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회사 어디가 좋을까요?

인터넷회사 어디가 좋을까요?

10 2,427 kiwi11
인터넷회사 어디가 좋은지 알고 싶어요.
12년차 이민자의 조언
megatel 이요... 속도 괜찮고 가격도 괜찮네요... 전 12년차 이민자인데.. 제 경험으로는..

maxnet (속도 빠른데 엄청비쌈..)

 telecom (무제한은 속도 느리고 다음달 부터는 없어짐),

 slingshot (나름 괜찮은데 용량많이 필요하면 비쌈),

 ihug (속도느림).... 5군데 다 써봤는데 megatel 이 제일 좋더라구요...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흐..
당연 ORCON 입니다. 최고 속도와 품질입니다. 단 좀 비쌉니다.
pet
근데요 메가텔 저도 지금 사용하고 있는데여.

너무 자주 끊기는게 좀 불편해여.

어떨땐 좀 짜증 나여.

근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여.

전 파인힐이고 인터넷 사정이 나쁘진 않는 지역인데...
내멋대로
메*텔 쓰고 있는 파인힐 지역인데....끊기지는 않고요. 만족합니다. 인터넷 회사는 가격,속도,서비스 꼼꼼히 살펴 본인 취향?에 맞게 결정하시되 꼭 피하실 회사만 피하세요.
9988234
메가텔은 지금 Promotion중입니다.

저도 이사를 하고 주소이전을 신청하며 알게 되었네요.

단, 2년약정이랍니다.

속도나 가격, 괜찮은듯합니다. 저에게는요..
답답이
w사만 아니면 괜찮을듯 ...지금 사용중인데 사리가 쌓일 정도입니다.  뻑하면 접속이 안되고 메일정도 확인하고 그다지 사용도 잘안하고 있는데 메일 확인도 힘들정도네여 ㅠㅠㅠ
jackyjeng
텔레콤 속도 장난 아니게 좋아졌읍니다. 지역마다 차이가 나겠지만 전 마이랑이 베이 쪽인데요.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980까지 나옵니다. 영화한편 1.4 기가 정도 다운받는데 25분 채 안 걸립니다...많은 용량 사용하실거면 요즘 메가텔 행사하는것 같읍니다.
통신업
인터넷 속도와 장애에 관하여 아는 만큼 설명을 드리자면



먼저 어떤 Download Home Page를 접속할 경우 도식화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Home - 1)(Telecom,Telstra,,,)- 2)ISP(NZ) -(?)- 3)ISP (KR) - 4)(KT, Dacom, Hanaro....)-Server



1. 같은 회사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입자 마다 다운속도가 다릅니다.

    1)때문에 즉 고객의 라우터와 접속하는 마지막 장비의 환경에 따라 속도라 다릅니다.

    2)-4)까지는 고속도로라고 볼 수 있는데 1)은 진출입램프입니다.

    진출입램프가 바쁘면 고속도로가 아무리 빨라도 의미가 없습니다.

    통상 25개의 회선이 한 진입램프를 공유하는데 (지역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름) 25개의 회선이

    동시에 다 사용한다면 바쁘겟죠? 회선이 바쁘다는 것은 느리다는 것입니다.



2. 나의 경우는 980까지 나온다.

  그럴 수 있습니다. 미리 말씀드린 25명이 공유하는데 같은 지역이라도

  운이 좋지 않아 25명이 항상 사용하는 장비에 묶여 있다면 항상 늦는 것이구요

  최고의 운으로 혼자 독차지 할 수 도 있습니다.

  네트웍 담당자는 항상 모니터링하여 공평하게 풀(pool)을 구성해야 하겠지요.

  바로 옆집과 같은 풀이라고 생각합니다까, 다를 수도 있습니다.

  장비를 만지는 사람의 눈에는 그런 것은 보이지 않습니다.



3.1)의 조건이 모두 같은 경우는 ISP에 따라 속도가 다릅니다.

  T사는 아시아에 100의 용량을 할당했고 M사는 10을 할당했다고 가정하면 어디가 더 빠릅니까?

  T사인가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가입자의 수가 문제가 되지요.

  가입자의 수에 따라 용량을 할당하는 것은 그 회사의 마케팅 정책이겠지요.



4. 어떤 다운로드 사이트는 빠르다...A).

  각 ISP는 통신량을 항상 모니터링합니다.

  기간산업이므로 그 취지에 맞게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해택이 돌아가야 합니다.

  때문에 용량을 사용된 산출하여 어떤 경우에는 quota를 두기도 합니다. 아니 둡니다.

  따라서 이 쿼타에 걸린 서버는 제제를 받는 것입니다.

  이 목록에 들지 않는 곳은 당연히 재제를 받지않아 빠르게 다운받을 수 있는겁니다.



5.어떤 다운로드 사이트는 빠르다...B)

  각 ISP는 중요한 지역까지는 자료(Data)가 오가는 길을 정해둡니다. 각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부산을 갈때 가장 빠른 길은 경부고속을 타는 것과 비행기 또는 KTX등등이 있습니다.

  어느게 빠르다고는 단정지을 수가 없지요.

  NZ에서 KR까지 가는 길은 너무도 많습니다. 그 길을 설정하는 것은 ISP의 권한입니다.



6. 어떤 회사는 장애가 빈번하다.....A)

  장애는 1번 장애가 제일 많습니다. 누구의 책임일까요?

  어떤 경우는 지역에 따라 장애가 다릅니다. 한국의 경우 부산지역에서 통신업무를 하는것이

  제일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왜정시대부터 사용했던 회선이거든요.

  다른 지역은 625때 거의 망실되어 재구축을 했으니까요.

  1) 장애는 거의 Telecom이 해결해야 하구요.

  내부 장비이건 외부 통신선이든지 Telecom을 통해서 장애 조치를 합니다.



7. 어떤 회사는 장애가 빈번하다.....B)

  두번째는 1)외의 구간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특정 개인에게 일어나지 않는 경우로 국제회선을 담당하는 회사의 장애이거나

  자국의 ISP에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매우 드문 경우이지만 저의 경험으로는 일년에 한번 정도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이 장애의 처리는 NZ ISP의 역량이 조금 작용합니다.

  해당 지역으로 가는 길은 바꿔치기 할 수가 있지요.



1)의 환경이 Telecom과 남섬일부가 TelstraClear를 통해 서비스를 받았는데

지금은 몇년 전에 법이 바뀌어서 오르콘 등 다른 회사들도 전화 서비스와 함께 자기들의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는 들었습니다만 케이블은 여전히 Telecom이 관리를 한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언급하지 아니한 것중 대단히 중요한 것은 집의 장비와 Telecom 장비와의 거리입니다.

1) 부터 4)까지의 환경이 아무리 좋아도 집의 거리가 장비와 멀다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또 하나는 회사를 옮기고 환경이 좋아지신 분이 있습니다.

이 경우는 공용풀(pool)이 바뀔수 있고, Telecom내의 연결 장비도 바뀔 수 있으며

심지어는 연결 통신선도 바귈 수 있습니다. 모두 Telecom의 환경이 바뀐 것입니다.

ISP와는 관계없는 경우가 마치 ISP을 바꾸어서 좋아진 것으로 둔갑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는 말입니다.

장애처리로는 이런 극단적인 환경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ISP 변경의 경우도 완전 해지후, 신규 가입인 경우가 해달 될 수 있습니다. ISP 이동이면 Telecom의 입장에서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선에서 작업이 마무리되기 때문입니다.



통신선의 입장에서보면 Telecom은 Wholesale 그러니까 도매업자구요

ISP는 Xtra, Slingshot, Orcon, ihug, worldnet, Telestraclear,megatel, maxnet 등등은 소매업자이지요.

그 통신선 소매에 부가가치를 더해서 인터넷 또는 전화까지 서비스를 하는 거구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사에 따라서 장비는 자사의 장비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휴....힘드네요....



우리나라처럼 전화 한방이면 집에 사람이 찾아 와서 PC까지 고쳐주는 그런 환경을 기대하시면 않됩니다.

섬나라 뉴질랜드도 한국처럼 아파드 단지로 이루어져 있다면 가능한 이야기이겠지요. 대중교통이 발달하지 않는 것처럼 사람의 이동 비용도 많이 들 듯이 Data의 이동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도 많이 들어갑니다.



제가 이렇게 두서없이 장황하게 글을 적은 이유는

최소한 기술적으로는 특정업체가 특별히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어느 업체가 특별히 욕을 먹을 처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국회와 언론에 욕을 먹는 것은 항상 거대기업 Teleceom의 몫입니다.

기간 산업을 책임지고 있는 업체인데 그 본분을 다하지 않기 때문이고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Xtra에 편향적이기 때문이지요.



이만 마칠까합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교정해 주시면 감솨하겠습니다.
kiwi11
대단히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읍니다.
pet
전 일반적인 환경이고 라우터와 무선랜 다 최적의 상태에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암튼 잦은 끊김현상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

메가텔만 그런건가요? 아님 다른 인터넷회사도 그런지..

제 생각에 뉴질랜드 인터넷 환경이 별반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입니다만...

다른 인터넷 사용자님 댓글 부탁드립니다.

Total 48,836 Posts, Now 764 Page

3 인기 컴퓨터출력
Sunny1 | 조회 1,660 | 2010.07.27
3 인기 테아타투 사우스
날개82 | 조회 1,909 | 2010.07.27
4 인기 시계줄 줄이는곳...
hyuk2 | 조회 2,165 | 2010.07.26
4 인기 상속
jiyoung | 조회 2,677 | 2010.07.24
2 인기 쿠쿠밥솥 고장
oochisay | 조회 2,649 | 2010.07.24
1 인기 머리익스텐션
oi | 조회 1,875 | 2010.07.24
2 인기 닌텐도에 대하여
glory | 조회 1,645 | 2010.07.24
2 인기 워홀 Kiwi Saver ?
무지개 | 조회 1,805 | 2010.07.23
5 인기 kt070 에 대해서..
야옹이 | 조회 2,116 | 2010.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