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향후 경제 전망이 궁금합니다.

뉴질랜드 향후 경제 전망이 궁금합니다.

11 7,209 aaabb

 

 

 

 

안녕하세요. 제대후 이민와서 영주권 받고 시간지나 이제 시민권을 신청해야 하나마나 고민중인 사람입니다.

영주권 받고 열심히 살고 이제 좀 먹고살만 하니깐 그동안은 어떻게 보면 신경쓰지 않았던 것들이 보입니다.

뉴질랜드에 대한 환상이 있어서 이민을 왔고, 열심히 살다보니 어느 덧 시간이 이렇게 지났네요.

 

하지만 처음 왔을때와 비교해서 집값이 너무 많이 올랐고, 렌트비, 식료품, 기름값 등등등 제가 받는 임금은 많이 오르지 않았는데,

반면에 다른것들은 너무 많이 올랐네요. 2021년까지 기본임금을 20불까지 올린다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물가도 당연히 

또 오를테고, 다른 부수적인 것들도 다 오를거라 예상이 됩니다. 집값도 오르겠죠. 이민자들은 오클랜드로 몰리고, 집값상승에 

덩다라 다른 도시도 마찬가지로 집값이 올랐구요. 여기서 영주권 받고 사는 동안 그런 걸 다 보았구요. 이제 제가 집을 살려고

하니 너무 올라버렸네요. 키위빌드는 어떻게 보면 먼나라 이야기 같습니다.

 

지금은 집값은 조금 떨어졌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정도 가격으로 유지가 되겠지요. 

소득대비 집값, 렌트비가 너무 비싼게 어떻게 보면 가장 큰 문제 같습니다.​

좋은 면만 보려고 하는데, 이제는 이런 것들이 보이니깐. 힘이 빠지고 이 나라를 떠나 호주로 가야하나 라는 고민이 듭니다.

 

경제는 호황이라는데, 누가 그 혜택을 가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사회적으로 이제 많은 직업군에서 시위를 하는 것 같습니다.

간호사나 초등교사등등 이 사람들은 그나마 유니언이 있어서 목소리를 낼 수 있지만, 유니언이 없는 직장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목소리 한번 내기 힘들고 그냥 받는 월급 계속 받으면서 살겠지요. 그동안 최저임금은 계속 상승하구요. 그에따른 물가상승은

계속 되겠죠. 저도 living wage라는 개념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보통 직장의 사람들은 별다른 임금상승 없이 계속 일하겠죠.

거기에 따른 불만은 나올수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복지천국이라는데, 자식이 있으면 모르겠지만 저한테는 해당이 안되는 말 같습니다. 

점점 살기 어려워지는 뉴질랜드... 이게 저만 이렇게 느끼는 걸까요? 

앞으로 이 나라 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베푸리
질문에 답은 안되겠지만, 주식시장에 떠도는 말로 예측하지 말고 대응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를 예측하여 미리 행동하지 말고, 몇가지 상황을 상정하고 그에 따른 나의 계획을 각각 미리 준비하는데 힘을 쏟는게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될지는 전문가들 조차 여러 의견이 있는데, 여기 게시판에 들어오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예측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물론 개 중에는 맞는 경우도 있겠지만 그 또한 일회성일 뿐이죠?
aaabb
맞습니다. 그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양극화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고, 뉴질랜드도 그게 점점 보이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에 그렇습니다. 어떻게든 되겠죠. 누군가는 끊임없이 이민을 오고 저같이 뉴질랜드를 떠나려는 사람도 있고..누군가는 제가 하는 고민들을 언젠가는 하겠죠. 그냥 하던거 열심히 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잘 세워야 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제이비
세계경제는 08년 리먼사태 전후로 나뉩니다 리먼사태 이후 저금리 돈풀기 정책으로 세계가 경제호황을 맞이하던 식였기는하나 일반적인 사람들은 가만히 앉아서 거지가 되는 시기이기도했죠

이게 망해서 거지가됬다기보다 상대적으로 거지가 됬다는 표현이 맞는데 다시 설명하면 08-18년 10년간 주식 부동산 비지니스 세가지중 하나만 가지고있어도.. 부자가되던 시기였던거 같습니다

하나도 없는 사람들은 말그대로 치솟는 물가와 집값 인플래를 방어할 수단이 없을뿐더러 임금은 그만큼 오르지 않으니 위에 한가지라도 가진사람들에비해 힘든어진게 지금 현실입니다..

당시 조금 열심히 살아서 세이빙하던사람들 5-10만불 정도의 자금으로 충분히 집을 살수있던 시기였습니다 하물며 펀드나 주식이라도 이후 10년간

집값은 3-5배가량올랐으며 펀드수익 주식조차도10-30%+ 년수익을 냈으며 비지니스 하던 사람들도 장사하던가 아니면 매매몇번으로 수십만불씩 벌던 시기이기도 하죠

현재는 부동산이나 경재는 거품인지 아닌지 아무도 모르지만 많은 경제학자(정말 잘아는 경제학자면 학자가아니고 때부자겠죠.. 신뢰는 크게안갑니다만) 들은 현 뉴질랜드가 정점을찍고 이젠 내려갈꺼라 예상하고있습니다

빚도 어마어마하고 정부는 돈이없습니다

발빠른 자본가들이나 08년도에 돈번사람들은 규제나 침체기 오기전에 이미 불어난 자산 정리 현금화하고 다시 대출받아 위기에도 오를만한 지역에 집 한두채씩다시 대출받아 알박기 하고있으며 차익으로 남은 자본

(당시 5만이면 시내아파트조차도 20만불대 하던게 현 60/70만불이 넘습니다)

굴리면서 여유롭게 지내고있습니다 심지어 미화강세 키위달러 약세 시장속에 달러매입이나 관련주식 사고팔기로 단기간에 10% 이상 수익내는 사람들도있더군요
(한국도 금리역전현상에 대비해 달러매입후 환차익 남길려고 투자하는 사람들도있고)

뉴질랜드뿐만 아니라 세상이 그런거같아요 한두살이라도 어릴때 열심히 일하고 모아서 시드머니 만들고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공부도해보며 자금투자 해보면서 살아야지..  삶이 부유해지지 안그럼 일반적인 월급쟁이로는 갈수록 힘들어지는거 같아요
aaabb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yousmile
최근 통계 : 해외 한국인 75% 국적포기.

향후 경제 전망: 부동산 가격이 안정되지 않으면  물가 상승.
                      세계 경제 침체로 NZ 경제 영향을 줌.
aaabb
부동산 가격이 쉽게 안정이 될까요? 물가는 계속 오를거라 봅니다.
johngo
주택가격이 고가이다보니 벌어도 벌어도 집 장만 하기 어렵겠죠. 소득에 비하여 주택마련 비용 또는 렌트 비용 비중이 커다랗게 차지하여 가용 예산이 없어 경제적인 삶이 팍팍하고 쪼들릴 수 밖에 없습니다. 보유하신 주택 규모를 줄이든지 굳이 오클랜드에 살지 않아도 된다면 주거를 타지역으로 옮겨 주거 비용을 줄여 가용 예산을 비중을 늘인다면 경제적으로 여유를 찾을 수 있겠죠.

오클랜드 저소득자인 경우 집 장만 한다는 것은 평생 꿈 일 수 밖에 없습니다. 비새고 습기 차고 하꼬방 같은 집들도 백만불이
훌쩍 넘어가는데 미니멈 웨지 조금 더 받는 많은 한국인 피고용자들이 집 살 수 있겠습니까. 한국에서 일반 봉급자가 돈 벌어
강남에 집 장만하다고 생각하세요. 거의 불가능하다고 인식하고 강남 집 구입 포기하고 타 지역에 대부분 주택을 구입하죠. 
이곳 오클랜드는 더 어렵다는것. 그렇다면 곰곰히 생각 해 보고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aaabb
여기가 한국 보다 집 장만하기가 더 힘드네요. 지금와서 노동당에서 부동산 관련 제제를 하지만 이미 오른 가격들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거 같네요. 여기 처음 왔을떄, 항상 보던 뉴스가 많은 키위들이 더 좋은 기회를 찾아 호주나 다른 해외로 가서 문제이다 였는데, 시간이 지나고 내 자신이 그 중의 하나가 되는 것 같습니다.
nzsummer
오클랜드를 벗어나면 집 장만하기는 그리 어렵진 않을 겁니다. 물론 오클랜드보다 job 구하기가 어렵긴 하겠지만요. 어느 곳이나 무슨일을 하던 다 장단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호주를 간다한들 시드니, 멜번 대도시에 살게 되면 지금과 같은 고민을 하게 될거 같습니다. 아닐 수도 있고요. 개개인의 상황, 재정능력, 삶의 척도가 다 다르니 딱 정해진 답은 없는거 같습니다. 저도 결혼전에는 님과 똑같은 생각을 했었고 호주로 갈까도 생각하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지다 보니 또 다른 세계에 맞닥뜨려 인생계획을 거기에 맞추도록 노력하는 중입니다. 

일단은 장단점을 한번 생각해 보시고 뉴질랜드건 호주건 한국이건 본인에게 장점이 많은 곳으로 가는게 나을 거 같습니다.
힘내십시요~!
Passerby
개인적으론 시드니쪽이 집값이 너무 비싸서 호주라도 시드니는 비추입니다. 호주도 도시마다 집값이 차이가 많은데요 그건 호주나 뉴질랜드나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뉴질랜드 주택은 비싸지만 아파트 쪽은 그리 비싸지 않으니 그쪽으로 한번 봐보세요.
hak1234
어려운 문제지만 일단 호주나 영국으로 돈을 벌러가실려면 (여기보다 임금도 높고 환율도 좋으니) 먼저 시민권을 따야 가능합니다.
뉴질랜드 시민권이면, 호주에서 바로 일 시작할수 있으니까요.
뉴질랜드 영주권자이면 호주에서 바로 일할수도 없고 취직하기가 힘들어요.
기본적으로 시드니, 멜본은 여기보다 집값이 훨 비싸기에 돈은 잘 벌수는 있어도 집사기는 더 힘들어요.
브리스베인은 여기보다 집값은 싸지만 일자리 및 월급은 그리 많은 차이가 나지는 않은듯합니다.
아무래도 적응이 다된 여기를 벗어난다는것이 쉽지 않네요.
적어도 시민권 따시고 호주 큰 도시를 여러번 방문해보고 직장도 미리 구한다음에 옮기시는게 에러를 줄이는 법입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좋은 와이프를 만나면 어는곳에 가시든지 많은 힘을 얻을수 있습니다....

Total 48,931 Posts, Now 625 Page

2 인기 구인하는 고용주의 양심
patrici0 | 조회 4,188 | 2018.07.11
6 인기 한인 통역 가격이 얼마쯤..?
코키 | 조회 3,846 | 2018.07.11
2 인기 한국에서 국민연금받으면..
John nz | 조회 3,075 | 2018.07.12
5 인기 immigration 주소는 ?
NZbj | 조회 2,298 | 2018.07.12
4 인기 블라인드 처리된 글입니다.
구름아바람아 | 조회 2,006 | 2018.07.12
3 인기 워크비자 전문 변호사 좀 알려주세요.
잊다 | 조회 1,963 | 2018.07.13
2 인기 시민권자 상속포기 공증
서서왕자 | 조회 3,145 | 2018.07.13
7 인기 현명한 구직 방법
patrici0 | 조회 3,750 | 2018.07.14
2 인기 네일아트 하고싶어요
피피 | 조회 1,738 | 2018.07.14
2 인기 가계 전화가 안되요.
소망이 | 조회 1,846 | 2018.07.14
2 인기 TMH AID는 어디에서 구매가능한가요?
oneajh | 조회 4,291 | 2018.07.14
2 인기 양파가루 파는곳
dmswl | 조회 1,835 | 2018.07.14
9 인기 @부모초청 이민 이후..@@
지구시민 | 조회 6,388 | 2018.07.14
4 인기 HRV하신분 조언 부탁드려요
emem | 조회 3,004 | 2018.07.15
5 인기 일본인 커뮤니티
Hopefully | 조회 3,228 | 2018.07.15
인기 더덕 씨앗 구합니다.
Dkim | 조회 1,574 | 2018.07.15
7 인기 스쿠터 질문입니다.
소년 | 조회 1,977 | 2018.07.15
3 인기 Bosco랑 vector 아시는분요!
DAndrea | 조회 2,348 | 2018.07.16
3 인기 유용한 긴급 전화번호!
kokobang | 조회 3,187 | 2018.07.16
5 인기 효과좋은 소화제
cccccch | 조회 3,681 | 2018.07.16
1 인기 삼진수산
산들바람바다 | 조회 2,301 | 2018.07.17
인기 산후도우미 구합니다.
Blake1045 | 조회 2,189 | 2018.07.17