 얘기해주기를 마땅히 기대할것이다. 우리가 무슨 권리로, 또 무슨 감정이 있길래 그사람을 그렇게 비하하는가.

 

외국 서적을 번역할때 그 언어에 높낮이가 없다는 구실로 가족관계등을 깡그리 무시하고 다 반말로 통일한다면 얼마나 부자연스럽고 화가 치미는 일이겠는가? 예를 들어 며느리가 시부모님한테 너네가 오늘 마중 나갈래?” 라고 번역한다면?


일상의 관계에서도 그런데 하물며 존경받는 목사님, 연로한 의사 선생님등을 언급하면서 마치 어린애 다루듯한 말투를 사용하는것은 성인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예의에 벗어나는 일이라고 본다. 전부 존대말로 해석하는것이 훨씬 경우에 맞고 자연스럽지 않겠는가.

 

같은 한국인일때와는 달리 외국인의 말을 옮길때 굳이 직접화법을 쓰는건 어떤 심리에서 연유하나? 옆집 할아버지가 그게 우리거냐고 묻던데요라는 식으로 말하지 못하는가? 어쩌면 애초에 이런 방식의 말투를 쓰게된 배경이 백인에 대한 심각한 열등의식의 발로는 아니었을까, 이렇게 반말을 씀으로서 그들과 대등해지는듯한 착각에 빠진건 아니었을까 하는 의구심을 금할수 없다. 지금 떳떳하게 자존심을 지키며 삶을 영위해 나가는 한국 교민들이 그런 유치하고 초라한 발상을 이어나가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

 

요즘처럼 국제간의 인간 관계가 개방되어 있는 시대에 이런 전달 방식이 실질 생활에서 큰 실례를 초래하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을수 있다. 교사와 학생, 부부, 친구등의 관계에 제삼자가 끼어 별 생각없이 몰상식한 언행을 저지를수 있다. 흔한 예로 당신 교회에서 알고 지내는 교인의 남편이 외국인이라고 하자. 만일 당신이 그 남편과 대화를 나누고 나서 그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위와 같은 방식으로 옮기는것을 그 부인이 듣는다면 어떤 생각이 들것인가? 더군다나 당신은 삼십대이고 그 부부는 오십대라고 한다면?


만일 그 교인의 연로한 시부모님이 다른 교인 C의 옆집에 살고 계시고  C가 그분들과 한 대화를 당신에게 옮길때 그렇게 마구잡이 반말을 사용하면 당신은 이 상황에서 잘못된게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할것인가?

 

아이들의 교육적 차원에서도 문제가 심각하다. 어른들이 외국인 앞에서는 예의 갖춰 대하다가, 심지어는 자기의 뻣뻣한 교장 선생님 앞에서 90도 꺾어 인사까지 해놓고 나중에 그분을 마치 어린애 취급한듯한 말투로 전달하면 아이들의 눈에 어른이 위선 덩어리고 우습게 보이지 않겠는가? 아이들의 잘못된 언어 사용을 나무라고 고쳐주어야 할 입장에 있는 어른들이 앞장서서 아이들의 선생님을 무시하는 말투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게다가 아이들이 그런 행태를 보고 그대로 따라 함으로서 한 세대의 그릇된 습관이 다음 세대로 아무런 걸러짐 없이 넘어가 악순환 되는 실정을 생각해 보자.

 

해결은 간단하다.

우선 제일 기본적인것은 어떤 사람의 말을 전달하고자 할때 한국인이건 외국인이건 그자리에 없거나 언어가 달라 자기를 변호할수 없는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이다. 이부분을 먼저 염두에 두면 잘못을 자각하고 바른 언어 생활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이 없을것이다.


외국인의 말을 전함에 있어 우리말을 전할때처럼 간접화법을 사용하면 반말 존대말의 문제가  제기될 필요가 없이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이 될것이다. “너 엑스레이 찍었니?” 라고 물었다라고 하는 대신 내가 엑스레이 찍었느냐고 묻던데요라는 식으로.


꼭 직접화법을 사용해야 한다면 우리 어법에 맞도록 존대말을 쓰자. “이 쓰레기통이 당신네건가요?” “아닌데요, 당신거라고 생각했는데요하는 식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한국 교민들이 이 잘못된 관행의 심각성을 깨닫고 스스로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행하고 있었던 언어폭력을 없애는데 함께 노력을 기울여주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박경숙        Christchurch, New Zealand


kiwihaha
제가 보기엔 하나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교민 1세대 에겐 영어가 머릿속에서 번역이 되는
과정을 거쳐야 되기 때문에 위와같이 기억이 되고 말이 되는 겁니다. 영어엔 존대말이 없기 때문이죠.
외국에서 태어난 2세들은 안그럽니다. 그리고 서양 사람들은 이름불러주고 친구로 대해주는거 좋아하지
노인 대접하는거 안좋아 합니다. 위와같이 말하는 이유가 존중하지 않아서가 아니란 얘기죠.
너나 할것없이 저절로 그렇게 말하는데는 이유가 있는 겁니다.그리고,외국 서적을 번역 할때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게..
최대한 자연스럽게 하려고 하기때문에 존대를 넣겠지요.영화 서브타이틀도 마찬가지고.
폭력이라고 까지 침소봉대할 필요는 없지 않을런지요?
adjin
공감이 가지 않는 억지스런 글입니다.
먹고먹고
검은머리 외국인이면서 무슨 한국말을 ㅋㅋㅋㅋ 그냥 영어나쓰시고 한국인인척하지마세요
달보고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한국서도 그런 사례가 많데요.
한국인끼리 옆에 미국인이 있는데서 ' 저놈 코가 되게 크네'
그러니깐 이 미국인 왈 , '저놈 마음도 큼니다' ㅎㅎㅎ
pinkholic
정말 좀 억지스럽게 쓰신 글로만 보입니다.
한국사람들이 영어를 문법에 맞게 다 쓸 수 없듯이
우리 아이들도 영어권에서 자랐기 때문에 100%로 만족할 수는 없는 것 같네요.
그리고 예를 들어놓으신 글은 한국에서 자란 제가 들어도 별로 이상하지 않습니다.
저렇게 말할 수 있다고 이해가 가고 욕을 하고 말을 버릇없이 하는 경우가 이보다 더 많으니 고치려면 그런것을 고쳐야겠지요.
저건 본의아니게 영어권에 살다보니 하게되는 실수니 이해해야죠.
한국어를 100% 맞게 구사하려면 한국가서 살아야지 왜 여기서 살겠습니까~
타타타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등이 올바른 영어, 잘못된 영어라고 구분하는 것 하며,
 내용의 주제에 맞지 않는 억지 내용 같네요.
장님 코끼리 만지는것 같아요
님을 평하는것이 아니라 내용이 그렇다는것입니다.

정당지지율 하락, "비상 걸린 보수당과 인터넷-마나당"

댓글 0 | 조회 1,812 | 2014.09.18
정당지지율 5% 문턱을 넘기 위해 애쓰는 군소정당들 중 보수당(Conservative)과 인터넷-마나(Internet Mana) 당의 지지율이 총선 막바지에 오히… 더보기

웰링톤에 출현한 'X-Men'

댓글 0 | 조회 2,065 | 2014.09.18
할리우드의 신작 영화인 ‘바다 사이의 빛(The Light Between Oceans)’의 촬영지 중 일부가 뉴질랜드로 결정된 가운데 주연 배우인 마이클 패스벤더… 더보기

이번 주말에도 “전국이 궂은 날씨 보인다”

댓글 0 | 조회 1,458 | 2014.09.18
지난 주말에 이어 이번 주말에도 전국 많은 지방이 비가 오는 궂은 날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9월18일(목) 오후부터 서쪽에서 다가… 더보기

인조 스위트너 섭취, 당뇨에 위험성 높아

댓글 0 | 조회 3,242 | 2014.09.18
인조 설탕으로 알려진 스위트너의 섭취가 당뇨를 예방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 위험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최근 해외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뉴질랜드 학계에… 더보기

외국인의 농장 구매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은...

댓글 0 | 조회 1,465 | 2014.09.18
Vote Compass의 조사에 따르면 거의 2/3에 달하는 국민들은 외국인의 농장 구매에 반대하고 있다. 150,000명이 넘는 답변자 중65%는 정부의 규제를… 더보기

초등학교에서 선글라스 허용한 이유...

댓글 0 | 조회 1,519 | 2014.09.18
와이카토에 있는 가톨릭 초등학교인 St. Peter’s school 이 자외선으로부터 학생들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도록 했다. 학교측은 학부모들이… 더보기

북섬을 가로질러 유행하던 홍역 수그러져..

댓글 0 | 조회 906 | 2014.09.18
작년 12월부터 북섬을 가로질러 유행하던 홍역이 끝났다. 그 동안 281명이 홍역으로 확인되었고 그 중 15%는 병원치료를 받았다. 홍역은 주로 와이카토와 오클랜… 더보기

엇갈린 반응 보이는 일부도로에서의 속도 제한 올리는 계획.

댓글 0 | 조회 1,247 | 2014.09.18
일부 도로에서의 속도 제한을 올리는 계획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 운전자들은 속도 제한을 시속 110km 로 올리는 것에 반대했으나, 대다수는 찬성했다… 더보기

Airways New Zealand, 중국에 항공 교통 관제 단기 코스 제공.

댓글 0 | 조회 1,287 | 2014.09.18
Airways New Zealand 는 수백만 달러의 계약으로 중국에 항공 교통 관제 단기 코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16일 밤 북경에서 공식적으로 체결된 이 계약은… 더보기

TV3의 여론 조사, 국민당 지지도 계속해서 하락....

댓글 0 | 조회 1,215 | 2014.09.18
TV One에서의 마지막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3TV에서의 여론조사에서는 국민당의 지지도가 계속해서 하락하면서 연합 정부의 파트너 선정에 대한 토론도 있었던 것으… 더보기

선거 이후 부동산 시장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

댓글 0 | 조회 2,360 | 2014.09.17
선거 결과에 따른 정책 변화로 구입을 망설이고 있는 사람들로 잠시 주춤하고 있는 부동산 시장이 이번 토요일의 선거 이후 또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것으… 더보기

오클랜드 고속 도로 속도 제한 새로이 분류 될 듯..

댓글 0 | 조회 2,195 | 2014.09.17
오클랜드 고속 도로의 속도 제한이 새로이 분류되는 기준에 따라 시속 50킬로미터까지 제한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오클랜드 도로 공사의 헬렌 클리모 도로 안전… 더보기

헬기 트러스트, 카운실과 함께 일하자는 제안 수락.

댓글 0 | 조회 1,089 | 2014.09.17
오클랜드 구조 헬기 트러스트는 오클랜드 시설 자금 위원회에 자금신청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헬기 트러스트는 2015/2016 년 카운실로 부터의 직접 자금…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재건 사업에 적정한 양의 을 쓰고 있는 것으로 생각.

댓글 0 | 조회 924 | 2014.09.17
대부부의 사람들이 정부가 크라이스트처치 재건 사업에 적정한 양의 돈을 쓰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Vote Compass 조사는 150,000 이상에게 크라… 더보기

존키총리, 대량스파이 활동에 대해 반격

댓글 0 | 조회 1,517 | 2014.09.17
존 키 총리는 내부고발자인 에드워드 스노덴에 의해 주장된 키위들에 대한 대량스파이 활동에 반격을 가했다. 이러한 반격은 그들이 말하는 “진실의 순간” 을 위해 스… 더보기

리마커블스와 코로넷피크 스키장 “시설 투자 계속된다”

댓글 0 | 조회 1,286 | 2014.09.16
캔터베리의 마운트 헛과 퀸스타운의 코로넷 피크, 그리고 리마커블스 스키장 등 남섬에 위치한 3개 대형 스키장을 운영하는 NZSki 측이 금년에도 대규모 시설 투자… 더보기

떠내려가는 고무보트 붙잡으려다 목숨까지 잃어

댓글 0 | 조회 1,756 | 2014.09.16
낚시 중 떠내려가는 고무보트를 붙잡으려고 호수에 뛰어들었던 20대가 끝내 익사한 채 발견됐다. 사고는 9월 15일(월) 오후 2시 30분쯤 크라이스트처치 서부의 … 더보기

에미넴과 국민당 “선거홍보 음악 때문에 저작권 다툼”

댓글 0 | 조회 1,254 | 2014.09.16
세계적으로 유명한 래퍼인 에미넴(Eminem) 측이 자신의 노래를 선거 홍보용으로 무단 사용했다면서 뉴질랜드의 국민당에 법적 행동을 취하겠다고 나섰다. 9월 16… 더보기

YBA 교민 농구대회 성공리에 마쳐

댓글 0 | 조회 1,445 | 2014.09.16
교민 친선 농구시합이 지난주 7일(일) 뉴마켓에 위치한 오클랜드 그래머 스쿨 체육관에서 열렸다. 비영리 농구 단체인 MBCi의 주최로 펼쳐진 대회는 10대후반부터… 더보기

미끼 차량 동원해 도둑잡기 나서는 노스쇼어 경찰

댓글 0 | 조회 2,171 | 2014.09.16
최근 노스쇼어에서 차량 내부 물품을 노린 도둑이 기승을 부려 경찰이 미끼 차량을 통해 도둑 잡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는 최근 몇 주간에 걸쳐 이전보… 더보기

인터넷-마나당 “의석 확보에 성공할까?”

댓글 0 | 조회 1,306 | 2014.09.16
총선을 목전에 두고 한창 지지세가 올라가던 인터넷-마나(Internet-Mana) 당의 앞날에 심상치 않은 장애물이 등장했다. 9월 16일(화) 발표된 마오리 T… 더보기

오클랜드 시내 중심지역이 주택 도난 사고가 더 많아..

댓글 0 | 조회 1,789 | 2014.09.16
오클랜드 시내 중심지역이 전국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주택 도난 사고가 많으며, 또 도난 사고 시점도 휴가철 보다는 낮에 집이 비운 시간에 더 많이 일어나고 있는 … 더보기

양체운전자들의 과속을 잡기위한 첨단 장비가 설치된다는데....

댓글 0 | 조회 2,103 | 2014.09.16
과속으로 운전하다가 스피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에서는 속도를 줄이고 이 지점을 지나 다시 속도를 내는 운전자들을 잡기 위한 새로운 첨단 기술의 과속 단속 장비가 … 더보기

오클랜드와 북섬의 다른 한 곳에 자료수집하는 시설있어...

댓글 0 | 조회 1,034 | 2014.09.16
미국의 정보 기관에서 일하다가 모스코바로 망명한 정보 전문가인 에드워드 스노든은 어제 15일 오클랜드와 북섬의 다른 한 곳에 미국의 국가 정보기관을 위하여 자료를… 더보기

세계기록을 위해 하버브리지에서 뛰어내릴 전 올블랙 맴버.

댓글 0 | 조회 1,449 | 2014.09.16
오늘 16일 두명의 전 올블랙 멤버들이 세계기록을 깨기위해 오클랜드 하버 브리지에서 뛰어내린다. 제프 윌슨과 조쉬 크론펠드는 프린시스 워프에서 고무보트위로 점프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